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경남 합천군 율곡면 문림리 태생.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쳤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미성년의 강」이 당선하여 문학사회에 나섰고, 『열린시』 동인. 시집으로 『그리운 주막』, 『가을 악견산』, 『약쑥 개쑥』, 『풀나라』, 『달래는 몽골 말로 바다』, 『옥비의 달』을, 연구·비평서로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한국 근대문학의 실증과 방법』, 『한국 지역문학의 논리』, 『경남·부산 지역문학 연구 1』, 『마산 근대문학의 탄생』, 『유치환과 이원수의 부왜문학』, 『시의 조건, 시인의 조건』, 『지역문학 비평의 이상과 현실』, 『경남·부산 지역문학 연구 4』, 『한국 지역문학 연구』를, 산문집으로 『몽골에서 보낸 네 철』, 『시는 달린다』, 『새벽빛에 서다』, 『지역 인문학: 경남·부산 따져 읽기』를 냈다. 그 밖에 『두류산에서 낙동강에서: 가려뽑은 경남·부산의 시 1』, 『크리스마스 시집』, 『동화시집』, 『소년소설육인집』, 『무궁화: 근포 조순규 시조 전집』 들을 엮었으며, 김달진문학상·부산시인협회상·이주홍문학상·최계락문학상·편운문학상·시와시학상을 받았다. 2020년 정년을 맞아 한정호·김봉희가 엮은 박태일 관련 비평집 『박태일의 시살이 배움살이』가 나왔다. 현재 경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이다.
펼치기
한정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남해에서 태어나, 경남대학교에서 “한국 근대 가족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마쳤다. 1990년 ≪한국문학≫에 시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섰다. 연구서로 ≪지역문학의 이랑과 고랑≫(2011), ≪지역문학의 씨줄과 날줄≫(2015)이 있고, 엮은책으로 ≪김상훈 시연구≫(2003), ≪포백 김대봉 전집≫(2005), ≪꽃보다 아름다운 시≫(2005), ≪정진업 전집(2) 창작?산문≫(2006), ≪서덕출 전집≫(2010), ≪꽃사람-김수돈 문학전집≫(2020)이 있으며, 공저로 ≪한국문학과 성≫(1998), ≪파성 설창수 문학의 이해≫(2011), ≪최치원이 읊은 시의 향기≫(2015), ≪우해별곡≫(2019), ≪그림으로 만나는 우해이어보≫(2020) 등이 있다. 현재 경남대학교 교양융합대학 교수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김봉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경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거쳐 같은 대학원에서 「신고송 문학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예술세계』 희곡 신인상을 받고 문단에 나왔으며, 1997년 대산문화재단에서 희곡 부문 문학인으로 수혜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신고송 문학연구」, 「이일래 동요연구」, 「조희순의 문학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로 『신고송문학전집』 1?2(소명출판, 2008), 『계급문학, 그 중심에 서서』(한국학술정보, 2009), 함께 낸 책으로 『파성 설창수 문학의 이해』(경진출판, 2011)가 있다. 또한 창작 희곡집으로 『저녁전 계단 오르기』(평민사, 1998), 『너울너울 나비야』(예니, 2004), 『멀어지는 그대 뒷모습』(연극과인간, 2012)이 있다.
여러 편의 희곡과 오페라가 공연되었으며, 현재 경남대학교 교양융합대학 의사소통교육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순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밀양에서 나서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정전체제의 형성과 부산지역 문학사회의 동향>, <백산 안희제의 매체 투쟁과 ≪자력(自力)≫>, <광복기 요산 김정한의 문학 활동 연구 (1)~(2)> 등의 논문이 있다. 낸 책으로 ≪한국 현대시와 웃음시학≫(2004), ≪근대시의 전장≫(2014) 등이 있으며, ≪김정한전집≫ 1~5(2008), ≪피란수도 부산의 문학풍경≫(2018), ≪우리ㆍ문화예술교육≫(2020), ≪지역ㆍ문화예술교육≫(2020), ≪들려주고 싶은 삼랑진 이야기≫(2022), ≪대전문학과 매체의 지정학≫(2022), ≪구술로 보는 부산음악의 역사≫(2023) 등을 함께 내기도 했다. 현재 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와 대학원 예술ㆍ문화와 영상매체 협동과정 교수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문옥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태안에서 태어나, 경남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마쳤고, 인제대학교 박사과정에 있다. 1994년 <심상> 신인상으로 문단에 나섰다. 시집으로 <그리운 베이커리>(2001), 5인 공동시집 <시인은 다섯 개의 긴 더듬이가 있다>(1995)가 있다. 2011년 현재 가향문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유경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나, 효성여자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마쳤고, 경남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1년 현재 경남대학교에서 강사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