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문법론/통사론
· ISBN : 9788952132284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4-02-2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 1 부 도입
1장 연구 개관
1.1. 연구 대상과 목적
1.2. 논의의 구성
2장 언어 자료
2.1. 언어 자료의 수집
2.2. 언어 자료의 어족별 분류
2.3. 언어 자료의 지역별 분류
3장 종성의 정의와 범위
3.1. 종성의 정의
3.2. 종성의 범위
제 2 부 음절 종성의 유형론적 양상
4장 음절 종성의 일반론
4.1. 음절 종성의 일반적 특징
4.2. 음절 종성의 구조
5장 음절 종성의 양적 유형론
5.1. 종성의 수와 비율
5.2. 종성의 빈도
6장 음절 종성의 질적 유형론
6.1. 선호되는 종성 목록
6.1.1. 자음 개수로 본 종성 목록의 선호도
6.1.2. 자음 부류로 본 종성 목록의 선호도
6.2. 종성 실현과 조음 방법
6.3. 종성 실현과 조음 위치
6.4. 음절 종성의 함의 관계
제 3 부 한국어 종성 체계의 유형론적 검토
7장 한국어 종성 체계의 개관
7.1. 후기 중세 한국어의 종성 체계
7.2. 후기 중세 한국어 이전의 종성 체계
7.3. 후기 중세 한국어 이후의 종성 체계
8장 한국어 종성 실현의 공시론과 통시론
8.1. 한국어 종성 실현의 공시론
8.2. 한국어 종성 실현의 통시론
9장 한국어 종성 체계의 유형론적 특징
9.1. 양적 측면의 유형론적 특징
9.2. 질적 측면의 유형론적 특징
9.3. 한국어 종성 체계의 변천에 대한 유형론적 검토
10장 중세 한국어 종성 자음군의 유형론적 특징
10.1. 종성 자음군의 언어 유형론
10.2. 중세 한국어 종성 자음군의 유형론적 검토
제 4 부 결론 및 종성 자료
11장 결론
12장 종성 관련 자료 모음
12.1. 종성 빈도
12.2. 종성 목록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