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시론
· ISBN : 9788957490235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04-09-01
책 소개
목차
제1부 현대시와 웃음의 체험
제1장 들머리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과 범위
제2장 웃음 시학의 체계
1. 웃음의 개념과 특성
2. 웃음의 전략
3. 웃음의 구조와 유형
1) 웃음의 구조
2) 웃음의 유형
제3장 풍자와 공격의 시학
1. 이데올로기 비판으로서의 정치 풍자
1) 정치제도와 지배 이데올로기 비판
2) 지배계층의 허위와 부정성 비판
2. 가치전도와 세태 풍자
1) 일상 세태의 혼란과 삶의 고통
2) 종교 세태와 신성성의 부정
3. 탈중심화 논리와 성적 풍자
1) 현실원칙과 관습적 성
2) 성적 일탈과 창의적 성
^제4장 유머와 화해의 시학
1. 소재의 확대와 일상적 재미
2. 문체의 격하와 반전의 수사학
3. 웃음 치료와 삶의 재인식
제5장 넌센스와 유희의 시학
1. 익살맞은 불합리와 계획된 혼란
2. 넌센스와 유희의 생산성
제6장 웃음과 한국시의 전망
제7장 마무리
제2부 현대시와 웃음의 전통
제1장 풍자와 패러디
1. 풍자의 방법과 이데올로기
2. 풍자와 패러디의 역학 관계
3. 패러디의 풍자 양상
4. 풍자적 전략으로서 패러디의 위상
제2장 전영경론
1. 들머리
2. 상실의 시대와 풍자정신
3. 전영경 시의 풍자 양상
1) 풍자적 투사의 두 양상
2) 대상풍자로서 세계풍자
4. 1950년대 시문학과 전영경 시의 시사적 의의
5. 마무리
제3장 송욱론
1. 들머리
2. 비판적 지성과 유희정신
3. 송욱 시의 풍자 양식
1) 말놀이와 세계풍자
2) 지식인의 자폐의식과 자기풍자
4. 마무리
제4장 민재식론
1. 들머리
2. 속죄양과 역사의식
3. 민재식 시의 풍자 양식
1) 냉전논리와 세계풍자
2) 이데올로기 비판과 반문명적 전망
4. 마무리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시를 크게 비극과 희극이라는 체험의 다양한 변주로 보더라도, 웃음의 시적 수용이 언제나 동일한 양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다양한 방식을 취해 왔으나, 풍자가 지배적이고 유머나 넌센스, 위트를 발견하기 쉽지 않다. 이러한 경향은 대중사회로 진입하기 직전까지 우리 시의 뚜렷하고도 지배적인 흐름이었다. 대중사회로 들어서면서 웃음의 양상이 세분화되었으며 전략도 한층 다양해졌다. 물론 말놀이를 통한 소극적 대응 양상을 보이는가 하면 조소나 현실분만의 배설에 그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시의 웃음을 전반적으로 살 필 때에는 지배적인 경향인 풍자 이외에 유머, 넌센스, 패러디 들이 형성되는 배경과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