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52130501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1-10-2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미·중 관계의 변환과 한국의 미래
양자 관계를 보는 분석 틀과 관점들
미·중 관계 진화의 궤적
책의 구성
제2장 중국의 강대국화와 미·중 국력 평가
중국의 경제적 부상과 비교 평가
중국의 군사 굴기와 비교 평가
대외 적응력 및 소프트 파워
중국의 내부 통제력 평가
총체적 평가
제3장 개혁기 중국의 대외관계: 도광양회에서 분발유위로
중국 대외관계의 시기별 개관: 계속성의 포착
개혁기 중국의 대외관계: 실용적 변화를 중심으로
대외관계의 조정과 ‘공세적 중국’의 등장
불확실성과 전략적 우려
제4장 미·중 상호 인식의 진화
미·중 간 국민 인식의 변화
미·중 간 공적 인식의 분석
인식의 진화와 전략적 불확실성
제5장 미·중 간 전략적 불신: 오바마 시기의 ‘동상이몽’
중국의 공세적 변신
미국의 ‘재균형’과 중국의 대응
미·중의 갈등 회피 노력
미·중의 동상이몽: 지역 현안과 기싸움
제6장 미·중 패권 경쟁: 트럼프 시기의 대전환
미·중 정상회담과 외교·안보대화
미국의 전방위 견제와 압박
미·중 갈등: 통상, 북핵 그리고 기싸움
코로나 팬데믹과 미·중 관계
제7장 패권 경쟁하 중소국의 선택
제3국의 전략적 선택: 메뉴와 평가
동아시아의 전략적 선택: 실증적 검토
한국의 최적 선택지에 대한 추론
제8장 미·중 사이의 호주, 싱가포르 그리고 필리핀
5개 현안 및 3국 사례의 선정
호주의 대응
싱가포르의 적응
필리핀의 순응
한국에의 함의
제9장 중국의 부상과 한·중 관계의 비대칭화
한·중 관계의 비대칭화
사드 문제: 비대칭성의 역습
반추와 반성
제10장 제3자 강요하의 한국 외교
제3자 강요와 한국의 선택
종합 평가
제11장 국익, 정치 그리고 한국의 미래
국익이란 무엇인가?
한국의 국익에 대하여
모든 것을 압도하는 정치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보수, 진보 운운하며 대부분 이를 편 가르기로 설명하지만, 왜 시기와 정권에 관계없이 우리의 외교· 안보가 유사한 문제들을 지속적으로 노정하는지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누르기 어렵다. _ 서문 中
한국의 지식 생태계가 향후 닥칠 수밖에 없는 미·중 관계 발(發) 딜레마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또 그 각각에 적합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지 우려가 적지 않다. _ 1장 中
주권 수호와 안보의 확보, 그리고 영토 보전에 대한 집착이 중국의 대외인식이라는 동전의 한쪽 면이라고 할 때, 그 반대쪽에는 오랫동안 중국이 누렸던 세계의 중심이라는 지위에 복귀하려는 염원이 위치해 있다. _ 3장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