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57044988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13-12-3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 대상과 범위
제3절 연구방법
제4절 기대효과와 연구결과의 활용
제2장 성과관리에 대한 문헌연구
제1절 성과관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
제2절 성과관리 관련 선행연구 검토
제3절 연구흐름도 및 분석틀
제3장 성과관리계획 수립 및 운영 실태 분석
제1절 성과관리의 법적 근거와 내용
1.성과관리 법적 근거
2.성과관리 추진 체계
3.성과계획의 주요 내용
제2절 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의 수립 원칙 및 구성 요소
1.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 수립 원칙
2.성과관리계획 및 성과계획서의 주요 구성 요소
제3절 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 분석
1.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의 분석 범위와 기준
2.성과관리계획 수립 실태 분석
3.성과계획서 수립 실태와의 비교
제4절 성과관리제도상의 평가제도
1.성과관리시행계획에 대한 평가제도
2.성과계획서에 대한 평가제도
제5절 현행 성과관리제도의 문제점 검토
1.이원화된 법적 근거
2.유사한 성과관리체계
3.관리과제의 중복
4.성과관리 수립절차상의 시차
5.평가체계 및 평가결과 활용의 문제
제4장 해외 주요국 성과관리제도 사례연구
제1절 미국의 성과관리제도
1.미국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2.미국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3.성과관리계획 및 성과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4.성과관리계획과 성과보고서의 검토
5.미국 사례의 시사점
제2절 호주의 성과관리제도
1.호주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2.호주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3.성과관리계획 및 성과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4.성과관리계획과 성과보고서의 검토
5.호주 사례의 시사점
제3절 캐나다의 성과관리제도
1.캐나다 성과관리제도의 발전과정
2.캐나다 성과관리제도 추진체계
3.성과관리계획 및 성과보고서의 주요 구성요소
4.성과관리계획과 성과보고서의 검토
5.캐나다 사례의 시사점
제4절 해외 주요국 성과관리제도 비교 및 시사점
1.성과관리제도의 비교
2.성과관리계획의 검토
제5장 성과관리계획 수립운영 개선을 위한 설문분석
제1절 설문조사 개요
제2절 성과관리계획의 수립
1.성과관리계획 수립의 타당성 지수와 지표 분석
2.직급별 차이 분석
3.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4.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5.성과관리계획의 포괄 업무 관련 개선의견
제3절 성과지표의 설정
1.성과관리계획 수립의 타당성 지수와 지표 분석
2.직급별 차이 분석
3.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4.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제4절 성과관리제도의 효과
1.성과관리계획 수립의 타당성 지수와 지표 분석
2.직급별 차이 분석
3.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4.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5.성과관리계획의 포괄 업무 관련 개선의견
제5절 성과관리계획의 활용
1.성과관리계획 수립의 타당성 지수와 지표 분석
2.직급별 차이 분석
3.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4.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제6절 성과관리체계 중복에 대한 인식
1.성과관리계획 수립의 타당성 지수와 지표 분석
2.직급별 차이 분석
3.담당업무 집단 간 차이 분석
4.기관 단위별 차이 분석: 부단위 기관과 청단위 기관
5.성과관리계획의 포괄 업무 관련 개선의견
제7절 설문분석 결과의 시사점
제6장 성과관리계획 수립 및 운영 개선방안
제1절 성과관리꼐획 관련 법제도 및 추진체계 개선방안
1.성과관리시행계획의 성과계획서로 일원화
2.성과계획 및 정부업무평가로 추진체계 이원화
3.주요정책 자체평가와 재정사업자율평가 폐지 및 국정과제 중심의 특정평가 강화
제2절 자체평가의 자율성 강화 및 평가결과 활용도 제고방안
1.자체평가계획의 자율적 수립 및 활용 강화
2.도전적 계획 수립을 위한 관리과제 선정
제3절 성과계획 수립을 위한 매뉴얼 개선방안
제7장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