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예방약학 세트 - 전2권

예방약학 세트 - 전2권

(제5판)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위생약학분과회 (엮은이)
신일북스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예방약학 세트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예방약학 세트 - 전2권 (제5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약학 > 약학 일반
· ISBN : 9788957021972
· 쪽수 : 978쪽
· 출판일 : 2009-03-01

목차

예방약학 1

머리말

1. 예방약학 서론 1
1.1 예방약학 개요 1
1.1.1 예방약학의 교육 목표 1
1.1.2 위생화학의 탄생과 예방약학으로의 발전적 변화 2
1.1.3 보건의료와 예방약학 3
1.1.4 예방약학의 내용과 범위 4

2. 보건위생 9
2.1 질병과 건강 9
2.1.1 건강의 개념 9
2.1.2 건강의 성립조건 10
2.1.3 질병 발생의 다요인설 11
2.1.4 질병 발생 과정 13
2.1.5 질병 예방 대책 14
2.2 보건통계 17
2.2.1 보건통계의 활용범위 17
2.2.2 보건통계자료의 종류 17
2.2.3 보건통계의 지표 18
2.3 역학 23
2.3.1 역학의 활용 23
2.3.2 역학자료의 종류 25
2.3.3 역학연구 방법 26
2.3.4 질병의 역학적 특성 35
2.4 전염성 질병의 역학과 관리 39
2.4.1 감염과 질병의 발현 39
2.4.2 전염성 질병의 생성 과정 41
2.4.3 전염성 질병의 관리 43
2.5 비전염성 질환의 역학과 관리 47
2.5.1 비전염성 질환의 역학적 특성 47
2.5.2 비전염성 질환 관리의 일반원칙 49
2.5.3 만성 비전염성 질환 51
2.6 보건의료와 약사의 역할 55
2.6.1 보건의료의 개념 55
2.6.2 일차보건의료와 알마타선언 56
2.6.3 보건의료 서비스의 범위 57
2.6.4 지역사회 보건의료와 약사 58
2.6.5 지역사회 개국 약사의 역할 59
2.6.6 국제 보건 위생 협력 60

3. 영양과 건강 63
3.1 식품과 영양 63
3.2 당질과 질환 65
3.2.1 분류 및 용도 65
3.2.2 당질의 소화, 흡수 및 기능 69
3.2.3 당질과 다른 영양소의 상호작용 71
3.2.4 당질대사의 이상과 질병 72
3.2.5 당의 과다섭취에 의한 질병 75
3.2.6 섬유질과 건강 76
3.3 지질과 질환 87
3.3.1 분류 및 용도 87
3.3.2 지질의 소화와 흡수 91
3.3.3 지질의 생리기능 94
3.3.4 지질대사 이상과 질병 97
3.4 단백질과 질환 103
3.4.1 단백질의 구조 104
3.4.2 필수 아미노산 106
3.4.3 체내질소 균형 108
3.4.4 단백질의 품질 114
3.4.5 단백질의 영양가 판정 115
3.4.6 단백질과 연관된 질병 118
3.5 비타민과 질환 123
3.5.1 분류와 용도 123
3.5.2 비타민 각론 127
3.5.3 비타민과 암 149
3.5.4 비타민과 임신 155
3.5.5 비타민과 기타 질병 156
3.5.6 비타민의 독성 157
3.6 무기질과 질환 163
3.6.1 물과 전해질의 평형 163
3.6.2 무기질 171
3.6.3 무기질 각론 173
3.7 영양과 에너지 대사 189
3.7.1 에너지 단위 189
3.7.2 식품의 에너지 189
3.7.3 에너지 대사량의 측정 190
3.7.4 기초대사 191
3.7.5 특이동적작용 193
3.7.6 에너지소요량 193
3.7.7 영양 권장량과 섭취량 194
3.8 식품과 의약품의 상호작용 197
3.9 건강기능 식품 207
3.9.1 식품의 기능 207
3.9.2 건강기능 식품의 필요성 207
3.9.3 건강기능 식품 209
3.9.4 건강기능 식품소재 210
3.10 기능성 화장품 235
3.10.1 화장품과 기능성 화장품 235
3.10.2 기능성 화장품의 종류 235
3.10.3 기능성 화장품 효능 평가방법 237
3.10.4 기능성 화장품 안전성 평가방법 238

4. 식품위생 241
4.1 식품과 건강 241
4.1.1 식품위생학의 정의 241
4.1.2 식품으로부터 유래되는 건강장해 242
4.2 식품과 미생물 245
4.2.1 자연유래 미생물 245
4.2.2 식품의 위생지표균 248
4.2.3 식품의 부패 250
4.3 식중독 263
4.3.1 세균성 식중독 266
4.3.2 바이러스성 식중독 278
4.3.3 자연독 식중독 280
4.3.4 알레르기성 식중독 295
4.3.5 곰팡이독 296
4.3.6 식품과 전염병 306
4.3.7 식품과 기생충 315
4.4 식품오염물질 325
4.4.1 화학성 식중독 326
4.5 식품첨가물 335
4.5.1 식품첨가물의 안전성 및 규제 337
4.5.2 식품첨가물의 행정 340
4.5.3 식품첨가물 각론 345
4.6 식품잔류물 385
4.6.1 잔류 농약 385
4.6.2 사료첨가물과 동물용 의약품 387
4.7 식품중의 발암 및 항암물질 391
4.7.1 식품과 발암성의 관계 391
4.7.2 식품중의 발암성?변이원성물질 391
4.7.3 가공, 조리에 의해 생기는 발암성 물질 393
4.7.4 식품중의 항변이원성 및 항암물질 396
4.8 식품 일반 399
4.8.1 우유 399
4.8.2 유전자 재조합 식품 403
4.9 식품위생행정 및 법규 409
4.9.1 식품위생행정 409
4.9.2 식품위생법규 409
4.9.3 식품위생감시 410
4.9.4 식품가공분야의 품질관리제도 412

부록(Ⅰ)
[부록 Ⅰ] 허용보존료와 그 사용기준 415
[부록 Ⅱ] 허용 산화방지제와 그 사용기준 416
[부록 Ⅲ] 착색료의 종류와 그 사용기준 417
[부록 Ⅳ] 발색제와 그 사용기준 418
[부록 Ⅴ] 표백제와 그 사용기준 419
[부록 Ⅵ] 밀가루 개량제와 그 사용기준 420
[부록 Ⅶ] 감미료와 그 사용기준 421
[부록 Ⅷ]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착향료 422
[부록 Ⅸ] 인삼(건조품)의 농약잔류허용기준 423
[부록 Ⅹ] 식육의 농약 잔류 허용기준 424
[부록 ] 생약의 유기염소계 잔류농약 적용범위와
허용기준 (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 제 1999-5호) 425
[부록 ] 식품중 항생물질의 잔류 허용기준 426
[부록 ⅩⅢ] 식품중 합성항균제의 잔류 허용기준 427
[부록 ⅩⅣ] 식품중 성장호르몬제의 잔류허용기준 428
[부록 ⅩⅤ] 식품위생행정 및 법규 부록 429
[부록 ⅩⅥ]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 438

INDEX
찾아보기



예방약학 2

머리말

5. 화학물질과 독성 487
5.1 환경인자와 건강 487
5.1.1 환경인자에 대한 생체 반응 487
5.1.2 생체방어 488
5.1.3 화학물질과 건강영향 490
5.2 화학물질의 생체내 동태 493
5.2.1 흡수 494
5.2.2 분포와 축적 502
5.2.3 배설 507
5.3 화학물질의 대사 515
5.3.1 대사의 중요성 516
5.3.2 화학물질의 해독과 독화 517
5.3.3 PhaseⅠ 및 Phase Ⅱ 519
5.3.4 약물대사효소의 분포 522
5.3.5 대사 효소 522
5.3.6 화학물질의 생체내 대사양식 528
5.3.7 장내세균의 역할 545
5.3.8 화학물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547
5.4 화학물질의 독성발현기전 557
5.4.1 간장해성 화학물질의 독성기전 557
5.4.2 혈액장해성 화학물질의 독성기전 564
5.4.3 화학발암기전 568
5.5 중금속 585
5.5.1 카드뮴(Cd) 585
5.5.2 크롬(Cr) 590
5.5.3 납(Pb) 592
5.5.4 수은(Hg) 598
5.5.5 비소 603
5.5.6 생체내에서의 금속간 상호작용 606
5.6 농약 609
5.6.1 농약의 특성과 건강장해 609
5.6.2 유기염소계 살충제 614
5.6.3 유기인계 살충제 617
5.6.4 Carbamate계 살충제 621
5.6.5 유기염소계 제초제와 TCDD 623
5.6.6 Bipyridyl 유도체 제초제 625
5.7 유기오염물질 627
5.7.1 PCB 627
5.7.2 유기용제 632
5.7.3 다환방향족탄화수소 642
5.7.4 Plastic monomer와 첨가제 643
5.8 내분비계 장애물질 653
5.8.1 정의 653
5.8.2 특성 653
5.8.3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654
5.8.4 인간에 미치는 영향 655
5.8.5 내분비계 장애기전 656
5.8.6 내분비계 장애물질 평가 658
5.8.7 생활환경 관리 660

6. 물리적 환경인자와 건강 663
6.1 물리조건과 생체 663
6.1.1 공기의 온열조건 664
6.1.2 체온조절과 온열조건 665
6.1.3 체감온도 지표 666
6.1.4 저압, 고압환경과 생체 668
6.2 방사선과 생체 671
6.2.1 방사능 오염의 현황 672
6.2.2 식품의 방사선 조사와 위생 673
6.2.3 방사능의 인체영향 681
6.2.4 마이크로파 685
6.2.5 전자기장 686
6.3 소음 689
6.3.1 음의 물리량 689
6.3.2 음의 감각량 690
6.3.3 소음원 691
6.4 진동 693
6.4.1 진동의 성질과 단위 693
6.4.2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694

7. 환경오염과 건강 697
7.1 생태계와 물질순환 697
7.1.1 물질순환과 생물 697
7.1.2 영양염류의 환경내 순환 699
7.1.3 환경오염물질의 생태계내 동태 702
7.2 수질오염과 건강영향 713
7.2.1 물과 건강장해 713
7.2.2 상수 718
7.2.3 공공용수 733
7.2.4 수질오염 734
7.3 대기오염과 건강영향 763
7.3.1 공기와 환경인자 763
7.3.2 공기의 조성 764
7.3.3 공기의 생체영향 765
7.3.4 공기의 주요 오염성분과 생체영향 769
7.3.5 실내 환경과 위생 777
7.3.6 대기오염과 방지대책 787
7.3.7 악취 797
7.4 토양오염과 건강영향 799
7.4.1 토양오염의 원인과 경로 799
7.4.2 토양오염의 특성 799
7.4.3 토양오염의 현황 801
7.4.4 우리나라 토양오염물질의 기준항목 802
7.5 폐기물오염과 건강 803
7.5.1 폐기물 관리 803
7.5.2 생활 폐기물 804
7.5.3 사업장 폐기물 807
7.5.4 실험실 폐기물 808
7.5.5 의료폐기물 810
7.5.6 폐기물 처리와 건강장애 811

8. 유해화학물질의 평가와 규제 813
8.1 화학물질의 안전성 813
8.1.1 독과 약 813
8.1.2 용량-반응 관계 815
8.1.3 건강의 판정 822
8.1.4 판정조건과 규제기준 824
8.2 유해화학물질의 관리 829
8.2.1 유해화학물질의 규제와 관리 829
8.2.2 안전성 평가 835

9. 산업위생관리 847
9.1 산업위생 847
9.1.1 산업위생의 목표 847
9.1.2 산업위생의 현황 849
9.1.3 산업위생사업 850
9.1.4 직업성 질환 852
9.2 의약품제조 위생관리 857
9.2.1 GMP의 정의 및 필요성 857
9.2.2 KGMP의 주요내용 858
9.2.3 기타 GMP 관련기준과 제조위생 관리 860

부록(Ⅱ)
[부록 1] 먹는물 수질기준 863
[부록 2] 먹는물 수질기준 865
[부록 3] 환경기준 867
[부록 4]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872
[부록 5] 방류수 수질기준 874
[부록 6]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875
[부록 7]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토양오염 대책기준 882
[부록 8] 최대허용체부하량과 직업상의 피폭에 대한 공기 및
물중의 방사성핵종의 최대허용농도 883
[부록 9] 의약품 안전성평가 독성시험법 887
[부록 10] 각종 용수의 규격 기준(KP) 897
[부록 11] 작업환경 관리구역에 따른 청정도 관리기준 899

INDEX
찾아보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