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군사학
· ISBN : 9788959780846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1-03-01
목차
머리말
l. 서론
1. 무엇이 문제인가?
2. 무엇을 다룰 것인가?
3. 다룰 '주제'의 중요성은?
ll. 위협양상의 변화와 새로운 임무의 대두
1. 냉전기의 현실주의적 안보관
2. 새로운 안보위협 양상
3. 탈냉전과 유엔ㆍ지역공동체의 역할 강화
4.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
5. 새로운 PKO 임무의 대두
lll. 탈냉전기 평화유지활동의 진화
1. 안보 개념의 변화와 평화유지활동
2. 평화유자활동(peacekeeping opeerations, PKO)의 진화
3. 유엔의 탄생과 'UN PKO' 평가
lV. 주요국의 평화유자활동 동향 및 시사점
1. 개요
2. 주요국의 평화유지활동 추진 및 운용체계
3. 분석 틀 및 재해석
4. 시사점
V. 한국의 평화유지 활동 현황과 문제점
1. 평화유지활동 현황
2. 평화유지활동의 문제점
Vl. 발전적 개념에 대한 논의 : 전통적 개념의 대란
1. 문제 인식
2. '연성국력(soft power)'의 개념적 논의
3. '연성국력(soft power)','스마트 파워(smart power)' 로서의 PKO
4. 전통적 개념에 대한 대안
Vll. 조직 체계에 대한 논의: 국가급 'POC'를 통한 접근
1. 왜 각국은 통합 기능의 센터 'POC'를 원하는가?
2. 지역평화활동센터에 대한 입장
3. 관련부처 및 이해 당사자 시각
4. 국가급 'POC'를 통한 전략적 접근
Vlll. 결론
참고문헌
표목차
그림목차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