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독성학

독성학

이영순 (엮은이)
청구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독성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독성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약학 > 약학 일반
· ISBN : 9788956160535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03-05-10

목차

1장 독성학이란 = 11
1.1 독성학의 영역 = 12
1.2 독성물질의 분류 = 12
1.2.1 기원에 따른 분류 = 12
1.2.2 분석법에 의한 분류 = 12
1.2.3 노출상황에 의한 분류 = 12
1.2.4 약리학적 혹은 독성학적 작용에 의한 분류 = 13
1.2.5 독성(작용)강도에 의한 분류 = 13
1.2.6 노출에 의한 분류 = 14
1.3 독성발현양식 = 14
1.3.1 투여직후의 작용 = 14
1.3.2 지연 독성 = 14
1.3.3 축적작용 = 14
1.3.4 독성의 가역성 = 14
1.3.5 내성과 의존성 = 15
1.3.6 알레르기, 특이체질 = 15
1.3.7 선택독성 = 16
1.3.8 종차, 개체차, 인종차 = 16
1.4 상호작용 = 17
1.4.1 약물상호작용 = 17
1.5 용량반응 = 21
1.5.1 용량-반응 관계 = 21
1.5.2 용량-반응곡선 = 21
1.5.3 용량반응의 비교 = 22
1.5.4 각종 독성지수 = 22
1.6 독성영향인자 = 23
1.7 독성의 분류 = 24
1.7.1 약제유발성 독성 = 24
1.7.2 선택독성 = 24
1.7.3 종차 및 개체차 = 24
1.7.4 규제독성시험 = 25
1.8 실험동물 = 26
1.8.1 독성시험에 사용되는 동물 종 = 26
1.8.2 환경독성시험에 사용되는 동물종 = 27
1.8.3 실험동물관리 = 27
1.8.4 동물실험의 윤리 = 28
1.9 시험자료의 해석 = 28
1.9.1 기초수치의 산출 = 29
1.9.2 자료의 분포 = 30
1.9.3 군간검정 = 32
1.9.4 3군이상의 다군간검정 = 32
1.9.5 분포를 이용하지 않은 검정법 = 34
1.9.6 빈도자료의 평가 = 36
1.9.7 경향검정 = 37
1.9.8 발암성시험 = 38
1.9.9 통계학적 유의차와 생물학적 유의차 = 38
1.9.10 제1종 및 제2종의 오류 = 39

2장 독성발현기전 = 41
2.1 분자 수준의 변화 = 41
2.1.1 최종독성물질 = 41
2.1.2 표적분자 = 44
2.1.3 최종 독성물질과 표적분자와의 반응 = 45
2.1.4 최종 독성물질과 표적분자와의 반응에 의한 변화 = 47
2.1.5 분자수준의 방어와 그 한계 = 49
2.1.6 분자수준의 수복 = 50
2.2 세포·조직수준의 변화 = 51
2.2.1 신호전달계와 유전자발현 = 51
2.2.2 아포토시스 = 54
2.2.3 세포·조직수준의 방어·수복 = 56

3장 체내동태, 대사 = 60
3.1 막수송 = 60
3.1.1 막수송 = 61
3.1.2 약물 수송체 = 62
3.2 흡수 = 63
3.2.1 피부로부터의 흡수 = 63
3.2.2 위장관으로부터의 흡수 = 65
3.2.3 폐로부터의 흡수 = 66
3.3 분포 = 67
3.4 대사 = 68
3.4.1 약물대사효소 = 68
3.4.2 약물대사효소의 분포 = 74
3.4.3 제 1상 대사반응 = 74
3.4.4 제 Ⅱ상 대사반응 = 82
3.4.5 약물대사효소의 유도 = 89
3.4.6 약물대사효소의 억제 = 90
3.5 배설 = 91
3.5.1 신장으로부터의 배설 = 91
3.5.2 담즙으로의 배설 = 93
3.5.3 폐를 통한 배설 = 93
3.5.4 그 밖의 경로를 통한 배설 = 94
3.6 독성동태 = 95
3.6.1 독성발현과 독성동태 = 96
3.6.2 1-구획 모델 = 98
3.6.3 2-구획 모델 = 103
3.6.4 생리학적 모델 = 107
3.6.5 독성시험과 독성동태

4장 위해성 평가, 위해성관리 = 112
4.1 위험성 확인·용량반응평가 = 112
4.1.1 위험성 확인 = 112
4.1.2 용량반응평가 = 115
4.2 노출 평가 = 118
4.3 위해도결정 = 119
4.4 위해성관리 = 119
4.5 위해성 전달 = 120
4.6 행정, 법규 등 = 120
4.6.1 위해도평가, 위해도 관리에 관계되는 법규와 독성학자의 역할 = 120
4.6.2 독성시험기준 = 120
4.6.3 비임상시험기관리기준 또는 우수실험실운영기준 = 122

5장 화학물질의 유해작용 = 124
5.1 의약품 = 124
5.1.1 주요 약화사례 = 124
5.1.2 대표적인 의약품의 유해작용 = 130
5.2 화장품 = 143
5.2.1 FDA의 사용금지 또는 사용제한 성분 = 144
5.2.2 CIR 또는 IFRA의 사용제한성분 = 144
5.2.3 불순물 = 144
5.2.4 기타 = 145
5.3 식품, 식품첨가물, 식품오염물질, 사료첨가물 = 145
5.3.1 식품 = 145
5.3.2 식품첨가물 = 148
5.3.3 식품오염물질 = 149
5.3.4 사료첨가물 = 153
5.4 농약 = 153
5.4.1 농약의 정의 = 153
5.4.2 농약의 분류 = 153
5.4.3 농약의 독성과 잔류성 = 154
5.4.4 농약의 중독 증상과 해독법 = 158
5.5 산업화학물질, 분진, 금속, 환경오염물질 = 162
5.5.1 산업 화학물질의 허용농도 설정 = 162
5.5.2 산업화학물질 = 163
5.5.3 분진 = 166
5.5.4 중금속 = 167
5.5.5 환경오염물질 = 171
5.5.6 산업화학물질의 분류 = 172
5.6 천연독성물질 = 175
5.6.1 동물성 독성물질 = 175
5.6.2 식물독 = 181
5.6.3 진균과 세균의 독소 = 185
5.7 방사성물질, 자외선 = 188
5.7.1 방사선의 유해작용 = 188
5.7.2 내부피폭 = 190

6장 장기독성시험 = 193
6.1 일반독성 = 193
6.1.1 단회투여 독성시험 = 193
6.1.2 반복투여 독성시험 = 194
6.1.3 공통사항 = 196
6.1.4 기타사항 = 196
6.2 안전성약리시험 = 197
6.2.1 안전성약리시험의 정의 = 197
6.2.2 Core battery 시험 = 198
6.2.3 추적시험 및 안전성약리 보충시험 = 198
6.2.4 2차 약력학 시험 = 199
6.3 유전독성 = 199
6.3.1 유전독성이란 = 199
6.3.2 유전적 손상 = 200
6.3.3 유전독성시험 = 203
6.3.4 유전독성시험으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 = 213
6.4 발암성 = 216
6.4.1 발암물질의 분류 = 216
6.4.2 발암물질의 종류 = 217
6.4.3 발암기전 = 220
6.4.4 화학발암물질의 대사 = 223
6.4.5 완전발암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거대분자 부가체 = 223
6.4.6 암유전자 및 암억제유전자 = 224
6.4.7 세포유착분자 = 226
6.4.8 세포주기와 신호전달 = 227
6.4.9 발암 수식 인자 = 229
6.4.10 발암성평가 = 229
6.4.11 직업과 관련되는 화학발암물질 = 231
6.5 생식발생독성 = 233
6.5.1 역사적 배경 = 233
6.5.2 생식발생독성 등의 정의 = 233
6.5.3 생식독성 = 234
6.5.4 실험동물과 사람의 비교발생 = 240
6.5.5 발생독성의 기초 = 242
6.5.6 생식발생독성의 검색 = 248
6.6 호흡기독성 = 254
6.6.1 호흡기 독성 = 254
6.6.2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 255
6.6.3 호흡기 장해 = 258
6.6.4 흡입독성물질 = 260
6.6.5 흡입독성실험 = 263
6.6.6 결론 = 267
6.7 신경행동독성 = 268
6.7.1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268
6.7.2 독성발현기전 = 274
6.7.3 독성물질 = 284
6.7.4 행동독성시험 = 285
6.8 면역독성 = 293
6.8.1 면역이상과 면역독성 = 293
6.8.2 면역계의 구성과 기능 = 294
6.8.3 화학물질에 의한 면역장애와 그 기전 = 300
6.8.4 면역억제 = 300
6.8.5 자가면역 = 301
6.8.6 알레르기 = 302
6.8.7 면역독성 시험법 = 304
6.9 피부 점막독성 = 306
6.9.1 피부의 구조와 기능 = 306
6.9.2 화학물질의 피부투과 및 흡수 = 307
6.9.3 피부독성의 분류와 발현기구 = 308
6.9.4 피부독성시험범 = 311
6.9.5 점막독성 = 312
6.10 혈액·조혈독성 = 313
6.10.1 적혈구와 그 이상 = 317
6.10.2 백혈구와 그 이상 = 320
6.10.3 혈소판과 그 이상 = 322
6.11 순환기 독성 = 323
6.11.1 순환기 독성학 개설 = 323
6.11.2 심장독성학 총론 = 323
6.11.3 심근의 흥분과 부정맥 = 326
6.11.4 심근의 수축기능과 심부전 = 329
6.11.5 심독성물질 = 330
6.11.6 혈관의 독성학 = 330
6.12 소화기계 독성 = 336
6.12.1 소화관의 구조와 생리기능 = 336
6.12.2 실험동물에 관한 유의점 = 338
6.12.3 구토와 설사의 병리 = 340
6.12.4 구강독성 = 342
6.12.5 식도독성 = 343
6.12.6 위독성 = 343
6.12.7 장독성 = 346
6.12.8 외분비 췌장독성 = 347
6.13 간 독성 = 347
6.13.1 간의 구조 = 347
6.13.2 간의 기능 = 349
6.13.3 손상의 분류 = 351
6.13.4 손상발생기전 = 353
6.13.5 화학물질에 대한 간의 특수 반응 = 354
6.13.6 대표적인 간손상 물질 = 355
6.13.7 간손상과 임상검사 = 359
6.14 신장독성 = 361
6.14.1 신장의 구조와 기능 = 361
6.14.2 신장의 수송체와 약물상호작용 = 364
6.14.3 신장독성의 임상검사 = 365
6.14.4 신장의 병태생리학적 반응 = 366
6.14.5 신장독성의 손상기전과 손상부위 = 367
6.14.6 대표적인 신장독성물질 = 369
6.15 내분비독성 = 373
6.15.1 내분비총론 = 373
6.15.2 시상하부-뇌하수체계 = 375
6.15.3 갑상선 = 383
6.15.4 부신 = 384
6.15.5 췌장 = 386
6.16 운동기간 독성, 감각기관 독성 = 387
6.16.1 뼈독성 = 389
6.16.2 근육독성 = 390
6.16.3 시각기독성 = 392
6.16.4 청각기독성 = 397

7장 환경독성 = 402
7.1 생태계 = 402
7.1.1 환경오염물질의 동태 = 402
7.1.2 환경에의 영향 = 406
7.1.3 야생생물에의 영향 = 408
7.2 환경오염에 관한 법규와 법에서 정해진 환경독성물질 = 410
7.2.1 유해화학물질과 규제 = 410
7.2.2 유독물 안전관리 체계 = 410
7.2.3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체계 = 411
7.2.4 화학물질의 분류 및 관리 = 411
7.2.5 다이옥신류 = 412

8장 임상중독학 = 414
8.1 중독물질 = 414
8.1.1 환자의 발생상황 = 414
8.1.2 중독환자의 증상 = 415
8.2 환자의 치료 = 418
8.2.1 미흡수독물의 흡수방지 = 418
8.2.2 이미 흡수된 독물의 배설촉진 = 419
8.2.3 해독길항제의 사용 = 420
8.2.4 생명유지요법 = 421
찾아보기 = 425

저자소개

이영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농업대학 수의학과 졸업 후 도쿄대 대학원을 졸업한 농학박사이다. 도쿄대학 의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일본 국립공중위생원 연구원으로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로 지내고 있다. 저서 『가축질병 및 위생학』(1982, 방송통신대학 교재) 역서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지침』(1982)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