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민간자격 > 탐정사
· ISBN : 978895821381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1-03-30
책 소개
목차
제1장 범죄심리학의 정의
제1절 범죄심리학의 본질 32
1. 심리학의 본질 32
(1) 심리학의 정의 32
(2) 심리학의 변천 33
(3) 심리학의 정의 요약 33
2. 범죄심리학의 목적 34
3. 범죄심리학의 목적에 대한 정의 34
제2절 범죄심리학의 역사 35
1. 과학적 심리학의 역사 35
(1) 구성주의 35
(2) 기능주의 35
(3) 정신분석 36
(4) 행동주의 36
(5) 형태주의 36
(6) 인본주의 심리학 37
2. 범죄심리학의 역사 37
(1) 18세기 37
(2) 18세기 말 ~ 19세기 초 37
(3) 19세기 중반 38
(4) 20세기 39
제3절 범죄심리학의 연구 주제 및 영역 42
1. 연구주제 42
2. 연구영역 43
제4절 범죄심리학의 접근방법 43
1. 신경생물학적 접근방법 43
2. 행동적 접근방법 44
3. 인지적 접근방법 44
4. 정신분석적 접근방법 45
5. 인본주의적 접근방법 46
6. 상호보완적 접근방법 46
제2장 범죄연구의 역사
제1절 범죄학 탄생 이전의 범죄학 49
1. 마신론 49
2. 자연주의적 경험론 49
제2절 고전파 범죄학 50
1. 개관 50
2. 베카리아 50
(1) 고전학파의 등장 배경 50
(2) 고전주의학파의 전제와 기본주장 51
3. 고전주의 학파의 주요 연구자 52
(1) 베카리아 52
(2) 존 하워드 53
(3) 벤담 54
(4) 포이어바흐 55
4. 고전주의 범죄학에 대한 평가 55
제3절 실증주의 범죄학(Positvist criminology) 56
1. 실증주의 범죄학 탄생배경 56
2. 기본전제 57
3. 이탈리아 학파(범죄인류학파) 57
(1) 롬브로조 57
(2) 범죄자의 분류 58
제4절 생래적 범죄자설 63
1. 범죄통계학 63
2. 두개학, 인상학, 골상학 64
(1) 두개학(頭蓋學) 64
(2) 인상학(人相學) 64
(3) 골상학(骨相學) 65
(4) 생래적 범죄자설에 미친 영향 65
제3장 범죄의 생물학적 원인
제1절 범죄인의 가계연구 67
1. 가계연구의 전개 67
(1) 쥬크가 연구 68
(2) 칼리카그가 68
2. 가계연구의 한계 68
제2절 쌍생아 연구 69
1. 쌍생아연구의 기초 69
(1) 개관 69
(2) 쌍생아연구의 두 가설 70
2. 쌍생아연구의 전개 70
(1) 랑게의 연구 70
(2) 뉴만의 연구 71
(3) 크리스챤센의 연구 71
(4) 달가드와 크링글렌의 연구 71
(5) 슈툼플의 연구 72
3. 쌍생아 연구의 평가 72
제3절 양자연구 73
1. 양자연구의 기원 73
(1) 슐징어의 연구 73
(2) 크로우의 연구 73
(3) 허칭스와 메드닉의 연구 74
2. 평가 75
제4절 염색체 이상 연구 75
1. 염색체와 염색체 이상 75
(1) 염색체 75
(2) 염색체 구성의 비정상성 76
2. XYY 연구의 전개 77
(1) 샌드버그 77
(2) 제이콥스 77
(3) 캐시 78
(4) 위트킨의 연구 78
(5) 일본의 XYY 염색체 연구 78
3. 염색체 이상 연구의 평가 79
제5절 생화학과 범죄(1) ⇨ 성호르몬과 범죄 79
1. 호르몬과 범죄연구 80
(1) 폴링(L. Pauling) 80
(2) 스미스(Smith)와 버만(Burman)의 연구 80
(3) 몰리취(Molitch)와 폴리아코프(Poliakoff)의 연구 80
2. 성호르몬 81
(1) 남성호르몬 81
(2)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81
3. 테스토스테론의 실증적 연구 82
(1) 동물에 대한 테스토스테론의 연구 82
(2) 인간의 공격성에 대한 테스토스테론의 연구 82
4. 성호르몬과 범죄 연구(여성의 월경전후의 범죄) 82
5. 연구의 평가 83
제6절 생화학 범죄(2) ⇨ 영양과 범죄 83
1. 영양과 범죄 연구발전의 배경 84
(1) 특별위원회의 보고 84
(2) 트윙키 항변 84
2. 영양과 범죄의 실증적 연구 85
3. 영양과 범죄의 관련성 85
(1) 지각장애 85
(2) 과할동 반응 86
(3) 저혈당증 86
(4) 알레르기 86
4. 연구의 평가 87
제7절 신경생리학과 범죄(1) ⇨ 이상뇌파와 범죄 87
1. 뇌파 87
2. 뇌파의 이상으로 인한 범죄(이상뇌파) 88
3. 비정상적인 뇌파유형(=이상뇌파)의 연구 88
(1) 메드닉 88
(2) 도로시 루이스 88
(3) 윌리암스 88
4. 비정상적인 뇌파(=이상뇌파)연구의 성과 89
(1) 비정상적인 뇌파와 상관관계가 있는 심리적인 현상 89
(2) 성인의 비정상적인 뇌파와의 상관성이 지적되는 심리적 현상 89
(3) 비정상적인 뇌파, 여파의 원인 89
5. 비정상적인 뇌파(=이상뇌파)와 범죄 연구 결과 90
제4장 심리학적 범죄이론
제1절 심층심리와 범죄 92
1. 프로이드 92
2. 계승자들 94
(1) 에이크혼 94
(2) 아들러 95
(3) 융의 분석심리학: 내향성과 외향성 95
(4) 호른 96
3. 평가 97
제2절 성격과 범죄 97
1. 인성검사 98
(1) 인성이론(인격심리학적 이론)과 인성검사 98
2. 학자 98
(1) 슈에슬러와 크레시의 연구 98
(2) 글룩 부부의 로르샤하 테스트에 의한 연구 99
(3) 왈도와 디니츠의 미네소타 다중성격검사에 의한 연구 100
(4) 워렌의 대인성숙도(I-Level) 100
(5) 고프의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PI) 101
(6) 아이젠크 102
(7) 요첼슨과 세임나우 102
3. 연구의 평가 103
제3절 지능과 범죄 104
1. 지능지수의 차이 104
2. 초기(20세기 전반)의 실증적 연구 105
(1) 고다드연구(H. Goddard) 105
(2) 바트 외의 연구 105
3. 최근의 연구(지능과 범죄 연구의 부활) 105
(1) 허위와 힌데랑 106
(2) 유덜 106
(3) 고던 106
(4) 테노 106
(5) 모핀트, 가브리엘, 메도닉, 슐싱거 106
(6) 패링턴 107
4. 연구의 평가 107
제5장 범죄의 사회학적 요인
제1절 사회집단의 범죄 109
1. 가정과 범죄 109
(1) 제1기의 연구 109
(2) 제2기의 연구 112
2. 학교와 범죄 113
3. 직장과 범죄 115
(1) 직종과 범죄의 관계 115
(2) 직장범죄의 정의 117
(3) 직장범죄의 특징 117
(4) 직장범죄 발생을 촉진시키는 요소 118
4. 인종편견과 범죄 119
(1) 소수민족과 범죄 119
(2) 이민과 범죄 120
(3) 우리나라 120
5. 사회계층과 범죄 120
6. 연령과 범죄 124
제2절 사회환경과 범죄 125
1. 도시화와 범죄 125
(1) 도시화 125
(2) 시카고학파의 범죄생태이론 125
(3) 지역 간 범죄율의 격차에 대한 조사와 연구 127
(4) 도시화와 범죄 128
(5) 지역의 도시화와 범죄문제 128
(6) 도시화에 의한 범죄의 질적·양적 변화에 대한 대응책 130
2. 매스컴(매스미디어)과 범죄 131
(1) 매스컴과 범죄의 관계에 대한 이론 131
(2) 종교와 범죄 132
(3) 윤리관과 범죄 133
(4) 인종편견과 범죄 133
(5) 포르노그라피와 범죄의 연관성 135
(6) 주사침이론 136
3. 자연환경과 범죄 138
(1) 시간과 범죄 139
(2) 계절과 범죄 139
(3) 기후와 범죄의 관계 140
(4) 장소적 요인 141
(5) 요일과 범죄 142
제6장 범죄심리학의 기초이론
제1절 갈등론 144
1. 갈등과 범죄 144
(1) 범죄에 대한 두 가지 관점 144
(2) 갈등이론이 제기하는 몇 가지 의문 144
2. 갈등이론의 분류 145
3. 보수적 갈등이론 145
(1) 베버의 범죄분석 145
(2) 볼드의 집단갈등론 145
(3) 터크의 권력갈등이론(범죄화론) 146
(4) 셀린의 문화갈등론 148
제2절 아노미이론(=사회적 긴장이론) 149
1. 의의 149
2. 머튼이 제시한 아노미 상황에서 개인의 반응양식의 상태 151
(1) 동조형(순응형, conformity) 151
(2) 개혁·혁신형(개혁형, innovation) 152
(3) 의례·의식형(의례형, ritualism) 152
(4) 도피형(은둔형, retreatism) 152
(5) 반역형(혁명형, rebellion) 152
3. 공헌 및 비판 153
(1) 공헌 153
(2) 비판 153
4. 아노미이론의 발전 154
(1) 제도적 아노미이론 154
(2) 애그뉴의 일반긴장이론 154
제3절 낙인이론(Labeling Theory) 155
1. 의의 155
2. 특징 156
3. 대표적 주장자와 주장내용 156
(1) 레머트 157
(2) 베커와 슈어 159
4. 공헌 및 비판 160
(1) 공헌 160
(2) 비판 161
제4절 범죄적 하위문화이론 161
1. 밀러의 하위계층(계급) 문화이론(하층계급문화이론) 162
(1) 하위계층 문화이론 의의 162
(2) 하위계층이 주로 관심을 갖는 사항 혹은 중심가치 6가지 경우 162
(3) 범죄의 발생 164
(4) 공헌 및 비판 164
2. 코헨의 비행하위문화이론(집단문화이론) 165
(1) 비행하위문화이론의 의의 165
(2) 비행하위문화의 특징 166
(3) 공헌 및 비판 167
3. 클로워드와 오린의 차별적 기회구조론 168
(1) 의의 168
(2) 비행하위문화의 세 가지 기본형태(유형) 168
(3) 거주지역의 상태 169
(4) 공헌 및 비판 170
제5절 차별적 접촉이론 171
1. 기본명제 171
(1) 차별적 접촉이론의 9가지 명제 171
(2) 서덜랜드이론의 내용 171
2. 차별적 접촉이론의 수정·보완 174
(1) 차별적인 동일시이론 174
제6절 표류이론 175
1. 표류이론의 기본개념 175
2. 중화기술[사이크스와 맛차의 표류이론 및 중화기술이론] 176
(1) 표류원인으로서의 중화기술 176
(2) 다섯 가지 유형. 176
제7절 통제이론(control theory) 178
1. 사회적 통제이론 178
(1) 라이스의 연구 178
(2) 나이스의 연구 179
(3) 레크리스의 봉쇄이론(containment theory) 180
(4) 허쉬의 사회통제(연대, 유대, 결속)이론 182
2. 자기통제이론 184
(1) 자기통제이론의 개요 184
(2) 고트프레드슨의 범죄일반이론 185
(3) 통제이론에 대한 평가 185
제8절 범죄피해자학이론 186
1. 피해자 186
(1) 피해자의 의의 186
2. 피해자학 187
(1) 피해자학의 의의 187
(2) 피해자학의 연구방법 189
(3) 피해자학의 과제 190
(4) 피해자 분류 190
(5) 범죄피해의 발생원인 194
3. 최근의 범죄피해자학이론 194
(1) 생활양식노출이론 194
(2) 일상활동이론(일상생활이론) 195
(3) 동일집단이론 196
(4) 대안이론 196
(5) 제2차 피해자화·제3자 피해자이론 197
제9절 비판 범죄학 198
1. 의의 198
2. 유물론적 비판범죄학(신범죄학) 198
3. 급진적 갈등이론(계급주의 범죄학) 198
(1) 의의 198
(2) 마르크스(K. Marx)의 계급투쟁과 범죄 199
(3) 엥겔스 200
(4) 봉거의 경제결정론 200
(5) 퀴니의 경제계급론 201
(6) 스핏쩌의 후기자본주의 갈등론 202
4. 슈벤딩거 부부의 비판범죄학 203
5. 고든의 비판범죄학 204
6. 비판범죄학에 대한 평가 204
제7장 정신장애와 범죄심리
제1절 스트레스와 범죄심리 206
1. 모우슨의 연구 206
2. 긴의 연구 206
3. 큘릭과 브라운의 연구 206
4. 조은경의 연구 207
제2절 정신장애와 범죄 207
제3절 정신병과 범죄 208
1. 정신신경증 209
(1) 강박신경증 209
(2) 불안신경증 209
(3) 히스테리신경증 209
2. 정서정신병 210
(1) 퇴행기우울증 210
(2) 조울정신병(조울증) 210
3. 정신분열증 211
(1) 단순형 211
(2) 파괴형 211
(3) 긴장형 212
(4) 망상형 212
4. 강박신경증 212
(1) 강박신경증의 증상 212
(2) 강박신경증과 범죄 213
5. 불안신경증 214
(1) 불안신경증의 정의 214
(2) 불안싱경증과 범죄와의 관련성 214
6. 정신병질과 범죄 215
(1) 의의 215
(2) 슈나이더(Schneider)의 10분법 215
7. 정신박약과 범죄 218
(1) 의의 218
(2) 연구내용 218
(3) 검토 219
8. 간질과 범죄 219
9. 슈나이더 분류법 이후의 연구 219
제8장 사이코패스와 범죄심리
1. 사이코패스와 범죄 222
2. 사이코패스에 대한 개념 정의와 특징 그리고 범죄와의 관련성 223
(1) 헤어(R. Hare) 223
(2) 래프터(N. Rafter) 224
(3) 리켄(Lykken) 224
(4) 클랙클리(H. Cleckley) 224
3. 특징 225
4. 범죄적 사이코패스 225
(1) 개념 225
(2) 범죄적 사이코패스의 확산 226
5. 사이코패스의 심리적 척도 226
(1) PCL 척도(psychopathy checklist) 226
(2) PCL-R(psychopathy checklist revision) 227
6. 국내 형사사법 현장에서의 PCL-R 활용가능성 228
제9장 폭력의 범죄심리
제1절 생물학적 원인 231
(1) 생물학적 연구 231
(2) 생물학적 결정권자들의 주장 231
(3) 초기의 연구 232
(4) 범죄행동의 유전적 요인 236
(5) 유전자가 폭력에 미치는 요인 236
제2절 사회학적 원인 238
(1) 사회화의 정의 238
(2) 사회화이론의 정의 238
제3절 사회심리학적 원인 242
(1) 사회심리학의 정의 242
(2) 최근의 사회심리학적 연구 242
(3) 계층·근거이론 243
(4) 권력과 남성폭력의 관계라는 관점에서의 폭력 244
(5) 남성의 세계에서 폭력의 의미 244
제10장 절도의 범죄심리
제1절 절도와 관련된 연구 247
제2절 관련이론 249
1. 일상활동이론 251
2. 합리적 선택이론 251
3. 범죄패턴이론 253
(1) 범죄패턴이론 253
(2) 범죄지선택의 역동모델 253
4. 인지적 지도와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254
(1) 인지적 지도 254
제3절 관련 선행연구 256
1. 범죄자들의 선택 256
2. 범죄의 계획 257
3. 범죄대상지 설정 257
4. 범행의 계획성과 자발성 257
5. 폭력범죄와 합리적 선택 258
6. 범죄자의 이동거리 258
7. 공간적 범죄패턴 259
제11장 강 도 261
제1절 강도의 정의 및 종류 262
1. 강도의 정의 262
2. 종류 264
(1) 편의점 강도 264
(2) 은행강도 264
(3) 택시강도 264
(4) 주거침입 강도 265
(5) ATM 강도 265
(6) 차량 강도 265
(7) 트럭 강도 266
제2절 국내강도범죄 관련 통계 266
제3절 강도범죄의 특성 269
(1) 범죄자의 연령 및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관계 269
(2) 강도의 연쇄성과 전문성 270
(3) 물리적 강압과 폭력성 270
(4) 죄책감이나 양심의 가책 271
(5) 범행수법 271
(6) 반복피해 271
(7) 범죄자 특성 체크리스트 272
제4절 강도범죄의 범행대상 선정 기준 273
1. 가까운 거리 273
2. 접근성 274
3. 취약성 274
4. 보상 274
5. 피해자 저항 가능성 275
6. 도주 용이성 275
7. 발각 위험성 276
제5절 강도범죄의 유형 276
1. 피해 대상에 따른 McClintok & Gibson의 분류 276
2. Conklin(1987)의 가해자 중심 분류 277
3. 심영희(1991)의 범행동기 중심 분류 277
4. 금전 요구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277
5. 국내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한 박지선 & 최낙범의 유형분류 278
6. 이성을 중심으로 한 Piotrowski의 유형분류 278
제12장 성범죄
제1절 성범죄의 정의 280
제2절 성폭력 범죄 관련 통계 281
제3절 성범죄의 특성 286
제4절 성범죄의 원인 287
1. 생물학적 이론 288
2. 애착이론 288
3. 행동이론, 인지-행동이론 289
4. 페미니스트 이론 289
5. 심리사회적 이론 289
제5절 성범죄 피해자 290
제6절 범죄자 분류체계 291
1. 범행동기에 따른 분류 291
(1) 권력 독단형(power assertive rapist) 292
(2) 권력 재확인형(power reassurance rapist) 292
(3) 분노 보복형(anger retaliatory rapist) 292
2. Terry의 통합적 분류 293
(1) 성적 동기로 인한 범행 293
(2) 성적 동기 이외의 욕구 충족을 위한 범행 294
제7절 성범죄자 치료 294
1. 심리치료 295
2. 교육과 훈련 295
3. 인지행동치료 295
제13장 묻지마 범죄
제1절 묻지마 범죄의 정의 298
제2절 묻지마 범죄자의 특성 300
1. 범죄자 배경특성 및 범죄 발생특성 300
2. 대인관계에서의 고립 301
3. 인지적 왜곡 302
4. 반복적 좌절과 실패로 인한 무력감과 낮은 자존감 302
제3절 묻지마 범죄의 원인 304
제4절 묻지마 범죄자 유형분류 304
1. 서울 지방경찰청: 현실불만 유형, 우발적 유형, 정신장애 유형 304
2. 대검찰청: 정신질환형, 현실불만형, 약물남용형 305
3. 이수정(2013): 정신장애, 외톨이, 반사회성 305
제5절 묻지마 범죄 예방대책 306
1. 묻지마 범죄관련 범죄 위험성 평가 전략 수립 306
2. 총기 및 흉기 소지 규제 강화 307
3. 복지정책을 통한 묻지마 범죄 예방 307
4. 사회적 고립의 탈피 및 단절된 인간관계 회복 307
5. 인지적 왜곡 수정 308
6. 다문화사회에서 묻지마 범죄 예방 308
제14장 살인, 친족살인, 연쇄살인의 범죄심리
제1절 살인 310
1. 국내 살인범죄 관련 통계 310
2. 살인범죄자 유형분류 315
(1) 임상적 관찰에 의한 분류 315
(2) 경험적 연구에 의한 분류 316
(3) 수사기관에서 제시한 살인범 유형분류법 316
(4) 임상적 관찰과 경험적 연구가 결함된 분류체계 317
제2절 친족살인 320
(1) 가정폭력 321
(2) 정신장애 321
(3) 음주 322
(4) 그 외 322
제3절 연쇄살인의 정의와 특성 322
1. 연쇄살인의 정의 322
2. 연쇄살인범들의 특성 323
제4절 연쇄살인의 제 접근 324
1. 특성론적 접근 324
(1) Claus & Lidberg특성론 324
(2) Holmes & Holmes의 연쇄살인의 단계론 326
2. 연쇄살인의 유형론적 접근 328
(1) Rossmo의 분류 328
(2) Holmes & DeBurger의 분류 328
(3) Dietz의 분류 331
제15장 인질과 테러의 범죄심리
제1절 인질과 테러범의 심리적인 특성 334
1. 테러범의 범행동기 334
(1) 동기 334
(2) 테러의 집단역학관계 334
제2절 협상전략 336
1. 협상의 정의 336
(1) 협상의 분류 336
2. 협상의 가이드라인 338
3. 테러인질로서의 피해경험 339
제16장 스토킹의 범죄심리
제1절 서설 341
1. 스토킹의 정의 341
2. 스토킹의 사회문제 341
제2절 스토킹의 유형 341
1. 연애망상형(erotomania) 342
(1) 정의 342
(2) 연애망상형의 유형 342
(3) 애정강박형(love obsession) 343
(4) 단순강박형(simple obsession) 343
(5) 사회병리형(sociopathlogy) 343
제3절 스토킹의 일반적 특성(외국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344
1. 스토커 특성 344
(1) 인구통계학적 특성 344
(2) 직업과 경력에 관한 특성 345
(3) 교육수준에 관한 연구 345
(4) 심리적 특성 345
(5) 정신의학적 특성 345
(6) 일반적인 특성 346
2. 스토킹 피해자의 특징 346
(1) 인구통계학적 특징 347
(2) 스토킹 가해자와의 관계상의 특징 347
제17장 범죄자 프로파일링
제1절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정의와 역사 350
1. 프로파일링의 정의와 역사 350
2. 프로파일링의 목적 352
3 프로파일링 관련 용어 352
4. 프로파일링의 필요조건 353
(1) 프로파일링의 구성요소 353
(2) 프로파일링에 대한 의문사항 355
5. Criminal Profling 적용 범죄유형 355
(1) 프로파일링 기법의 활용 355
(2) 범죄의 네 가지 단계 355
제2절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과정 356
1. 연역적 프로파일링 356
2. 귀납적 프로파일링 357
제3절 추론과정에서 범하기 쉬운 오류와 편향 357
1. 사고에 있어서의 휴리스틱(heuristics). 357
2. 편향적 가설 검증(biased hypothesis testing) 358
3. 집단사고(Groupthink) 358
4. 사후과잉확신 편파(hidsight bias) 359
제4절 프로파일러의 가이드라인 359
1. 수사팀과의 관계에서 유의할 점 359
2. 추론의 출처 360
3. 능력 360
제5절 프로파일링의 한계와 문제점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