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8896035277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1-06-01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연구 배경
2.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연구 범위
2.연구 방법
제2장 재능기부란 무엇인가?
제1절 재능기부의 개념 정의
1.기부문화의 등장배경과 한국기부문화의 특징
2.'기부'로서의 재능기부 정의
제2절 재능기부의 유사개념들과 의미의 확장
1.나눔:공동체성→쌍방향적 상호부조로의 확장
2.프로보노(pro bono)와 재능기부의 개념적 위상
3.시티즌 오블리주. 이지 오블리주. 쉬운 나눔
4.시간기부(Giving Time)
제3절 재능기부 관련 이슈들
1.자원봉사로서의 재능기부:진지한 여가
2.자원봉사 인센티브제의 확산
3.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기업 프로보노의 특화
4.은퇴 후 사회봉사:시니어 재능기부
제3장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의 유형
제1절 문화예술분야의 재능기부
1.전문 문화예술인의 재능기부
2.예비 전문 문화예술인의 재능기부
3.지역사회 기반 비전문 문화예술인의 재능나눔
제2절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재능기부
1.문화예술경영 컨설팅 재능기부
2.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지원 재능기부
제3절 문화예술을 통한 재능기부
1.공공기관의 문화예술 재능기부 중개사업
2.민간 영역의 문화예술을 통한 재능기부
제4장 국내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정책 사례
제1절 정부부처의 재능기부 정책
1.행정안전부의 지원봉사정책
2.고용노동부의 사회적기업 지원 프로보노정책
3.보건복지부의 자원봉사 및 재능기부 정책
4.교육과학기술부의 학생오케스트라 사업
제2절 문화부와 소속,관련기관의 재능기부 정책
1.문화체육관광부의 재능기부 정책
2.예술경영지원센터의 프로보노 연계 컨설팅
3.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재능기부 정책
4.문화재청의 문화재 지킴이 재능기부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재능기부 정책
1.서울시의 자원봉사 및 재능기부 정책
2.경기도의 재능기부 정책
3.충남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악기기부은행
제5장 해외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정책 사례
제1절 미국의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정책 및 사례
1.기부 및 자원봉사 일반 경향
2.재능기부의 경향 및 사례
제2절 영국의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정책 및 사례
1.정부차원의 시간기부 활성화
2.시간기부 중개기관들
3.문화예술분야 시간기부 사례들
제3절 호주의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1.호주의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 현황
2.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정책 및 프로그램
제4절 일본의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정책 및 사례
1.문화청의<문화 자원봉사> 정책
2.지자체 및 민간 차원의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제6장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활성화 방안
제1절 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주체 및 대상의 다변화
1.유명 문화예술인 중심 재능기부 정책의 한계 극복
2.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정책의 특성화 필요
3.재능기부 대상의 다변화를 위한 이슈레이징의 활성화
4.지역기반 생활예술네트워크를 통한 재능나눔의 일상화
제2절 민간영역 주도의 재능기부 환경 조성
1.정부주도에서 민간영역의 자발성 존중으로의 진화
2.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및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육성
3.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캠페인 및 교육 지원
4.문화예술분야 재능기부 인센티브 특성화
제3절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재능기부의 중점적 육성
1.문화예술 프로보노의 육성과 지원
2.문화예술 프로보노의 활동 영역 발굴 및 확대
제7장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