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동운부군옥 1

대동운부군옥 1

권문해 (지은이), 남명학연구소 경상한문학연구회 (옮긴이)
  |  
소명출판
2003-06-30
  |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동운부군옥 1

책 정보

· 제목 : 대동운부군옥 1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56260365
· 쪽수 : 404쪽

책 소개

중국의 한자 사전인 <운부군옥(韻府群玉)>의 체제에 따라 편찬한 것이지만 그 내용은 중국의 것이 아니라 조선에 당시까지 전해오던 수많은 책을 참고하여 정리한 '조선 지식'의 집대성이었다. - 동아일보

목차

1권

번역편
상평성
『대동운부군옥』 서
발(跋)
부해동잡록발(附海東雜錄跋)
『대동운부군옥』 범례(凡例)
『대동운부군옥』 찬집서적(纂輯書籍) 목록(目錄)
『대동운부군옥』 목록(目錄)
『대동운부군옥』 유목(類目)
『대동운부군옥』 권 1 「상평성(上平聲)」
1. 동자운(東字韻)
2. 동자운(冬字韻)
3. 강자운(江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 一
上平聲
『大東韻府群玉』 序
跋 400
附海東雜錄跋
『大東韻府群玉』 凡例
『大東韻府群玉』 纂輯書籍目錄
『大東韻府群玉』 目錄
『大東韻府群玉』 類目
『大東韻府群玉』 卷之一 上平聲
一. 東
二. 冬
三. 江

2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2 「상평성(上平聲)」
4. 지자운(支字韻)
5. 미자운(微字韻)
6. 어자운(魚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 一
『大東韻府群玉』 卷之二 上平聲
四. 支
五. 微
六. 魚

3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3 「상평성(上平聲)」
7. 우자운(虞字韻)
8. 제자운(齊字韻)
9. 가자운(佳字韻)
10. 회자운(灰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之三 上平聲
七. 虞
八. 齊
九. 佳
十. 灰

4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4 「상평성(上平聲)」
11. 진자운(眞字韻)
12. 문자운(文字韻)
13. 원자운(元字韻)
14. 한자운(寒字韻)
15. 산자운(刪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之四 「上平聲」
十一. 眞
十二. 文
十三. 元
十四. 寒
十五. 刪

5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5 「하평성(下平聲)」
1. 선자운(先字韻)
2. 소자운(蕭字韻)
3. 효자운(肴字韻)
4. 호자운(豪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之五 「下平聲」
一. 先
二. 蕭
三. 肴
四. 豪

6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5 「하평성(下平聲)」
1. 선자운(先字韻)
2. 소자운(蕭字韻)
3. 효자운(肴字韻)
4. 호자운(豪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之五 「下平聲」
一. 先
二. 蕭
三. 肴
四. 豪

7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7 「하평성(下平聲)」
8. 경자운(庚字韻)
9. 청자운(靑字韻)
10. 증자운(蒸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之七 「下平聲」
八. 庚
九. 靑
十. 蒸

8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8 「하평성(下平聲)」
11. 우자운(尤字韻)
12. 침자운(侵字韻)
13. 담자운(覃字韻)
14. 염자운(鹽字韻)
15. 함자운(咸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之八 「下平聲」
十一. 尤
十二. 侵
十三. 覃
十四. 鹽
十五. 咸

9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9 「상성(上聲)」
1. 동자운(董字韻)
2. 종자운(腫字韻)
3. 강자운(講字韻)
4. 지자운(紙字韻)
5. 미자운(尾字韻)
6. 어자운(語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之九 「上聲」
一. 董
二. 腫
三. 講
四. 紙
五. 尾
六. 語

10권

번역편
『대동운부군옥』 권10 「상성(上聲)」
7. 우자운(虞字韻)
8. 제자운(薺字韻)
9. 해자운(蟹字韻)
10. 회자운(賄字韻)
11. 진자운(軫字韻)
12. 문자운(吻字韻)

원문편
『大東韻府群玉』 卷之十 「上聲」
7. 虞
8. 薺
9. 蟹
10. 賄
11. 軫
12. 吻

저자소개

권문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호원(灝元), 호는 초간(草澗)이다. 1534년 지금의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태어났다. 19세 되던 해 가을에 진사시에서 일등을 차지했다. 20세 되던 해에 부인 곽씨를 맞았다. 23세 되던 해 봄에 퇴계 이황을 한서암(寒棲庵)에서 뵙고, 그곳에 머물며 배우기를 청했다. 퇴계와의 만남은 그의 생애에서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다. 오랫동안 직접 가르침을 받으며 학문을 하는 큰 방도에 대해 들었고, 여러 군자들과 함께 절차탁마했다. 29세 때도 우계 가에 있는 서재로 가서 퇴계를 뵙고 학문을 배우며 한 달간 머물렀다. 37세 되던 해 9월에 김부륜(金富倫)·김부필(金富弼) 등과 함께 도산으로 가서 퇴계를 배알했다. 10월에 퇴계 선생이 돌아가자 곡했다. 40세 되던 해 정월에 안동 부사에 제수되었다. ≪연보≫에 따르면 그가 부모님을 모시기에 편하도록 외직을 구했다고 했으나, 퇴계의 제자로서 퇴계의 선양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기도 했다. ≪연보≫에 의하면 몽재(蒙齋) 이안도(李安道)가 와서 퇴계 선생의 묘비에 관한 일을 의론했고, 3월에 여강(廬江)으로 가서 퇴계 선생의 사원을 지었다. 이 일은 비교적 빨리 진행되어 1년 뒤에는 묘우(廟宇)와 재당(齋堂)이 거의 이루어졌다. 이후 9월에는 도산에 모여서 여러 벗들과 서원을 짓는 제반에 대해 의논했다고 했다. 그의 나이 58세 때인 1591년 윤2월 사간원 사간에 제배되었다. 그는 사간에 제배된 뒤에 가장 먼저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과 정철(鄭澈)이 천단(擅斷)하는 죄를 탄핵했다. 양사에서는 이를 계기로 잇따라 논의를 일으켜, 마침내 그는 갑산에 귀양 가게 되었다. 그러나 곧바로 성균관 사예로 바뀌었고, 3월에 사복시정에 제수되었으며, 6월에 사헌부 집의에 제배되었다. 7월에 통정대부에 오르고, 승정원 동부승지에 제배되었다가 우부승지로 승진했고, 8월에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사표를 올리고 예천으로 부모를 뵈러 갔더니, 용천위 상호군이 더해졌다. 초간정사에 있었다. 9월에 조정으로 돌아와 우부승지에 제배되었다. 19일에 또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11월에 다시 부제학 물망에 올랐다. 그때 어머니를 모시기에 편하다는 점을 들어 여러 차례 외직을 구했으나 이부에서 다시 부제학 의망(擬望)에 올렸다. 한음 이덕형도 “이 사람을 외직에 보임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끝내 더 이상의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1591년년 12월 9일 부호군(副護軍)으로 생을 마감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