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52119223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7-06-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기대와 거시경제모형
1. 기대의 합리성에 관한 조건
2. 일시적 균형의 개념
3. 적응적 학습을 고려한 거시경제모형
제2장 비동질적 정보를 고려한 모형
1. 비동질적인 사적 정보와 경제 위기 모형
2. 균형분석
3. 정부의 설득을 고려한 거시경제모형
제3장 베이지언 설득
1. 최적 베이지언 설득의 개념
2. 기업의 소비자 설득
3. 설득의 비용과 베이지언 설득
제4장 모호성 기피와 정보의 업데이트
1. 모호성 기피 선호
2. 모호성을 고려한 베이지언 학습
3. 증권 포트폴리오 선택에 대한 함의
제5장 정보의 신뢰성과 증권 포트폴리오
1. 베이지언 학습과 증권 포트폴리오
2. 무형의 정보와 증권 포트폴리오
3. 모호한 정보와 증권의 가격
4. 시장가격의 시그널 효과
제6장 상호정보의 제약과 사후적 분포
1. 상호정보의 제약과 사후적 분포의 제약
2. 채널용량과 정보 구조의 선택
3. 상호정보의 제약과 증권 포트폴리오
제7장 합리적 부주의와 가격 경직성
1. 기업의 주의할당과 가격 경직성
2. 상호정보의 제약과 가격 변화 시점의 선택
3. 상호정보의 제약과 이산 가격 설정 모형
4. 상대 엔트로피의 제약과 가격 경직성 모형
제8장 확률적 선택 모형
1. 합리적 부주의와 현시된 정보 구조
2. 드리프트 확산 모형
3. 합리적 부주의와 다항로짓 모형
4. 최적 정보 제약 모형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거시경제모형에서 등장하는 의사결정자들이 믿음의 합리성을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은 내적 정합성(internal consistency)에만 의존할 수 있다. 이 경우 의사결정자들의 믿음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의사결정자들이 미래의 결과에 대하여 모형에 부합하는 믿음(model-consistent belief)을 가지고 있는 상황만을 분석하여 합리적 믿음을 가지고 있는 의사결정자들이 결정하는 균형을 분석할 수 있다.
검사가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판사를 설득할 수 있는 것은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판사가 판결을 내릴 때 검사의 시그널을 반영하여 판결을 내리기 때문이다. 판사가 합리적인 판단을 내린다는 것은 판사는 판결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검사의 시그널을 보고 시그널이 담고 있는 진실성에 대하여 베이즈 규칙에 의거하여 추정한다는 것이다.
이 장에서 분석하는 모형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모형에서와 달리 하나의 선험적 믿음이 있다는 가정을 포기한다. 선험정보에 대한 신뢰가 없다면 자신의 믿음을 하나의 확률분포로 설명할 수 없다. 이 장에서는 자신이 습득한 정보의 신뢰와 믿음에 대한 선택 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고려한 모형들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