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59663255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09-09-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_언어란 무엇인가
1.1. 언어에 대해
1.2. 언어에 관한 추측
1.3. 언어에 관해 알고 생각하기
1.4. 이 책의 순서
2장_단어의 구조
2.1. 단어 기억하기: 사회의 약속
2.2. 단어보다 작은 단위: 형태소
2.3. 단어 형성의 규칙
2.4. 굴절과 파생
2.5. 파생에 관해 더 알아보기
2.6. 한국어 파생어
2.7. 시간을 되돌리는 단어 만들기
2.8. 합성어
2.9. 단어 형성의 여러 가지 기제들
2.10. 새로운 단어 만들기
2.11. 사전 만들기, 사전 활용하기
3장_언어습득과 인지능력
3.1. 어린아이의 언어습득: 모국어 습득
3.1.1. 무엇을 습득하는가
3.1.2. 말소리의 습득 단계
3.1.3. 발달 시기별로 관찰하기
3.1.4. 규칙을 기억하는 능력: 문법 형태
3.1.5. 통사 구조 습득하기
3.1.6. 의미 획득과 어휘 발달
3.2. 언어 발달의 환경
3.3. 언어능력은 어디에: 두뇌의 기능 분화
3.4. 노엄 촘스키의 언어습득가설: 생득주의자 촘스키
3.5. 내재적 언어능력, 보편문법, 한계연령
3.6. 촘스키 이후: 인지과학의 성립
3.7. 제2언어습득: L1과 L2 사이에서
3.8. 제2언어습득의 주요 이론
4장_문장의 구조: 통사론
4.1. 문장에는 구조가 있다
4.2. 구절구조규칙 세우기
4.3. 구절구조규칙과 계층 구조
4.4. 하위범주화와 규칙의 집합
4.5. 변형, 변형문법, 생성문법
4.6. 엑스-바 규약과 통사적 개념
4.7. 통사적 제약 현상: 아일랜드, 재귀사 결속
4.8. 내재화 문법: 문법(1)과 문법(2)
4.9. 생성주의 한계와 코퍼스 기법
5장_언어와 사회(1): 언어의 다양성
5.1. 언어변이: 분리되는 언어
5.2. 다언어 사회의 링구아 프랑카
5.3. 지구촌에서 영어 사용하는 지역
5.4. 변이체 영어들: 세계영어
5.5. 미국의 인종적 변이체 영어: 흑인영어
5.6. 언어 혼합: 피진과 크레올
5.7. 북아메리카 지역의 크레올 언어
5.8. 아프리카 언어와 변이체 영어
5.9. 미국의 방언
5.10. 소멸 위기에 놓인 언어들
5.11. 언어 소멸은 안타까운 일
5.12. 생태계와 언어인권
6장_언어와 사회(2): 언어의 정체성
6.1. 정체성을 드러내는 언어
6.2. 말투에 대한 태도: 지방색을 드러내는 악센트
6.3. 영국의 표준영어와 언어 의식
6.4. 사회 계층에 따른 언어변이: 뉴욕에서
6.5. 미국영어 표준화
6.6. 미국의 에보닉스 논쟁
6.7. 미국의 다언어 사회와 언어 정책
6.8. 힘 있는 국제어: 영어는 힘이 센가
6.9. 이중언어사용과 다이글로시아
6.10. 분리와 결집 그리고 미래
7장_언어의 의미: 의미론
7.1. 의미란 무엇인가
7.2. 의미론의 3분법: 어휘의미론, 문장의미론, 화용의미론
7.3. 개념구조로서의 의미: 단어 의미
7.4. 지시로서의 의미
7.5. 문장 구조와 논리 형식으로서의 의미
7.6. 범주 인식과 인지주의
7.7. 문화적 상대성과 어휘 경계
7.8. 맥락과 사용으로서의 의미
7.9. 화용론의 형성
8장_의미와 언어사용: 화용론과 담화
8.1. 말을 분석하는 데에는 단위가 있다
8.2. 맥락: 텍스트와 함께 하는 컨텍스트
8.3. 화용론적 추론: 함의, 함축, 전제
8.4. 맥락 해석의 예: 직시어 용법
8.5. 그라이스 화용론: 대화 격률과 함축 의미
8.6. 대화 격률의 체계와 역할
8.7. 대화 격률과 문화적 차이
8.8. 담화는 무엇인가
8.9. 텍스트 연구하기
8.10. 대화의 순서구조
8.11. 대화 순서와 문화적 차이
8.12. 대화 스타일과 남녀 차이
9장_말소리에 대해: 자음의 음성학
9.1. 소리의 세계
9.2. 조음 기관의 모습과 기능
9.3. 자음과 모음, 그리고 발음기호
9.4. 자음 분류의 기준
9.5. 조음 위치
9.6. 조음 방법
9.7. [엘]과 [알]을 구별하기
9.8. 덧대어 나는 음성적 특질: 유성성, 유기성
9.9. 발음기호에 익숙해지자
10장_모음의 음성학
10.1. 왜 모음이 중요한가
10.2. 모음 분류의 기준
10.3.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의 구분
10.4. 기본 8모음의 조음적, 음향적 특성
10.5. 그밖에 중요 모음들의 조음적, 음향적 특성
10.6. 이중모음에 관해
10.7. 발음 연습을 실제로 해 보자
10.8. 발음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10.9. 정확한 발음을 배워야 하는가
11장_말소리 연속체: 경계를 넘어서는 말소리
11.1. 편리한 허구와 음성적 사실
11.2. 동화 현상: 인접한 소리들
11.3. 초분절음: 길이, 크기, 높이
11.4. 초분절음(1)(길이): 음장
11.5. 초분절음(2)(크기): 강세
11.6. 초분절음(3)(높이): 억양과 성조
11.7. 음향음성학(1): 말소리의 물리적 특성
11.8. 음향음성학(2): 스펙트로그램 음성 정보
12장_말소리 체계
12.1. 음소란 무엇인가
12.2. 음소는 마음속 소리들이다
12.3. 음소는 겹침이 없는 소리이다
12.4. 음소는 의미 차이를 가져온다: 최소대립쌍
12.5. 음소는 일찍부터 습득된다: 음성 지각
12.6. 음소 목록의 차이: 로마자 표기법의 예
12.7. 외래어 표기법과 음소 구별
12.8. 음운론: 변별자질 체계
12.9. 음운론적 규칙으로 표시하기
13장_시간 속에 흐르는 언어: 기원과 계통
13.1. 아주 오래 전 옛날에
13.2. 유럽 언어들의 계통
13.3. 게르만 제어와 로망스 제어의 분화
13.4. 계통을 찾는 방법
13.5. 계통을 뛰어넘는 언어 접촉: 차용
13.6. 세계의 언어들: 계통 분류
13.7. 언어는 왜 변화하며 언제 변화하는가
14장_영어의 역사
14.1. 연대기 구획하기
14.2. 기원전부터 고대영어 시대까지
14.3. 노먼 정복 이후 중세영어 시대: 1066년 이후
14.4. 후기 중세영어 시대: 1200~1450년
14.5.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며: 1450~1600년
14.6. 대모음추이와 셰익스피어
14.7. 중세 이후, 영어의 방언 차이
14.8. 항해의 시대, 영어의 차용어들
14.9. 현대영어로: 사전 편찬과 표준화
14.10. 전 세계로 확산된 영어
15장_한국어의 과거와 현재
15.1. 한국어의 기원: 알타이 계통설
15.2. 한국어 계통의 다른 가설: 반알타이 가설
15.3. 한국어의 내적 역사
15.4. 한국어에 들어온 차용어
15.5. 한국의 방언과 표준어
15.6. 방언으로 표현되는 지역 문화
15.7. 한국인의 옛날 문자생활: 차자 표기
15.8. 한국의 문자: 훈민정음 창제
15.9. 한글의 어제와 오늘: 민족 얼을 담는 그릇
15.10. 세계 속의 한국어
16장_문자의 세계, 세계의 문자
16.1. 문자의 매력
16.2. 고대 문자의 등장
16.3. 알파벳 문자: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
16.4. 알파벳 문자들의 비교
16.5. 그리스 알파벳: 모음 글자로의 전환
16.6. 그리스와 로마에서 추가된 글자
16.7. 철자법과 키릴 문자
16.8. 다른 문화권에서: 마야 문자, 인도 문자, 몽고 문자
16.9. 동아시아 문자: 한자 문화권
16.10. 한글의 글꼴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