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고대화론유편 - 전16권

중국고대화론유편 - 전16권

유검화 (지은이), 김대원 (옮긴이)
소명출판
4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고대화론유편 - 전16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고대화론유편 - 전16권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문학 > 중국고전-산문
· ISBN : 9788956265087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0-12-21

책 소개

화론은 역대 화가나 비평가들이 그림에 대한 인식과 토론의 정수를 담은 것으로, 중국의 화론은 방대한 기록으로 전해오고 있다. 다만 그 기록이 모두 한문으로 전하는데다 심오한 역사와 문학, 철학적 내용까지 함축되어 있어서 현대인들이 읽고 이해하기란 쉽지가 않다. 이러한 난제를 풀어주고자 중국 역대 화론을 총망라하여 한국어로 완역했다.

목차

제1편 범론 1
논어에서 그림을 논하다論語論畵――春秋 ??論語??
고공기에서 그림을 논하다考工記記畵――春秋 ?考工記?
장자에서 그림을 논하다莊子論畵――戰國 莊 周 撰
한비자에서 그림을 논하다韓非子論畵――戰國 韓 非 撰
회남자에서 그림을 논하다淮南子論畵――西漢 劉 安 撰
마원이 그림을 논하다伏波論畵――後漢 馬 援 撰
왕충이 그림을 논하다論衡論畵――後漢 王 充 撰
장형이 그림을 논하다平子論畵――東漢 張 衝 撰
왕연수가 그림을 논하다文考賦畵――東漢 王延壽 撰
서간이 그림을 논하다偉長論畵――魏 徐 幹 撰
그림을 칭송하는 서문이다畵贊序――魏 曹 植 撰
육기가 그림을 논하다士衡論畵――西晉 陸 機 撰
왕이가 그림을 논하다平南論畵――後晉 王 ? 撰
안씨가훈에서 그림을 논하다顔氏家訓論畵――北朝 齊 顔之推 撰
정관 공사화록의 서문이다貞觀公私畵錄序――唐 裴孝源 撰
장조가 그림을 논하다文通論畵――唐 張 璪 撰
장조의 소나무와 돌 그림을 보고 쓰다觀張員外畵松石序――唐 符 載 撰
당조명화록 서문이다唐朝名畵錄序――唐 朱景玄 撰
백거이가 그림을 논하다畵記――唐 白居易 撰
장조의 소나무 그림을 논하다畵松詩――唐 元 ? 撰
역대명화기 서론이다歷代名畵記敍論――唐 張彦遠 撰
한기가 그림을 논하다稚圭論畵――宋 韓 琦 撰
구양수가 그림을 논하다六一跋畵――宋 歐陽修 撰
몽계필담에서 그림을 논하다夢溪筆談論畵――宋 沈 括 撰
그림을 노래하다圖畵歌――宋 沈 括 撰
소식이 그림을 논하다東坡論畵――宋 蘇 軾 撰
도화견문지 서론이다圖畵見聞誌敍論――宋 郭若虛 撰
후산담총에서 그림을 논하다後山談叢論畵――宋 陳師道 撰
조열지가 그림을 논하다景迂論形意――宋 晁說之 撰
갈수창이 그림을 논하다守昌論精簡――宋 葛守昌 撰
장돈례가 그림의 효용을 논하다敦禮論畵功用――宋 張敦禮 撰
정강중이 정건과 염립본의 우열을 논하다北山論鄭虔閻立本優劣――宋 鄭剛中 撰
원문이 그림을 논하다質甫論形神――宋 袁 文 撰
강여지가 은사의 벽화를 논하다記隱士畵壁――宋 康與之 撰
유학기가 그림을 논하다方是閒居士小稿論畵――宋 劉學箕 撰

제1편 범론 2
화계에서 그림을 말하다畵繼雜說――宋 鄧 椿 撰
전문시가 그림을 논하다子言論畵――宋 錢聞詩 撰
진선이 그림을 논하다?蝨新話論畵――宋 陳 善 撰
조희곡이 옛 그림을 논하다洞天淸祿古畵辨――宋 趙希鵠 撰
하원이 그림을 논하다子遠論滌畵――宋 何 ? 撰
조맹영이 그림의 품격을 논하다論畵品――宋 趙孟濚 撰
전선이 그림을 논하다?川翁論畵――元 錢 選 撰
조맹부가 그림을 논하다松雪論畵 ――元 趙孟? 撰
양유정이 도회보감의 서문을 쓰다圖繪寶鑑序――元 楊維禎 撰
송렴이 그림의 근원을 논하다畵原――明 宋 濂 撰
주동이 그림을 논하다覆?集論畵――明 朱 同 撰
연자령이 그림을 논하다子寧論畵――明 練 安 撰
서화전습록에서 그림을 논하다書畵傳習錄論畵――明 王 ? 撰(傳)
두경이 그림을 논하다東原集贈劉草?畵――明 杜 瓊 撰
오관이 그림을 논하다匏翁論畵――明 吳 寬 撰
당인이 그림을 논하다六如論畵――明 唐 寅 撰
하량준이 그림을 논하다四友齋畵論――明 何良俊 撰
양신이 그림을 논하다升庵論畵――明 楊 愼 撰
왕세정이 그림을 논하다藝苑?言論畵――明 王世貞 撰
고응원이 그림을 논하다畵引――明 顧凝遠 撰
고렴이 그림을 논하다燕閒淸賞箋論畵――明 高 濂 撰
장건이 그림을 논하다虹橋論畵――明 蔣 乾 撰
범윤림이 그림을 논하다輸蓼館論畵――明 范允臨 撰
사조제가 그림을 논하다五雜俎論畵――明 謝肇? 撰
원굉도가 그림을 논하다甁花齋論畵――明 袁宏道 撰
이일화가 그림을 논하다竹?論畵――明 李日華 撰
이식옥이 그림을 논하다赤牘論畵――明 李式玉 撰
문진형이 그림을 논하다啓美論畵――明 文震亨 撰
진홍수가 그림을 논하다老蓮論畵――明 陳洪綬 撰
장풍이 그림을 논하다大風論畵――明 張 風 撰
왕가옥이 그림을 논하다珊瑚網論畵――明 汪珂玉 撰
방함형이 그림을 논하다邵村論畵――淸 方咸亨 撰

제1편 범론 3
원제가 그림을 논하다苦瓜和尙畵語錄――淸 釋 原 濟 撰
석도가 그림을 논하다石濤論畵――淸 原 濟 撰
왕원기가 그림을 논하다雨?漫筆――淸 王原祁 撰
개자원화전에서 그림을 말하다芥子園畵傳學畵淺說――淸 王? 王蓍 王? 撰
왕욱이 그림을 논하다東莊論畵――淸 王 昱 撰
그림에 관하여 묻고 답하다畵學心法問答――淸 布顔圖 撰

제1편 범론 4
장경이 그림을 논하다浦山論畵――淸 張 庚 撰
방훈이 그림을 논하다山靜居畵論――淸 方 薰 撰
전영이 그림을 논하다履園畵學――淸 錢 泳 撰
왕학호가 그림을 논하다山南論畵――淸 王學浩 撰
동계가 그림을 논하다養素居畵學鉤深――淸 董 棨 撰
성대사가 그림을 논하다谿山臥遊錄――淸 盛大士 撰
이수이가 그림을 논하다小蓬萊閣畵鑑――淸 李修易 撰
장화가 그림을 논하다學畵雜論――淸 蔣 和 撰

제1편 범론 5
소매신이 그림을 논하다畵耕偶錄論畵――淸 邵梅臣 撰
화림이 남종화를 논하다南宗抉?――淸 華 琳 撰
장식이 그림을 말하다畵譚――淸 張 式 撰
화익륜이 그림을 말하다畵說――淸 華翼綸 撰
장기가 그림을 논하다讀畵紀聞――淸 蔣 驥 撰
송년이 그림을 논하다?園論畵――淸 松 年 撰
고병이 지두화를 말하다指頭畵說――淸 高 秉 撰

제2편 품평
고개지가 위진의 명화를 평하다魏晉勝流畵贊――東晉 顧愷之 撰
손창지가 위나라의 그림을 논하다述畵記――北朝 魏 孫暢之 撰
사혁이 화가들의 우열을 평하다古畵品綠――南朝 齊 謝 赫 撰
요최가 속화품에 서문을 쓰다續畵品?序――南朝 陳 姚 最 撰
언종이 장안의 그림을 논하다後畵錄――沙門 彦 悰 撰
두몽이 후화록을 보충하다畵拾遺綠――唐 竇 蒙 撰
이사진이 그림을 품평하다續畵品錄――唐 李嗣眞 撰
장회관이 화기를 집록하다畵斷――唐 張懷瓘撰
황휴복이 화격을 논하다四格――宋 黃休復 撰
유도순이 송나라 명화를 평하다宋朝名畵評――宋 劉道醇 撰
이개선이 그림을 논하다中麓畵品――明 李開先 撰
왕치등이 오군의 그림을 기록하다吳郡丹靑誌――明 王穉登 撰
황월이 그림의 품격을 논하다二十四畵品――淸 黃 鉞 撰

제3편 인물 1
장언원이 지역과 시대의 다른 점을 논하다――歷代名畵記論南北時代――唐 張彦遠 撰
심괄이 인물화를 논하다夢溪筆談論畵人物――宋 沈 括 撰
곽약허가 인물화를 논하다圖畵見聞志論畵人物――宋 郭若虛 撰
소식이 초상화를 논하다東坡論人物傳神――宋 蘇 軾 撰
미불이 인물화를 논하다海嶽論人物畵――宋 米 ? 撰
동유가 인물화를 논하다廣川畵跋論人物畵―― 宋 董 ? 撰
선화화보에서 도석인물화와 소수민족 그림을 논하다宣和畵譜論道釋人物番族――??宣和畵譜??
조희곡이 인물화를 논하다洞天淸祿論畵人物――宋 趙希鵠 撰
진조가 초상화를 논하다江湖長翁集論寫神――宋 陳 造 撰
악가가 그림에 제발하다?史題跋――宋 岳 珂 撰
진욱이 마음 그리는 것을 논하다藏一話?論寫心――宋 陳 郁 撰
조맹부가 인물화를 논하다松雪論畵人物――元 趙孟? 撰
탕후가 인물화를 논하다畵鑑論人物畵――元 湯 ? 撰
유인이 초상화시에 서문을 쓰다田景延寫眞詩序――元 劉 因 撰
왕역의 초상화 비결이다寫像秘訣――元 王 繹 撰
문징명이 인물화를 논하다衡山論畵人物――明 文徵明 撰
이일화가 인물화를 논하다竹?論畵人物――明 李日華 撰
서발이 인물화를 논하다紅雨樓題畵人物――明 徐 撰
주리정이 인물화를 논하다天形道貌畵人物論――明 周履靖 撰
진계유가 인물화를 논하다眉公論畵人物――明 陳繼儒 撰
서심이 인물화를 논하다明畵錄論人物畵――明 徐 沁 撰
장기의 초상화 비요이다傳神秘要――淸 蔣 驥 撰

제3편 인물 2
심종건이 초상 인물화를 논하다芥舟學畵編論傳神人物――淸 沈宗騫 撰
방훈이 인물화를 논하다山靜居論畵人物――淸 方 薰 撰
범기가 인물화를 논하다過雲廬畵論人物――淸 范 璣 撰
정고의 초상화 비결이다寫眞秘訣――淸 丁 ? 撰
소매신이 불상 인물화를 논하다畵耕偶錄論畵佛像人物――淸 邵梅臣 撰
정적이 인물화를 논하다夢幻居畵學簡明論人物畵――淸 鄭 績 撰
송년이 인물화를 논하다?園論畵人物――淸 松 年 撰

제4편 산수 1
고개지가 운대산 그림을 기록하다畵雲臺山記――東晋 顧愷之 撰
종병이 산수화를 논하다畵山水序――南朝 宋 宗 炳 撰
왕미가 그림을 논하다敍畵――南朝 宋 王 微 撰
소역이 산수화를 논하다山水松石格――南朝 梁 蕭 繹 撰(傳)
두보가 그림을 노래하다題畵詩――唐 杜 甫 撰
왕유의 산수화 요결이다山水訣――唐 王 維 撰(傳)
왕유가 산수를 논하다山水論――唐 王 維 撰(傳)
형호가 산수화를 논하다山水賦――五代 荊 浩 撰 (傳)
장언원이 산수화를 논하다歷代名畵記論畵山水樹石――唐 張彦遠 撰
형호가 산수화를 논하다筆法記――五代 荊 浩 撰
형호가 그림을 말하다畵說――五代 荊 浩 撰 (傳)
형호가 산수화를 논하다山水節要――五代 荊 浩 撰 (傳)
이성이 산수화를 논하다山水訣――宋 李 成 撰 (傳)
이징수가 산수화를 논하다畵山水訣――宋 李澄? 撰
심괄이 산수화를 논하다夢溪筆談論畵山水――宋 沈 括 撰
곽약허가 세 사람의 산수화를 논하다圖畵見聞志論三家山水――宋 郭若虛 撰
소식이 산수화를 논하다東坡論山水畵――宋 蘇 軾 撰
곽희 부자가 산수화를 논하다林泉高致――宋 郭熙 郭思父子 撰
조보지가 동원 그림에 쓰다無咎跋董源畵――宋 晁補之 撰
미불이 산수화를 논하다海嶽論山水畵――宋 米 ? 撰
동유가 산수화를 논하다廣川畵跋論山水畵――宋 董 ? 撰
선화화보의 산수화 서문이다山水?論――??宣和畵譜??
한졸이 산수화를 논하다山水純全集――宋 韓 拙 撰

제4편 산수 2
미우인이 제발하다元暉題跋――宋 米友仁 撰
탕후가 산수화를 논하다畵鑑論畵山水――元 湯 ? 撰
요자연이 그림의 금기사항을 논하다繪宗十二忌――元 饒自然 撰
황공망이 산수화의 요결을 말하다寫山水訣――元 黃公望 撰
예찬이 산수화를 논하다雲林論畵山水――元 倪 瓚 撰
왕리가 그림을 논하다畸翁畵敍――明 王 履 撰
심주가 산수를 논하다石田論畵山水――明 沈 周 撰
당인이 산수를 논하다六如論畵山水――明 唐 寅 撰
문징명이 산수화를 논하다衡山論畵山水――明 文徵明 撰
문가가 산수화에 제발하다文水題畵山水――明 文 嘉 撰
막시룡이 그림을 말하다畵說――明 莫是龍 撰
왕치등이 산수화를 논하다百穀論畵山水――明 王穉登 撰
동기창이 그림을 논하다畵禪室論畵――明 董其昌 撰
당지계가 그림을 말하다繪事微言――明 唐志契 撰
왕긍당이 그림을 논하다鬱岡齋筆?論畵――明 王肯堂 撰
이유방이 산수화를 논하다檀園論畵山水――明 李流芳 撰
진계유가 산수화를 논하다眉公論畵山水――明 陳繼維 撰
이일화가 산수화를 논하다竹?論畵山水――明 李日華 撰
조좌가 그림을 논하다文度論畵――明 趙 左 撰
산수화를 노래하다畵山水歌――明 無名氏撰
운향이 산수화를 논하다道生論畵山水――明 ? 向 撰
심호가 그림을 말하다畵?――明 沈 顥 撰
남영이 산수화에 쓰다??題山水畵――明 藍 瑛 撰
석도가 산수화를 논하다石濤論山水畵――淸 原 濟 撰
공현의 화결이다?安節先生畵訣――淸 龍 賢 撰
공현이 그림을 말하다柴丈畵說――淸 ? 賢 撰
공현이 학생들에게 그림을 말하다半千課徒畵說――淸 ? 賢撰

제4편 산수 3
서심이 궁실화와 산수화를 논하다明畵錄論畵宮室山水――淸 徐 沁 撰
달중광이 화법을 논하다畵筌――淸 ?重光 撰 王? ?格評
탕이분이 화전을 분석하다畵筌析覽――淸 湯貽汾 撰
비한원이 산수화 방식을 논하다山水畵式――淸 費漢源 撰
당대가 그림을 말하다繪事發微――淸 唐 垈 撰
심종건이 산수화를 논하다芥舟學畵編論山水――淸 沈宗騫 撰

제4편 산수 4
방훈이 산수화를 논하다山靜居論畵山水――淸 方 薰 撰
범기가 산수화를 논하다過雲廬論畵山水――淸 范 璣 撰
전두가 그림을 논하다松壺畵憶――淸 錢 杜 撰
성대사가 산수화를 논하다谿山臥遊錄論畵山水――淸 盛大士 撰
정적이 산수화를 논하다夢幻居畵學簡明論山水――淸 鄭 績 撰
공연식이 그림의 요결을 말하다石村畵訣――淸 孔衍式 撰
소매신이 산수화를 논하다畵耕偶錄論畵山水――淸 邵梅臣 撰
장식이 산수화를 논하다畵譚論畵山水――淸 張 式 撰
대희가 그림에 관하여 논하다習苦齋題畵――淸 戴 熙 撰
대이항의 화결이다醉蘇齋畵訣――淸 戴以? 撰
송년이 산수화를 논하다?園論畵山水――淸 松 年 撰

제5편 화조축수매란국죽 1
두보가 말 그림을 논하다丹靑引――唐 杜 甫 撰
두보가 말 그림을 찬미하다畵馬贊――唐 杜 甫 撰
백거이가 대 그림을 노래하다畵竹歌――唐 白居易 撰
용 그림을 논의하다畵龍輯議――宋 董 羽 撰
몽계필담에서 서희와 황전의 다른 점을 논하다夢溪筆談論徐黃二體――宋 沈 括 撰
몽계필담에서 모란 그림을 논하다夢溪筆談論牡丹叢――宋 沈 括 撰
몽계필담에서 영모 그림을 논하다夢溪筆談論畵獸毛――宋 沈 括 撰
도화견문지에서 황전과 서희 그림의 다른 점을 논하다圖畵見聞志論黃徐體異――宋 郭若虛 撰
도화견문지에서 싸우는 소 그림을 논하다圖畵見聞誌論鬪牛畵――宋 郭若虛 撰
소식이 대숭의 소 그림을 쓰다東坡書戴嵩畵牛――宋 蘇 軾 撰
소식이 황전의 참새 그림을 쓰다東坡書黃筌畵雀――宋 蘇 軾 撰
문동이 그린 운당곡에 드리운 대를 쓰다――文與可畵??谷偃竹記――宋 蘇 軾 撰
진사도가 말과 호랑이 그림을 논하다後山論畵馬虎――宋 陳師道 撰
학림옥로에서 말과 초충 그림을 논하다――鶴林玉露論畵馬畵草蟲――宋 羅大經 撰
화사에서 대 그림을 논하다畵史論畵竹――宋 米 ? 撰
광천화발에서 대숭의 소 그림을 논하다廣川畵跋書戴嵩畵牛――宋 董 ? 撰
광천화발에서 화조 그림을 논하다廣川畵跋論花鳥畵――宋 董 ? 撰
선화화보에서 채소와 과일을 논하다蔬果敍論――??宣和畵譜??
선화화보에서 화조를 논하다花鳥敍論――??宣和畵譜??
선화화보에서 축수를 논하다畜獸敍論――??宣和畵譜??
덕홍이 소 그림에 제발하다覺範跋畵牛――宋 沙門 德 洪 撰
중인의 매보이다華光梅譜――宋 釋仲仁 撰(傳)
동천청록에서 화조화를 논하다洞天淸祿論畵花鳥――宋 趙希鵠 撰
조맹견이 매화를 읊다子固畵梅詩――宋 趙孟堅 撰
이간의 죽보이다竹譜――元 李 ? 撰
장퇴공이 묵죽을 논하다張退公墨竹記――元 張退公 撰
조맹부가 대 그림을 논하다松雪論畵竹――元 趙孟? 撰
기구사의 제발이다丹邱題跋――元 柯九思 撰
화감에서 화조화를 논하다畵鑑論畵花鳥――元 湯 ? 撰
송렴이 매화 그림을 논하다景濂論畵梅――明 宋 濂 撰
매보를 절록하다梅譜――明 沈 襄 撰
오혁이 화훼화를 논하다葉鄕題花卉――明 吳 奕 撰
축윤명이 꽃과 과일 그림을 논하다枝山題畵花果――明 祝允明 撰
문징명이 화훼화를 논하다衡山論畵花卉――明 文徵明 撰
주천구가 화훼화를 논하다公瑕題花卉――明 周天球 撰
서위가 화훼화를 논하다天池題畵花卉――明 徐 渭 撰
왕세정이 화조화를 논하다?州論花鳥畵――明 王世貞 撰
왕세정이 말 그림을 논하다?州論畵馬――明 王世貞 撰
왕치등이 말 그림을 논하다百穀論畵馬――明 王穉登 撰
손광이 화조화를 논하다月峰論畵花鳥――明 孫 鑛 撰
유세유의 매보를 절록하다雪湖梅譜――明 劉世儒 撰
형동이 대 그림을 논하다來禽館題畵竹――明 邢 ? 撰
노득지가 묵죽을 논하다魯氏墨君題語――明 魯得之 撰

제5편 화조축수매란국죽 2
이일화가 난과 대 그림을 논하다竹?論畵蘭竹――明 李日華 撰
이일화가 소와 말 그림을 논하다竹?論畵牛馬――明 李日華 撰
진계유가 대 그림을 논하다眉公論畵竹――明 陳繼儒 撰
이조형이 노득지의 설죽에 쓰다醉鷗題孔孫雪竹卷――明 李肇亨 撰
광동신어에서 말 그림을 논하다廣東新語論畵馬――明 屈大均 撰
석도가 대 그림을 논하다石濤論畵竹節――淸 原濟 撰
명화록에서 축수화를 논하다明畵錄論畵畜獸――淸 徐 沁 撰
명화록에서 화조화를 논하다明畵錄論畵花鳥――淸 徐 沁 撰
명화록에서 묵매화를 논하다明畵錄論畵墨梅――淸 徐 沁 撰
명화록에서 묵죽화를 논하다明畵錄論畵墨竹――淸 徐 沁 撰
명화록에서 소과화를 논하다明畵錄論畵蔬果――淸 徐 沁 撰
개자원화전에서 화훼화를 말하다芥子園畵傳畵花卉淺說――淸 王? 等 撰
개자원화전에서 화훼와 초충 그림을 말하다――芥子園畵傳畵花卉草蟲淺說――淸 王? 等 撰
개자원화전에서 국화 그림을 말하다芥子園畵傳畵菊淺說――淸 王? 等 撰
개자원화전에서 난 그림을 말하다芥子園畵傳畵蘭淺說――淸 王? 等 撰
개자원화전에서 대 그림을 말하다畵芥子園畵傳――淸 王? 等 撰
개자원화전에서 매화 그림을 말하다芥子園畵傳畵梅淺說――淸 王? 等 撰
개자원화전에서 영모화를 말하다芥子園畵傳畵翎毛淺說――淸 王? 等 撰

제5편 화조축수매란국죽 3
왕자원이 그림을 논하다天下有山堂畵藝――淸 汪之元 撰
사례가 매화 그림을 논하다榕巢題畵梅――淸 ? 禮 撰
추일계의 화보에서 절록하다小山畵譜――淸 鄒一桂 撰
김농이 말 그림에 제하다冬心畵馬題記――淸 金 農 撰
정섭이 난과 대 그림에 제하다板橋題畵蘭竹――淸 鄭 燮 撰
장화가 대 그림에 관하여 기록하다寫竹雜記――淸 蔣 和 撰
방훈이 화훼 영모 초충 그림을 논하다――山靜居論畵花卉翎毛草蟲――淸 方 薰 撰
소매신이 화훼 그림을 논하다畵耕偶錄論畵花卉――淸 邵梅臣 撰
이수이가 화훼 그림을 논하다小蓬萊閣畵鑑論畵花卉――淸 李修易 撰
범기가 화훼화를 논하다過雲廬論畵花卉――淸 范 璣 撰
이경황의 죽보이다似山竹譜――淸 李景黃 撰
정적이 화훼와 영모화를 논하다夢幻居畵學簡明論花卉翎毛――淸 鄭 績 撰
송년이 화훼와 영모화를 논하다?園論畵花卉翎毛――淸 松 年 撰

제6편 감장.장표.공구와 설색
장언원이 작품의 가치와 등급을 논하다歷代名畵記論名價品第――唐 張彦遠 撰
미불이 표구와 옛 그림의 감상을 논하다畵史論鑑賞裝?古畵――宋 米 ? 撰
조희곡이 작품의 임모 감식 수장을 논하다洞天靑祿論臨模鑒藏――宋 趙希鵠 撰
도륭이 그림을 논하다畵箋――明 屠 隆 撰
장축이 그림의 감정과 감상을 논하다淸河書畵舫論賞鑒――明 張 丑 撰
장태계가 그림을 논하다寶繪錄敍論――明 張泰階 撰
주가주가 표구에 관하여 적다裝潢誌――明 周嘉胄 撰
당지계가 서화의 감상과 수장을 논하다繪事微言論鑒藏――明 唐志契 ?
개자원화전에서 채색법을 논하다芥子園畵傳論設色各法――淸 王? 等 撰
주이학이 표구방법을 기록하다延素賞心錄――淸 周二學 撰
심종건이 그림공구와 설색을 논하다――芥舟學畵編論工具和設色――淸 沈宗騫 撰
성대사가 인장과 설색을 논하다谿山臥遊錄論印章設色――淸 盛大士 撰
장식이 색 제조법을 논하다畵譚論製色――淸 張 式 撰
소매신이 종이와 붓을 논하다畵耕偶?論紙筆――淸 邵梅臣 撰
이수이가 종이 붓 채색을 논하다小蓬萊閣畵鑑論紙筆顔色――淸 李修易 撰
화익륜이 종이와 붓을 논하다畵說論紙筆――淸 華翼綸 撰
송년이 감상과 소장, 종이와 호분을 논하다?園論鑒藏紙粉――淸 松 年 撰
육시화가 그림과 글씨를 말하다書畵說鈴――淸 陸時化 撰

저자소개

유검화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이름은 곤(崑)인데 자로 많이 알려졌다. 산동성 제남 사람으로 상해와 남경에 오래 있었다. 1919년 북경고등사범학교 도화수공과를 졸업하고 진사증(陳師曾)에게 그림을 공부하여 산수화와 화훼화를 잘 그렸고, 아울러 서예도 능하였다. 특히 중국미술사론(中國美術史論) 방면의 연구업적이 더욱 위대하다. 상해신화예대, 상해미전, 동남연대, 기남대학교수 및 성명문학원교수 겸 교무장ㆍ상해학원부원장ㆍ화동예전ㆍ남경예술학원교수를 역임하였다. 저서 : <중국미술가인명사전>ㆍ<중국회화사>ㆍ<국화연구>ㆍ<중국벽화>ㆍ<중국산수화적남북종론>ㆍ<왕불>ㆍ<중국화론유편>ㆍ<역대명화기주석>ㆍ<도화견문지주석>ㆍ<선화화보주석>ㆍ <석도화어록주석>ㆍ<서법지남>ㆍ<최신도안법>ㆍ<입체도안법> 등이 있다.
펼치기
김대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한국 경북 안동 출생. 현재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경희대학교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고려대학에서 한문학 전공으로 문학박사를 취득하였다. 대한민국미술대전에서 두 번의 특선과 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제3회 월전미술상을 수상하였고 20회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300여회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저역서로 <중국역대화론>I~V(다운샘)·<중국고대화론유편>1~16(소명)·<원림과 중국문화>1~4(학고방)·<중국화론집성 주석본>1~5(학고방)·<중국화론 집요>(학고방)가 있으며, 공역으로 <집자묵장필휴>1~8(고요아침)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