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면역학
· ISBN : 9788958811114
· 쪽수 : 700쪽
· 출판일 : 2008-08-15
목차
서문 xxvii
역자서문 xxxi
Part I Introduction
1 면역계의 개요 (Overview of the Immune System) 1
역사적 접근 (Historical Perspective) 1
초기의 연구들이 면역계를 구성하는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을 밝혀냈다 (Early Studies
Revealed Humoral and Cellular Components of the Immune System) 2
초기 이론들이 항원-항체반응의 특이성을 설명하고자 시도되었다 (Early theories
Attempted to Explain the Specificity of the Antibody-Antigen Interaction) 4
면역계는 내재면역과 적응면역을 포함한다 (The Immune System includes Innate and
Adaptive Components) 4
내재면역 (Innate Immunity) 5
피부와 점막은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제공한다 (The Skin and the Mucosal Surfaces
Provide Protective Barriers Against Infection) 5
감염을 막는 생리학적 장벽은 일반적인 조건과 특이한 분자를 포함한다 (Physiologic
Barriers to Infection Include General Conditions and Specific Molecules) 6
병원체를 섭취하여 파괴하는 세포는 감염을 막는 포식작용 장벽을 구축한다 (Cells That
Ingest and Destroy Pathogens Make Up a Phagocytic Barrier to Infection) 7
염증은 면역반응을 촉진시키는 복잡하고 연속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Inflammation
Represents a Complex Sequence of Events That Stimulates Immune Responses) 7
적응면역 (Adaptive Immunity) 9
적응면역계는 림프구와 항원제시세포 사이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The Adaptive Immune
System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Lymphocytes and Antigen-Presenting
Cells) 9
항원은 B와 T림프구에 각각 다르게 인식된다 (Antigen Is Recognized Differently by B and
T Lymphocytes) 11
B와 T 림프구들은 항원 수용체의 다양성을 만들기 위해 유사한 기전을 사용한다 (B and T
Lymphocytes Utilize Similar Mechanisms To Generate Diversity in Antigen
Receptors) 13
MHC 분자는 항원성 펩티드와 결합한다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Molecules Bind
Antigenic Peptides) 14
복잡한 항원은 분해(수식)되고 MHC 분자와 함께 세포표면에 진열(제시)된다 (Complex
Antigens Are Degraded (Processed) and Displayed (Presented) with MHC
Molecules on the Cell Surface) 15
림프구의 항원 선택은 클론 확장을 야기한다 (Antigen Selection of Lymphocytes Causes
Clonal Expansion) 16
내재면역계와 적응면역계는 서로 협력하여 면역반응의 효과를 증가시킨다 (The Innate and
Adaptive Immune Systems Collaborate,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Immune
Responsiveness) 18
비교면역학 (Comparative Immunity) 18
면역기능 장애와 그 결과 (Immune Dysfunction and its Consequences)
18
임상초점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들인 알레르기와 천식 (Allergy and Asthma as Serious Public
Health Problems) 20
2 면역계의 세포와 기관들 (Cells and Organs of the Immune System) 27
조혈 (Hematopoiesis) 27
조혈은 In Vitro상에서 연구될 수 있다 (Hematopoiesis Can Be Studied In Vitro) 29
조혈은 유전자 수준에서 조절된다 (Hematopoiesis is Regulated at the Genetic level) 30
조혈 항상성은 여러 인자들을 포함한다 (Hematopooetic Homeostasis Involves Many
Factors) 30
계획 세포사는 필수적인 조혈 항상성 기전이다 (Programmed Cell Death Is an Essential
Homeostatic Mechanism) 31
조혈 모세포는 순도가 증가될 수 있다 (Hematopoietic Stem Cells Can Be Enriched) 34
면역계의 세포들 (Cells of the Immune System) 35
림프 세포 (Lymphoid Cells) 35
임상초점 줄기 세포-임상적인 사용과 잠재력 (Stem Cells-Clinical Uses and Potential) 38
B 림프구 (B LYMPHOCYTES) 40
T 림프구 (T LYMPHOCYTES) 40
자연 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S) 41
단핵 포식세포 (Mononuclear phagocytes) 41
포식작용 (PHAGOCYTOSIS) 42
항미생물 활동과 세포독성 활동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43
항원 처리와 제시 (ANTIGEN PROCESSING AND PRESENTATION) 44
인자들의 분비 (SECRETION OF FACTORS) 44
과립구 세포 (Granulocytic Cells) 45
중성구 (NEUTROPHILS) 45
호산구 (EOSINOPHILS) 45
호염구 (BASOPHILS) 46
비만세포 (MAST CELLS) 46
수지상세포 (DENDRITIC CELLS) 46
면역계 기관들 (Organs of the Immune System) 46
1차 림프기관 (Primary Lymphoid Organs) 47
흉선 (THYMUS) 47
골수 (BONE MARROW) 49
림프계 (Lymphatic System) 49
2차 림프기관 (Secondary Lymphoid Organs) 50
림프절 (LYMPH NODES) 50
비장 (SPLEEN) 53
점막 연관 림프조직 (MUCOSAL-ASSOCIATED LYMPHOID TISSUE) 54
표피 연관 림프조직 (Cutaneous-Associated Lymphoid Tissue) 55
면역계의 전신 기능 (Systemic Function of the Immune System) 55
림프 세포와 기관들-진화비교 (Lymphoid Cells and Organs -
Evolutionary Comparisons) 57
Part II Generation of B-Cell and T-Cell Responses
3 항원 (Antigens) 63
면역원성 대 항원성 (Immunogenicity Versus Antigenicity) 63
면역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Factors That Influence
Immunogenicity) 63
면역원의 본질은 면역원성에 기여한다 (The Nature of the Immunogen Contributes to
Immunogenicity) 64
외래성 (FOREIGNNESS) 64
분자크기 (MOLECULAR SIZE) 64
화학조성과 이질성 (CHEMICAL COMPOSITION AND HETEROGENEITY) 64
항원으로서의 지질 (LIPIDS AS ANTIGENS) 64
항원처리와 제시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TO ANTIGEN PROCESSING AND PRESENTATION)
66
면역원성에 기여하는 생물계 (The Biological System Contributes to Immunogenicity) 67
수혜동물의 유전형 (GENOTYPE OF THE RECIPIENT ANIMAL) 67
투여되는 면역원 양과 경로 (IMMUNOGEN DOSAGE AND ROUTE OF ADMINISTRATION) 67
항원보강제 (ADJUVANTS) 67
항원 결정기 (Epitopes) 68
B 세포 항원결정기의 특성은 항원 결합 부위의 성상에 의해 결정된다 (Properties of B-Cell
Epitopes Are Determined by the Nature of the Antigen-Binding Site) 69
항원-유래 펩티드들은 T-세포 항원결정기의 중요한 요소이다 (Antigen-Derived Peptides
Are the Key Elements of T-Cell Epitopes) 73
합텐과 항원성의 연구 (Haptens and the Study of Antigenicity) 75
패턴 인식 수용체들 (Pattern-Recognition Receptors) 78
임상초점 약물 알레르기-약물이 면역원으로 될 때 (Drug Allergies-When Medicines Become
Immunogens) 78
4 항체 (Antibodies) 구조와 기능 (Structure and Function) 85
항체의 기본 구조 (Basic Structure of Antibodies) 85
항체는 이형이량체이다 (Antibodies Are Heterodimers) 86
항체의 기본 구조는 화학적인 방법과 효소를 이용한 방법으로 밝혀졌다 (Chemical and
Enzymatic Methods Revealed Basic Antibody Structure) 87
항체 서열 분석에서의 장애 (Obstacles to Antibody Sequencing) 88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얻은 순수한 면역글로불린으로 서열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Pure
Immunoglobulin Obtained from Multiple Myeloma Patients Made Sequencing
Possible) 88
경쇄 (L) 서열분석으로 면역글로불린은 일정부위와 가변부위를 가지는 것이 밝혀졌다
(Light-Chain Sequencing Revealed That Immunoglobulins Have Constant and
Variable Regions) 88
중쇄 (H) 서열분석으로 5가지 기본 중쇄 변종이 밝혀졌다 (Heavy Chain Sequencing
Revealed Five Basic Varieties of Heavy Chains) 89
면역글로불린의 미세 구조 (Immunoglobulin Fine Structure) 89
면역글로불린은 면역글로불린 접힘을 기초로 하는 다수의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
(Immunoglobulins Possess Multiple Domains Based on the Immunoglobulin Fold)
90
가변부위 도메인의 다양성은 CDR에 집중되어있다 (Diversity in the Variable-Region
Domain Is Concentrated in CDRs) 91
CDR은 항원과 결합한다 (CDRs Bind Antigen) 92
항원과의 결합에 의해 입체구조의 변화가 유도된다 (Conformational Changes May Be
Induced by Antigen Binding) 95
일정부위 도메인 (Constant-Region Domains) 95
CH1 및 CL 도메인 (CH1 AND CL domains) 95
경첩부위 (Hinge region) 96
그 밖의 다른 일정부위 도메인 (Other constant-region domain) 96
항체-매개 효과기능 (Antibody-Mediated Effector Functions) 97
옵소닌화는 항체에 의해서 촉진된다 (Opsonization is Promoted by Antibody) 97
항체는 보체를 활성화시킨다 (Antibodies Activate Complement) 98
항체-의존성 세포 매개성 세포독성(ADCC)은 세포를 죽인다 (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 (ADCC) Kills Cells) 98
어떤 항체는 트랜스사이토시스에 의해서 상피층을 횡단할 수 있다 (Some Antibodies Can
Cross Epithelial Layer by Transcytosis) 98
항체 클래스와 생물학적 활성 (Antibody Classes and Biological
Activities) 98
면역글로불린 G (IgG) 98
임상초점 수동 항체치료 (Passive Antibody Therapy)99
면역글로불린 M (IgM) 100
면역글로불린 A (IgA) 102
면역글로불린 E (IgE) 103
면역글로불린 D (IgD) 105
면역글로불린의 항원결정부위 (Antigenic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