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59644872
· 쪽수 : 429쪽
· 출판일 : 2009-08-10
목차
Ⅰ. 영유아 건강관리의 중요성
1. 아동과 건강: 1)건강의 정의 / 2)사회 변화와 아동
2. 아동기 건강관리의 의의
Ⅱ. 영유아의 신체 구조와 기능
1. 신체 성장의 특성: 1)성장과 발달의 특성 / 2)신체 성장 지표
2. 호흡기 구조와 기능: 1)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 2)아동의 호흡기 특성
3. 순환기 구조와 기능: 1)순환기의 구조와 기능 / 2)순환 / 3)아동의 순환기 특성
4. 면역계 구조와 기능: 1)면역 반응 / 2)면역 형태 / 3)아동의 면역 특성
5. 소화기 구조와 기능: 1)소화기의 구종와 기능 / 2)아동의 소화기 특성
6. 비뇨기 구조와 기능: 1)신장 / 2)요관 / 3)방광 / 4)요도 / 5)아동의 비뇨기 특성
7. 생식기의 구조와 기능: 1)남성 생식기 / 2)여성 생식기 / 3)아동의 비뇨생식기 특성
8. 신경계 구조와 기능: 1)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2)아동의 신경계 특성
9. 감각 기능: 1)시각 / 2)청각 / 3)미각 및 후각 / 4)촉각
10. 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1)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 2)아동의 근골격계 특성 / 3)아동의 치아 발달
11. 피부 구조와 기능: 1)피부의 구조와 기능 / 2)아동의 피부 특성
Ⅲ. 영유아 건강사정
1. 건강력
1)신분에 관한 정보 / 2)주 호소 / 3)현 병력 / 4)과거력 / 5)신체 계통별 사정 / 6)심리사회적 건강력 / 7)성력 / 8)가족 병력 / 9)가족사정 / 10)영양사정
2. 신체사정
1)일반적 접근법 / 2)아동의 발달 단계별 접근법 / 3)신체성장 사정 / 4)활력징후 사정 / 5)신체검진
3. 아동의 발달 평가: 1)발달선별검사 도구 / 2)한국형 Denver Ⅱ
Ⅳ. 영유아를 위한 기초 간호
1. 신체계측: 1)키 / 2)체중
2. 활력징후 측정: 1)체온 / 2)맥박 / 3)호흡 / 4)혈압
3. 피부간호와 목욕: 1)목욕 / 2)기저귀 발진의 관리와 예방 / 3)손톱과 발톱관리
4. 체온조절: 1)열 손실 기전에 따른 체온조절 방법 / 2)열이 날 때 간호방법
5. 감염 예방: 1)접촉전파 예방법 / 2)공기 전파 예방법 / 3)비말전파 예방법
6. 안기와 아동
7. 투약
1)경구투약 방법 / 2)안약 투여 / 3)귀약 투여 / 4)비강 투약 / 5)분무기(네불라이져, nebulizer)사용 / 6)좌약을 넣는 방법
8. 배설: 1)기저귀 갈기 / 2)관장
9. 영양: 1)수유량과 횟수 / 2)수유방법 / 3)조제유의 종류 / 4)수유기구의 소독과 보관
10. 기도청결: 1)콧물과 가래 제거 / 2)기침 시 간호 / 3)흉부물리요법 / 4)가습기 사용법
Ⅴ. 영유아의 건강 증진
1. 성장발달상의 특수 문제
1)낯가림과 분리불안 / 2)분노발작 / 3)거부증 / 4)학령전기 아동의 공포 / 5)형제간의 경쟁과 퇴행 / 6)엄지손가락 빨기 / 7)젖니 나기 / 8)대소변 가리기 훈련 / 9)훈육 / 10)성교육
2. 아동의 건강 증진
1)아동기의 영양 / 2)고형식과 젖떼기(이유) / 3)수면 / 4)치아관리 / 5)예방접종
Ⅵ 영유아 건강문제의 관리
1. 영양장애 아동의 관리: 1)영유아 비만 / 2)식품알레르기 / 3)우유알레르기 / 4)성장장애
2. 피부 건강문제 아동의 관리: 1)기저귀 피부염 / 2)아토피 피부염 / 3)아구창
3. 호흡기 건강문제 아동의 관리
1)영아돌연사 증후군 / 2)천식 / 3)감기(비인두염)와 독감 / 4)폐렴 / 5)중이염 / 6)편도선엽
4. 비뇨기 건강문제 아동의 관리: 1)요로감염 / 2)신증후군
5. 감염병 아동의 관리
1)감염병의 이해 / 2)수두 / 3)풍진 / 4)홍역 / 5)볼거리(멈프스, 유행성 이하선염) / 6)수족구병 / 7)B형 간염 / 8)장내 기생충 감염:요충증
6. 혈액 건강문제 아동의 관리: 1)빈혈 / 2)혈우병
7. 발달장애 아동의 관리
1)뇌성마비 / 2)자폐증 / 3)청각장애 / 4)시각장애 / 5)의사소통 장애 / 6)인지장애(정신지체) / 7)아동학대
Ⅶ. 안전사고와 응급처치
1. 아동 안전관리: 1)아동 안전관리 개념과 현황 / 2)아동 안전관리의 실제
2. 아동에게 흔한 사고 예방법
1)숨이 막히는 사고 / 2)화상사고 / 3)추락사고 / 4)유해물질 중독사고 / 5)상해사고 / 6)물에 빠지는 사고 / 7)자동차 사고 / 8)대인 안전사고
3. 응급처치의 개념: 1)응급처치의 개념 및 기본 원칙
4. 아동 심폐소생법: 1)기도 확보 및 호흡 확인 / 2)인공호흡 / 3)심폐소생술
5. 사고 유형별 응급처치
1)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 / 2)출혈 / 3)쇼크 / 4)경련 / 5)뼈, 관절, 근육 손상 / 6)상처관리 / 7)이물질에 의한 손상 / 8)치아 외상 / 9)곤충이나 동물에 의한 손상 / 10)중독
Ⅷ. 영유아 신체 증상별 대처법
1. 신체 증상별 관리
1)열 / 2)기침 / 3)인후통 / 4)구토 / 5)설사 / 6)변비 / 7)코피 / 8)두드러기 / 9)화상 / 10)땀띠 / 11)수면문제와 수면장애
2. 행동문제 아동의 건강관리
1)떼쓰기 / 2)깨무는 아이 / 3)공격적인 아이 / 4)자위행위 / 5)유분증 / 6)유뇨증 / 7)틱 장애 / 8)말더듬증 / 9)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10)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Ⅸ. 영유아 건강 증진의 실제
1. 모-아 애착과 건강 증진: 1)모-아 애착 증진 방법 / 2)영아의 신호
2. 감각자극과 건강 증진: 1)감각자극의 종류 / 2)통합 감각자극
3. 놀이와 건강 증진: 1)놀이의 기능 / 2)놀이의 분류 / 3)장난감 / 4)건강 증진 놀이의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