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56761572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06-10-30
목차
Chapter 1 여가의 학문적 접근
1. 학문으로서의 여가학
2. 여가학 발전에 영향을 주는 요소
3. 여가학의 성격
4. 여가학의 영역
5. 한국에서의 여가학의 가능성
6. 여가학의 과제
Chapter 2 여가의 학문적 과제
1. 여가학의 위치
2. 한국에서의 여가학
3. 미국에서의 여가학
4. 여가학의 새로운 교과과정 모형
Chapter 3 여가의 개념
1. 일반적 여가 개념
2. 일반적 여가 개념에 대한 논의
3. 미국의 여가 개념 모델
4. 한국의 여가의 구성 요소
5. 여가의 새로운 정의
Chapter 4 여가와 관련된 유사 개념
1. 놀이
2. 게임
3. Caillos의 게임론
4. 레크리에이션
5. 스포츠
6. 진지한 여가
Chapter 5 몰입
1. 몰입의 정의
2. 몰입의 조건과 모델
3. 몰입의 특징
4. 몰입의 의미와 과정
5. 몰입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Chapter 6 여가학 연구방법
1.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2. 여가학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
3. 한국의 여가 연구의 한계
Chapter 7 현대사회와 여가
1. 여가 증가와 감소에 대한 다양한 의견
2. 여가의 본질의 변화
3. 여가문화 확산의 결정요인
Chapter 8 여가 철학와 역사
1. 여가 철학
2. Aristotle의 여가관
3. 여가의 역사
Chapter 9 여가 행동 이론
1. 여가 행동 이론
2. 여가 욕구
3. 여가 경험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편익
4. 지각된 자유
5. 최적 각성 추구와 이완 추구의 역동성
6. 내재적 동기화
Chapter 10 여가 체험과 이익
1. 여가의 기능
2. 여가의 결과
3. 여가와 행복
Chapter 11 여가와 관련된 사회심리학적인 변인
1. 귀인적 여가 행동론
2. 여가 태도
3. 여가 권태
4. 여가 제약
5. 여가 만족
Chapter 12 여가의 사회적 요인
1. 여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2. 여가와 사회제도
Chapter 13 현대사회의 여가문화
1. 대중 문화
2. 여가 문화
3. 현대 사회의 여가 문제
Chapter 14 치료 레크리에이션
1. 치료 레크리에이션의 정의
2. 치료 레크리에이션의 대상과 장소
3. 치료 레크리에이션과 관련된 유사 개념
4. 치료 레크리에이션의 서비스 모델
4. 치료 레크리에이션 과정
Chapter 15 여가 교육
1. 여가 교육의 정의와 모델
2. 여가 교육의 서비스 영역
3. 여가 교육의 효과
4. 여가 교육의 역할
Chapter 16 여가 정책
1. 여가 정책의 개념과 영역
2. 한국의 여가 정책의 평가
3. 여가 정책의 추진 방향과 과제
4. 여가 정책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