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5891571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8-02-25
책 소개
목차
1장 사회복지실천의 개관
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1) 사회복지실천의 범위
2)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
1)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2)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3. 사회복지실천의 구성 요소
1) 펄먼의 4P
2) 핀커스와 미나한의 네 가지 기본 체계
4. 사회복지실천의 이념
1) 인도주의
2) 사회진화론
3) 민주주의
4) 개인주의
5) 다양화
2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1. 사회복지실천과 가치
1) 가치위계로 본 종류
2) 가치유형
3) 가치의 역할
4) 사회복지실천의 중심가치
2. 사회복지실천과 윤리
1) 윤 리
2) 가치와 윤리의 관계
3) 사회복지전문직에서의 윤리의 중요성
4)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3. 사회복지실천과 윤리적 결정
1) 일반결정모델
2) 윤리원칙의 우선순위
3)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강령
4. 자기인식
3장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 사회복지실천의 성립기
1) 자선조직협회
2) 인보관 운동
2. 사회복지실천의 등장기
1) 사회복지실천의 위기와 대응
2) 전문직으로의 정착
3) 진단주의의 발전
4) 기능주의의 발전
3. 사회복지실천의 발전기
1) 진단-기능 논쟁의 종결
2) 다양한 실천모델의 등장
4. 사회복지실천의 확장기
1) 사회복지통합방법론 등장
2) 사회복지실천모델의 확장
3) 21세기 사회복지실천 현장
5.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 사회복지실천의 등장 이전
2) 사회복지실천의 도입기
3) 사회복지실천의 세분화
4) 사회복지실천의 전문화
4장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활동
1. 행정기관
1) 정부기관
2) 민간기관
2. 사회복지실천의 1차 현장과 2차 현장
1) 1차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활동
2) 2차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사회복지사의 활동
5장 사회복지실천의 대상
1.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
1) 개인에 대한 이해
2)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
2. 가족을 대상으로 한 실천
1) 가족에 대한 이해
2)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
3.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
1) 집단에 대한 이해
2)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실천
6장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1. 통합적 접근의 개념 및 특징
2. 통합적 접근에서의 주요 관점
1) 일반체계적 관점
2) 생태체계적 관점
7장 사회복지실천 관계론
1.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
2. 전문적 관계의 기본요소
1) 전문적 관계의 특성
2) 전문적 관계의 기본요소
3. 관계의 기본원칙
1) 개별화
2) 의도적 감정표현
3) 통제된 정서적 관여
4) 수 용
5) 비심판적 태도
6)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7) 비밀보장
4.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1) 클라이언트의 불신
2) 전 이
3) 사회복지사의 역전이
4) 저 항
5) 직 면
8장 사회복지실천 면접론
1. 면접의 이해
1) 면접의 정의
2) 면접의 목적
2. 면접의 유형 및 준비과정
1) 면접의 유형
2) 면접의 준비과정
3) 면접의 구조
3. 면접과 의사소통
1) 의사소통의 의미
2) 의사소통의 유형
3) 의사소통의 장애
4. 면접 기술
1) 관찰 기술
2) 경청 기술
3) 질문 기술
9장 사회복지실천 과정론
1. 인테이크
1) 관계 형성
2) 문제 확인
3) 의 뢰
2. 자료수집 및 사정
1) 자료 수집
2) 사 정
3. 목표설정 및 계약
1) 목표 설정
2) 계 약
4. 개 입
1) 직접적인 개입
2) 간접적인 개입
5. 평가와 종결
1) 평 가
2) 종 결
3) 종결의 반응
4) 종결의 대처방법
10장 사례관리
1. 사례관리의 개요
1) 사례관리의 개념
2) 사례관리의 출현배경
2. 사례관리의 목적
1) 보호의 계속성
2) 접근성과 책임성의 증가
3) 1차 집단의 보호능력의 향상
4)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기능의 향상
3. 사례관리의 이념
4. 사례관리의 구성 요소
1) 대상자(클라이언트)
2) 사회자원
3) 사례관리자
5. 사례관리의 과정
1) 기관에의 접근
2) 사 정
3) 목표 설정
4) 개입 계획
5) 자원 확인과 찾기
6) 클라이언트와의 서비스 연계
7) 모니터링
8) 재사정 및 결과 평가
6. 사례관리자의 역할
1) 조정자
2) 옹호자
3) 상담가
7. 사례관리의 모델
1) 중개 모델
2) 판매 모델
3) 통합된 중개판매 모델
4) 자원개발 모델
5) 조직의 변화 모델
부록 1.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부록 2. 면접지 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