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기타
· ISBN : 9788957024768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9-09-06
목차
교재편찬위원v
머리말vi
한약학개론
제1장 한의약학의 역사
1. 중국 한의약학의 역사
2. 한국의 한의약학의 역사
3. 일본의 한의약학의 역사
제2장 한의약학의 기초이론과 특징
1. 한의약학의 유물변증관
2. 한의약학의 기본 특징
제3장 음양오행(陰陽五行)
1. 음양(陰陽)의 기본개념
2. 음양(陰陽)의 특성
3. 음양론(陰陽論)의 응용
4. 오행(五行)의 기본개념
5. 오행(五行)의 구성과 특성
6. 오행의 상호관계
제4장 사진(四診)
1. 망진(望診)
2. 문진(聞診)
3. 문진(問診)
4. 절진(切診)
제5장 장부론(臟腑論)
1. 장부(臟腑)의 개요( 要)
2. 장부(臟腑)의 생리(生理)와 상호관계(相互關係)
제6장 기혈수론(氣血水論)
1. 기(氣)
2. 혈(血)
3. 수(水) - 진액(津液)
4. 기혈수(진액)의 상호관계
제7장 경락(經絡)
1. 서론
2. 십이경락
3. 기경팔맥(奇經八脈)
4. 인체 부위에서의 경락 분포
5. 수혈( 穴)
제8장 변증(辨證)
1. 병인변증(病因辨證)
2. 기혈진액변증(氣血津液辨證)
3. 육경변증(六經辨證)
4.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5. 삼초변증(三焦辨證)
제9장 사상의학(四象醫學)
1. 사상체질 진단방법
2. 사상체질별 권장 약물과 음식
본초학
-총론-
제1장 본초학(本草學)
1. 본초학의 정의
2. 본초학의 발전
제2장 포제( 製)
1. 포제의 목적
2. 포제의 방법
제3장 본초(本草)의 성능(性能)
1. 사기(四氣)와 오미(五味)
2. 승강부침(昇降浮沈)
3. 약물의 귀경(歸經)
4. 배합(配合)과 금기(禁忌)
-각론-
제1장 해표약(解表藥)
제1절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
제2절 신량해표약(辛凉解表藥)
제2장 청열약(淸熱藥)
제1절 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
제2절 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
제3절 청열양혈약(淸熱凉血藥)
제4절 청열해독약(靑熱解毒藥)
제5절 청허열약(淸虛熱藥)
제3장 사하약(瀉下藥)
제1절 공하약(攻下藥)
제2절 윤하약(潤下藥)
제3절 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
제4장 거풍습약(祛風濕藥)
제5장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제6장 이수삼습약(利水 濕藥)
제7장 온리약(溫裏藥)
제8장 이기약(理氣藥)
제9장 소식약(消食藥)
제10장 구충약(驅蟲藥)
제11장 지혈약(止血藥)
제12장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
제1절 활혈조경지통약(活血調經止痛藥)
제2절 파혈축어소징약(破血逐瘀消 藥)
제13장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제1절 온화한담약(溫化寒痰藥)
제2절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
제3절 지해평천약(止咳平喘藥)
제14장 안신약(安神藥)
제1절 중진안신약(重鎭安神藥)
제2절 양심안신약(養心安神藥)
제15장 평간식풍약(平肝熄風藥)
제1절 평간잠양약(平肝潛陽藥)
제2절 식풍지경약(熄風止痙藥)
제16장 개규약(開竅藥)
제17장 보허약(補虛藥)
제1절 보기약(補氣藥)
제2절 보양약(補陽藥)
제3절 보혈약(補血藥)
제4절 보음약(補陰藥)
제18장 수삽약(收澁藥)
제1절 고표지한약(固表止汗藥)
제2절 염폐지해약(斂肺止咳藥)
제3절 삽장지사약(澁腸止瀉藥)
제4절 삽정지유약(澁精止遺藥)
제19장 용토약(涌吐藥)
제20장 외용약(外用藥)
방제학
제1장 폐장(肺臟)
1. 감기
2. 피부질환
3. 호흡기질환
제2장 비장(脾臟)
1. 구강질환
2. 소화기질환
제3장 간장(肝臟)
1. 안과질환
2. 해독제
3. 기타
제4장 심장(心臟)
1. 순환기질환
2. 신경계질환
3. 출혈성질환
제5장 신장(腎臟)
1. 근골격계질환
2. 부인과질환
3. 비뇨기질환
4. 이비인후과
5. 자양강장제
6. 항문질환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