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60600188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07-01-19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_ 회사에서 필요한 숫자의 기본을 배울 수 있다!
프롤로그 _ 라면가게 창업을 통해 배우는 경리ㆍ회계의 모든 것!
1장 박대리, 라면가게를 열다 _ 비용과 이익에 대한 계산
비용을 알아야 이익이 보인다 _ 라면 한 그릇을 팔면 얼마나 벌 수 있을까?
재료비 외에 또 어떤 비용이 있을까? _ 재료비만으로 라면가게를 경영할 수는 없다
손익분기점, 이보다 더 쉬울 수 없다 _ 하루 평균, 라면 몇 그릇을 팔아야 이익이 발생할까?
이익을 확대하는 방법은 분명히 있다 _ 더 팔 것인지, 비용을 줄일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SUMMARY _ 비용의 차이를 알면 회계의 기초를 알 수 있다
연습문제
2장 직접 면발을 뽑아보자 _ 기계와 설비에 드는 돈
제조와 구입, 회계에서는 이렇게 접근한다 _ 면을 가게에서 직접 만들면 이익이 증가할까?
감가상각의 처리에 따라 이익과 손실이 결정된다 _ 기계 구입 대금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제조비용, 제대로 파악하면 원가 계산이 쉽다 _ 라면 사리 한 개를 만드는 비용을 계산하자
이익을 계산하는 기초 지식을 습득하자 _ 한 달에 이익이 얼마인지 계산해보자
SUMMARY _ 기계나 설비를 살 때 감가상각비를 고려하자
연습문제
3장 재고를 관리하는 방법은 따로 있다 _ 재고도 돈이다
매출원가란 제조비용을 말한다 _ 재고가 발생하더라도 많이 만드는 것이 이득일까?
명목상의 이익과 실질적인 이익은 다르다 _ 물건이 곧 돈이라는 사실을 명심하자
SUMMARY _ 재고 속에 돈이 숨어 있다
연습문제
4장 직접 점포를 꾸며보자 _ 빌린 돈을 갚는 방법
자기자금과 차입금을 구별하자 _ 인테리어까지 직접 하려면 저금으로는 부족하다
세금과 이자를 잊으면 벌고도 밑진다 _ 세금과 이자 역시 순이익을 구하는 데 중요한 비용이다
SUMMARY _ 손익계산과 현금흐름계산을 연결해주는 '사용할 수 있는 돈'과 '사용할 수 없는 돈'
연습문제
5장 개업 후 1개월간의 영업성적을 알아보자 _ 손익계산과 현금흐름계산 비교
손익계산, 이보다 더 명쾌할 수 없다 _ 개업 후 1개월간의 영업성적을 계산하자
현금흐름계산, 생각보다 훨씬 중요하다 _ 흑자인데 자금의 증감을 계산해보면 적자인 경우도 있다
SUMMARY _ 손익계산과 현금흐름계산을 할 때 재고와 상환도 잊지 말자
연습문제
6장 박대리 라면가게, 1년간의 재무제표 _ 재무제표의 기본을 익히자
대차대조표, 기초부터 다시 익히자 _ 박대리 라면가게의 개업 당시 상황을 되짚어보자
손익계산서를 보면 영업 실적을 알 수 있다 _ 박대리 라면가게, 1년간의 영업 실적을 돌이켜보자
지난 1년간의 손익계산을 해보자 _ 박대리 부부의 노력에 대한 대가를 손익계산으로 따져보자
지난 1년간의 현금흐름을 파악해보자 _ 개업 1년 후, 현금 보유액은 증가했을까?
개업 후 1년간의 대차대조표를 만들어보자 _ 개업 후 1년 동안 박대리 라면가게의 성적표!
SUMMARY _ 돈이 무엇으로 바뀌었는지 보면 대차대조표의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연습문제
7장 일반 회사의 재무제표를 파악하자 _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마스터하자
플로와 스톡 원리 안에 재무제표 있다 _ 냉장고의 캔맥주 원칙을 기억하자
외상매출금과 외상매입금, 이렇게 처리하자 _ 자금의 회수나 지급에는 시간적인 차이가 있다
재고자산, 명확히 해야 새나가는 돈 막는다 _ 팔리지 않는 물건은 재고가 된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를 파악하자 _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는 어떤 상관관계를 가질까?
SUMMARY _ 일의 흐름을 생각하면 재무제표와 손익계산서도 두렵지 않다
연습문제 해답편
옮긴이의 말 _ 회계, 이보다 더 쉽게 설명할 수는 없다!
책속에서
비용에는 매출에 따라 변하는 변동비와 변하지 않는 고정비의 두 종류가 있다. 한 그릇에 500원인 라면의 경우 한 그릇당 160원의 재료비(변동비)가 든다. 여기서 남은 340원이 한계이익이다. 이 한계이익을 차곡차곡 모아 고정비인 153만 원을 마련하려면 라면 몇 그릇을 팔아야 할까? 그 수량, 혹은 매출액이 손익분기점이다. 이 경우 손익분기점은 하루에 라면 180그릇(9만 원), 한 달에 라면 4천500그릇(225만 원)이다. 손익분기점을 넘으면 이익은 급증한다. - 본문 47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