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생물학
· ISBN : 9788958810896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07-08-10
목차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제 1 장 왜 단백질인가
1. 1 포스트 게놈 연구에서 단백질에 대한 흥미
1. 2 모든 것은 캐번디쉬로부터
1. 3 단백질의 질량분석 이온화법과 노벨 화학상
1. 4 단백질 명명법의 창시자
제 2 장 단백질의 일생과 크기와 형태
2. 1 단백질은 어디서 만들어지는가?
2. 2 단백질은 어디서 활동하고 있는가?
2. 3 단백질은 단백질에 의해 분해된다
2. 4 단백질의 크기는 나노규모
2. 5 단백질 형태의 다양성
제 3 장 단백질은 생명을 유지하는 분자엔진
3. 1 단백질 엔진이 행하는 여러 가지 일
3. 2 단백질이 일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3. 3 단백질 엔진의 연료 -아데노신 삼인산 (ATP)-
3. 4 생명의 구동력을 만드는 단백질 엔진
제 4 장 단백질과 그것을 지탱하는 생체 분자
4. 1 생물은 지구가 태어났을 때의 원소를 반복해서 이용하고 있다
4. 2 생물의 신체 대부분은 단백질로 되어 있다
4. 3 지질 -자기 조직화하는 세포막 분자-
4. 4 정보전달물질 -단백질과 결합하는 ligand 분자-
4. 5 DNA -유전정보를 담당하는 분자-
4. 6 당질 -에너지원 및 이물질을 감지하는 안테나 분자-
제 5 장 단백질이 만들어질 때까지
5. 1 센트랄 도그마
5. 2 유전자와 게놈
5. 3 전사와 트랜스크립톰
5. 4 스플라이싱
5. 5 번역과 단백질 합성
5. 6 번역 후 수식과 프로테옴
제 6 장 단백질의 관찰
6. 1 2차원 전기영동
6. 1. 1. 1차원의 등전점 전기영동을 주관하는 proton(H+)
6. 1. 2 아미노산 등전점의 이해
6. 1. 3 2차원의 SDS 전기영동을 주관하는 것은 단백질의 크기
6. 2 형광 현미경
제 7 장 단백질의 입체구조해석
7. 1 X선 결정구조해석 -단백질의 결정구조-
7. 1. 1 X선에 대해서
7. 1. 2 단백질 X선 결정구조해석의 역사
7. 1. 3 X선 회절
7. 2 핵자기 공명법 -용액 중에서의 구조-
7. 2. 1 단백질의 NMR 구조해석 역사
7. 2. 2 NMR의 원리
7. 2. 3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결정하는 순서
7. 3 단백질의 용액중 구조와 결정구조와의 차이점
제 8 장 인터넷에 의한 단백질의 형태 관찰
8. 1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8. 2 검색 결과에서 필요한 단백질 데이터를 선택한다
8. 3 종합정보 메뉴
8. 4 입체구조를 본다
8. 5 1차구조와 2차구조의 정보를 본다
제 9 장 단백질의 계층 구조
9. 1 단백질은 유기화합물
9. 2 단백질의 계층구조
9. 3 단백질의 접힌 이미지와 관절구조
9. 4 단백질의 성질을 결정하는 아미노산
9. 5 1차구조에서 3차구조가 될 때까지
제10장 단백질의 입체구조와 기능
10. 1 단백질과 리간드의 결합 적합성
10. 2 리소자임
10. 2. 1 리소자임의 3차구조와 2차구조
10. 2. 2 리소자임의 효소활성과 활성부위의 구조
10. 3 에스트로겐 수용체
10 3. 1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도메인 구조와 기능
10. 3. 2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활성화와 구조변화
10. 3. 3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Estradiol-17β의 결합
10. 3. 4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입체구조를 2차구조로 분해한다
제11장 단백질과 리간드와의 결합 해석
11. 1 결합과정
11. 2 각종 해석법
제12장 2차구조로 이해하는 단백질
12. 1 폴딩(Folding)
12. 2 α-helix
12. 2. 1 아미노산의 입체화학
12. 2. 2 -helix를 형성하기 쉬운 아미노산
12. 3 β-sheet
12. 3. 1 β-strand
12. 3. 2 β-sheet를 형성하기 쉬운 아미노산
12. 4 turn과 bend
12. 4. 1 관절구조
12. 4. 2 turn과 bend에 나타나기 쉬운 아미노산
12. 5 아르기닌은 어디에도 나타난다
12. 6 원편광 이색성을 사용한 2차구조의 해석
12. 7 감염성 인지증 프리온병은 2차구조의 형성 이상이 원인
제13장 단백질의 동정과 질량분석
13. 1 단백질의 질량분석
13. 2 단백질 연구를 위한 질량분석 장치
13. 2. 1 단백질 이온을 만들기 위한 소프트 이온화법
13. 2. 2 단백질 이온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13. 3 질량분석정보와 단백질 동정을 위한 입력 정보
13. 4 질량분석정보를 사용하는 단백질의 동정
제14장 살아있는 것과 살아있다는 사실
14. 1 생물은 원자로 만들어진 기계인가?
14. 2 생물과 생명
14. 3 슈레딩거에서 프리고진으로
14. 4 생물학의 법칙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