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면역학
· ISBN : 9788987201641
· 쪽수 : 662쪽
· 출판일 : 2006-08-30
책 소개
목차
PartⅠ Introduction
1. 면역계의 개요
2. 면역계의 세포와 기관들
PartⅡ Generation of B-Cell and T-Cell Responses
3. 항원
4. 항체 구조와 기능
5. 먼역글로불린 유전자들의 구성과 발현
6. 항원-항체 상호작용: 원리와 응용
7. 주조직적합 복합체
8. 항원처리와 제시
9. T 세포 수용체
10. T 세포 성숙, 활성화 및 분화
11. B 세포 생성, 활성화 및 분화
PartⅢ Immune Effector Mechanisms
12. 싸이토카인
13. 보체 시스템
14. 세포성 효과 반응
15. 백혈구의 이동과 염증반응
16. 과민반응
PartⅣ The Immune Sytem in Health and Disease
17. 감염성 질환에 대한 면역 반응
18. 백신
19. AIDS와 기타 면역결핍증
20. 자가면역
21. 이식면역학
22. 암과 면역체계
23. 실험계
Appendix Ⅰ: CD Antigens
Appendix Ⅱ: Cytokines
용어해설
책속에서
중성구는 또한 항균 물질을 생성하기 위해 산소 의존과 산소 비의존 경로 둘 다를 사용한다. 실제로 중성구는 섭취된 미생물을 죽일 가능성이 대식세포보다 훨씬 높다. 중성구는 대식세포보다 더 큰 호흡 돌발을 보이고 결과적으로 반응성 산소 중간물질과 반응성 질소 중간물질을 더 많이 생성할 수 있다.-p45 중에서
병원균이 감수성 있는 숙주에 감염을 일으킨다면, 상호 연관된 이련의 과정들이 내재 면역과 적응 면역 모두를 교묘하게 회피해야만 한다. 숙주의 내재 면역에서 가장 우선적이며 중요한 특징은 피부와 장 계통의 상피세포 표면이 제공하는 방어벽이다.-p441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