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57465912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0-04-10
책 소개
목차
서문 5
Ⅰ. 서론 13
Ⅱ. 생전예수재의 전개와 사상적 배경 21
1. 재회의 기원과 성립배경 21
2. 생전예수재의 역사적 전개 28
3. 생전예수재의 기본 구성과 특성 40
4. 생전예수재의 신앙적 배경 52
1) 명부시왕신앙과 지장신앙 53
(1) 명부시왕신앙 53
(2) 지장신앙 61
2) 아미타정토신앙 72
3) 관음신앙 84
Ⅲ. 생전예수재의 설행 양상 101
1. 태고종의 서울 ‘봉원사 생전예수재’ 101
1) 봉원사 생전예수재의 성립 101
2) 의식 구성과 진행절차 106
3) 설단과 장엄 113
2. 태고종의 경남 밀양 ‘작약산 생전예수재’ 115
1) 작약산예수재의 성립 115
2) 의식의 구성과 진행과정 119
3) 설단과 장엄 123
3. 조계종의 서울 ‘조계사 생전예수재’ 125
1) 1972년 통합 이전 조계사 생전예수재의 성립 125
2) 의식의 구성과 진행과정 128
3) 설단과 장엄 132
4. 조계종의 경남 양산 ‘통도사 생전예수재’ 137
1) 의식의 구성과 진행과정 138
2) 설단과 장엄 142
5. 천태종의 충북단양 ‘구인사 생전예수재’ 143
1) 단양 구인사 생전예수재의 성립 143
2) 의식의 구성과 진행과정 144
3) 설단과 장엄 148
6. 보문종의 서울 ‘보문사 생전예수재’ 150
1) 의식의 구성과 진행절차 150
2) 설단과 장엄 153
Ⅳ. 사례를 통해 본 생전예수재의 보편성과 특수성 157
1. 의례의 구조와 재차 157
2. 설단과 장엄 165
3. 범패와 작법 169
1) 봉원사의 범패와 작법 170
2) 조계사의 범패와 작법 177
3) 구인사․보문사의 범패와 작법 179
4) 작약산의 범패와 작법무 179
5) 통도사의 범패와 작법 186
4. 신도들의 참여방식 186
Ⅴ. 생전예수재의 축제적 성격 189
1. 탑돌이 의식에 내재된 축제성 191
1) 시련행렬 194
2) 명부시왕행렬의 탑돌이 196
3) 금은전탑돌이 198
4) 가마․용선탑돌이 206
2. 음악적 놀이의 화청 210
3. 한국인의 죽음준비문화와 축제성 214
Ⅵ. 결론 221
참고문헌 225
부록/ 생전예수재 의식문 비교 233
찾아보기 2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