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59960224
· 쪽수 : 206쪽
· 출판일 : 2006-08-30
목차
머리말
1장 내러티브탐구는 무엇인가?
1. 내러티브탐구는 무엇인가?
2. 연구자료인 개인적 내러티브
3. 내러티브의 예 : Riessman(2005)
4. 경험의 재현
5. 내러티브 분석의 활용과 한계
2장 내러티브탐구의 개념
1. 유주연 이야기 : 졸업과 첫 강의
2. 내러티브탐구의 현장
3. 연구자의 업적과 우리의 고민
4. 의문점
3장 내러티브로 생각해보기
1. 유주연 이야기 : 2년제 대학생 영어 가르치기
2. grand narrative vs. narrative
3. grand narrative & narrative inquiry의 경계에서
4. 유주연 이야기: 편견과 결심
4장 축소주의와 형식주의
1. 유주연 이야기 : 강의 현장에서 내러티브적 교육자료 활용
2. rationalism, reductionism
3. narrative vs. formalistic
4. 내러티브의 힘
5장 내러티브탐구자가 해야 할 일
1. 유주연 이야기 : Telling and Re-telling in 3-dimensional space
2. 3차원 내러티브 탐색 공간 그리고 Ming Fang He 이야기
3. Karen 이야기 그리고 글쓰기 공동체
6장 현장 속으로
1. 유주연 이야기 : 전문대학교 가는 길
2. Bay Street School에서
3. 변화와 협상
7장 현장에서 텍스트 구성하기
1. 유주연 이야기 : 수평적 관계에서의 영어의사소통 경험
2. 내러티브탐구자에게 현장 텍스트의 의미
3. 현장의 기억을 텍스트로 옮겨두기
8장 필드 텍스트로 재구성하기
1. field text의 종류
2. 유주연 선생님이 수집한 텍스트 유형
3. 현장의 텍스트
9장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
1. 내러티브탐구 연구 텍스트 만들기
2. 유주연 이야기 : 연구 텍스트 만들기
10장 연구 텍스트 재구성하기
1. 연구 텍스트 재구성 작업
2. 유주연 이야기 : 연구 텍스트 작성의 어려움
3. 적절한 내러티브 형식 찾기
11장 내러티브탐구 연구자의 고민
1. 내러티브탐구 연구의 고민
2. 유주연 이야기 : 마지막 편
12장 한국의 영어교육연구 현장과 내러티브탐구방법
1. 문제 제기
2. 한국 영어교육연구의 경향
3. 내러티브탐구방법
4. 영어교육연구 현장에서 내러티브탐구의 의미
5. 내러티브탐구방법에 기초한 영어교육연구
6. 결론
13장 연구자 이야기 : 내러티브탐구를 시작하며
1. 시작하며
2. 방법론적 사유 실험과 내가 말하고 싶은 언어 찾기
3. 체험에서 제언으로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