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59967360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제1장 들머리
1.1. 목적
1.2. 지식에 대한 학제적 연구
1.3. 담화에 대한 연구
1.4. 담화와 지식에 대한 연구
1.5. 담화, 인지와 사회의 삼각 연구
제2장 자연 지식에 대한 이론의 요소들
2.1. 들머리
2.2. 지식의 기본적인 조건과 기능
2.3. 자연 지식에 대한 이론을 향한 단계들
2.4. 자연스러운 지식의 몇 가지 속성
2.5. 자연 지식의 자리매김에 대한 요약
제3장 담화, 지식과 인지
3.1. 들머리
3.2. 담화 처리의 새로운 이론을 위하여
3.3. 정신 모형
3.4. 지식에 대한 표준적인 인지 이론
3.5. 담화 처리에서 지식의 역할: 경험적 조사 연구
3.6. 담화에 의한 지식의 습득
3.7. 지식과 기억
3.8. 마무리
제4장 담화, 지식과 사회적 인지
4.1. 들머리
4.2. 사회적 믿음
4.3. 사회 집단과 공동체
4.4. 공유되는 사회적 믿음
4.5. 사회에서 지식과 소통과 확산
4.6. 마무리
제5장 담화와 지식, 사회
5.1. 들머리
5.2. 사회와 인지를 관련짓기
5.3. 인식론적 공동체
5.4. 맥락에서 담화와 지식
5.5. 신문 보도
5.6. 마무리
제6장 담화와 지식과 문화
6.1. 들머리
6.2. 문화와 인지
6.3. 사회.문화적 공동체
6.4. 지역에 토대를 둔 지식(들)
6.5. (지역에 토대를 둔) 지식의 구조
6.6. 담화와 지식과 문화
6.7. 마무리
제7장 언어와 담화, 지식
7.1. 들머리
7.2. 담화와 인지, 사회의 삼각 연구
7.3. 덩잇말과 대화의 인식론적 구조
7.4. 마무리
제8장 결론
8.1. 인식론: 지식의 본질
8.2. 지식과 담화, 인지
8.3. 담화와 지식, 사회적 인지
8.4. 담화와 지식, 사회
8.5. 담화와 지식, 문화
8.6. 언어, 담화와 지식
8.7. 마무리
원전 참고문헌
부록
[부록1] 1장의 따옴글
[부록2] 2장의 따옴글
[부록3] 3장의 따옴글
[부록4] 4장의 따옴글
[부록5] 5장의 따옴글
[부록6] 6장의 따옴글
[부록7] 7장의 따옴글
뒤친이 해제 및 끝말
뒤친이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은이 테는 반 데이크(Teun. A. van Dijk)
뒤친이 허선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