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창작.문장작법
· ISBN : 9788959668199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17-08-18
책 소개
목차
제1부 수필 제대로 써보기
1. 수필의 쓸거리를 찾아보자
1) 제재 고르기
2) 제재 고르는 요령
3) 제재 고르는 방법
(1) 체험한 것
(2) 관찰한 것
(3) 조사한 것
(4) 독서한 것
2. 수필의 주제를 잡아보자
1) 주제 잡기
2) 주제 잡기 요건
(1) 내용 면에서
(2) 작가 편에서
(3) 범위를 좁혀서
(4) 독자도 살펴야
3) 주제문 작성하기
3. 수필의 문장을 써보자
1) 단어와 문장
2) 간결한 문장
3) 명확한 문장
4) 다양한 문장
5) 문장의 서술 요건
4. 수필의 문단을 조직해보자
1) 문단과 소주제
2) 문단을 조직하려면
3) 문단 써보기
(1) 두괄식
(2) 미괄식
(3) 양괄식
(4) 중괄식
(5) 추정식
4) 문단 조직의 삼형제
(1) 응집성
(2) 연결성
(3) 통합성
5) 문단의 표지와 형식
5. 수필을 알맞게 구성해보자
1) 문의 구성
2) 문의 구성 유형
(1) 시공간적 구성
(2) 인과 구성
(3) 비교와 대조 구성
(4) 절정 구성
(5) 병렬 구성
3) 문의 구성 단계
4) 원고 분량과 문단 배열
5) 문 구성하기
(1) 구성의 균형 잡기
(2) 개요를 작성
(3) 문 구성의 사례
6. 수필의 초고를 써보자
1) 서두 쓰기
2) 본문 다양하게 쓰기
(1) 설명하기
(2) 예증하기
(3) 정의하기
(4) 권위 인용하기
(5) 유추하기
3) 결미 쓰기
4) 초고 수정하기
5) 교정하고 제목 달기
제2부 수필 제대로 알아보기
1. 독자는 누구인가
2. 어조와 목소리 또는 문체
3. 인물 묘사
4. 배경의 중요성
5. 구체성 문제
6. 비유에 관해
7. 리듬이란
제3부 수필 제대로 바라보기
1. 시와 수필의 서정성
2. 소설과 수필의 서사성
3. 수필과 연극성
4. 수필의 교설성
5. 수필과 역사, 철학, 예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필을 쓰기 위해 글의 중요한 목적의 방향과 성격을 확정하는 것을 주제 잡기라 부른다. 주제를 잡아야 이에 맞추어 문단 중심으로 글을 구성하고, 문단별로 소주제를 정하여 문단을 조직할 수 있다. 그리고 글의 설계도인 개요에서 핵심인 주제를 잡고서 비로소 글을 써 나갈 수 있다. 주제 잡기와 제재 고르기의 선후는 집필 동기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수필을 창작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주제를 잡지 못하면 글을 실제로 쓸 수 없거나, 이것 없이 글을 쓴다면 그것은 정말 무의미한 일이 되기 때문이다.
주제는 암시적이어도 주제문은 구체성을 띠어야 집필하는 데 중심을 잡고 통합성을 획득하기 쉽다.
다음 예를 보면서 주제문을 작성하는 실제를 익혀보자. 다시 유의할 것은 간명한 평서문이고 보다 구체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제재를 축약한 것이지만 독자에게 전달하고 소통할 글의 핵심 내용이 반드시 담겨야 한다.
문단의 형식 표시와 관련된 오류는 문단 인식의 부족에서 빚어진다. 한두 문장을 쓰고 분명한 이유 없이 줄을 바꾸거나 한 문단에 너무 많은 분량을 할애하는 경우다. 흔히 글쓰기 초보자는 문단을 의식하지 않고 생각나는 대로 글을 쓰려고 한다. 이를 벗어나 조리가 닿은 글을 쓰려면 먼저 문단 조직 원리를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수필 한 편을 쓰자면 필자의 머릿속에서 대단히 복합적인 사고 작용이 일어난다. 표현하려는 생각이나 감정이 있다 하더라도 쓰기 전의 것은 조각 체험이나 정보 자료에 지나지 않는다. 수필 쓰기란 어렴풋이 떠오르는 생각과 감정을 하나하나 끄집어내어 체계를 잡고 논리화하는 고도의 사고 과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