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생태문학 연구총서 1

한국 생태문학 연구총서 1

조규익, 정연정 (엮은이)
학고방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3,250원 -5% 0원
1,050원
32,200원 >
31,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150원
28,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생태문학 연구총서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생태문학 연구총서 1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88960712010
· 쪽수 : 418쪽
· 출판일 : 2011-05-15

책 소개

‘생태담론’이 21세기의 대표적인 화두로 떠오르긴 했지만, 아직 실천적 담론으로까지 확대되지는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인에게 절실한 것은 생태주의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내면화 과정이다. 시대 상황의 반영과 진단이 문학의 중요한 역할이며 책임인데, 생태문학이라고 예외일 수는 없다.

목차

제1부 생태적 인간, 생태적 세계관
1. 생태주의, 생태인, 생태사회 <홍성태>
1. 생태적 전환의 요청
2. 생태주의의 전개
3. 생태인의 등장
4. 생태사회의 구상
5. 생태적 공황을 넘어서

2. 생태적 세계관, 생명의 철학 <박준건>
1. 起: 살림하는 집이 무너지고 있다.
2. 承 : 순수 녹색 철학으로서 심층 생태론
3. 轉 : 녹색을 넘어선 사회생태론
4. 結 : 심층생태론과 사회생태론의 통합
5. 解 : 우리의 길, 생명의 길

3. 생태학적 위기와 환경윤리 <노진철>
1. 머리말
2. 시작과 끝: 현대사회의 위기에 대한 담론
3. 생태학적 위기에 대한 도덕적 문제화
4. 환경윤리의 타당성과 도덕의 패러독스
5. 환경윤리의 딜레마와 사회적 책임문제로의 수렴
6. 맺음말

4. 생태적 인간중심주의 <김양현>- 인권과 자연권의 조화를 위한 이론틀의 모색-
1. 머리말
2. 두 마리 토끼 : 인권과 자연권
3. 자연권 인정의 함의들
4. 인간과 자연의 도덕적 위상
5. 생태적 인간중심주의
6. 맺음말

5.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주의 <박필배> 109- 환경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 모색 -
1. 서론
2. 생태주의의 자연관
3. 전통 규범과 인간 중심주의적 자연관
4. 칸트의 윤리 규범과 생태 문제
5. 결 론

제2부 종교생태학, 그 존재와 당위
1. 샤머니즘의 녹색세계관 <김욱동>- 창조 신화와 생태주의 -

2. 불교의 생태관 <고영섭>- 연기(緣起)와 자비(慈悲)의 생태학 -
1.녹색 사유와 새로운 학문
2.불교의 생태 이해
3.緣起와 慈悲의 생태학
4.생태에 대한 불교의 눈

3. 불교 생태학의 시문학적 수용과 그 해석 <강석근>
1. 서론
2. 세계는 하나
3. 너와 나는 하나
4. 함께 살아가기
5. 결론

4. 기독교와 생태주의 시론 <홍문표>
1. 기독교와 생태문제
2. 이성중심주의와 인본주의 신학
3. 생태학과 생태문학론
4. 기독교적 생태시
5. 생태시의 과제

5. 생태주의의 도전과 녹색 기독교의 전망 <유기쁨>- 개신교 생태 담론을 중심으로 -
1. 생태주의의 확산과 오늘날의 기독교
2. 세계 개신교 생태담론의 흐름
3. 한국 개신교의 생태 담론
4. 녹색 기독교의 전망

제3부 생태여성주의와 현대문학
1. 생태담론과 에코페미니즘 <이귀우>
1. 심층생태주의의 자연 299
2. 사회 생태주의의 자연 301
3. 에코페미니즘의 자연 302
4. 플럼우드의 심층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 비판 305
5. 해러웨이의 자연/문화, 여성/남성 이분법 해체 309

2. 제 3의 물결로서의 생태여성주의 <허라금>
1. 20세기 여성주의 운동 개관
2. 여성주의 원리 : 이분법의 해체
3. 생태여성주의 운동
4. 여성의 자연 친화력
5. 글 마무리

3. 생태 페미니즘 시가 가야 할 길 <장정렬>
1. 생태 페미니즘이란
2. 상처를 보는 법
3. 보살핌의 체험과 상처 인식
4. 시라는 화해

4. 생태여성주의와 문학 <황선애>
1. 들어가면서
2. 생태여성주의 문학과 비평의 전개
3. 생태여성주의 문학비평의 전망
4. 나가면서

5. 한국현대문학과 생태의식 <전혜자>
1. 머리말
2. 메카니즘과 생태학
3. 문학생태학과 생태의식
4. 한국현대 생태소설의 실상과 작가의식
5. 맺음말

저자소개

조규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태안 출생. 공주사범대학 국어교육과(문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석사ㆍ박사) 졸업. 해군사관학교(1981-1984)ㆍ경남대학교(1984-1986)ㆍ숭실대학교(1987-2022)의 교수 역임. 숭실 재직 시 인문대학장과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소장을 겸했고, 베스트 펠로우 교수(Best SFP/2010-2012) 및 아너 펠로우 교수(Honor SFP/2012-2022)로 선정되어 연구 지원을 받았으며, 한국시조학술상ㆍ성산학술상ㆍ도남국문학상ㆍ황조근정훈장 등을 받았음. 현재 숭실대 명예교수로서 에코팜(공주 정안 높은덕골)에 거주하며 (사)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를 이끌고 있음. 1998년 LG 연암재단 해외연구교수로 미국 UCLA에서 1년, 2013년 풀브라이트 학자(Fulbright Scholar)로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학에서 반년 동안 색다른 연구 분위기를 경험했고, 2005년 후반~2006년 초반 6개월간 자동차로 유럽 여러 나라의 문화와 역사 자취들을 답사하며 값진 깨달음을 얻었음. 1990년대 초부터 우연히 만난 중국 조선족 문학, 재미 한인문학, 구소련 고려인 문학 등을 통하여 한국문학 전반에 대한 통찰적 시각을 얻었음. ��해외 한인문학의 한 독법��(2023), ��한ㆍ중ㆍ일 악장의 비교 연구��(2022) 등 저ㆍ편ㆍ역서 다수, 「‘동동’ 텍스트의 본질」ㆍ「현실과 이상, 그 미학적 화해의 도정-고려인 극작가 한진의 문학세계」 등 논문 다수, 「조선조 사행록 텍스트의 본질」ㆍ「Ecological Meaning of the Capital-Feng Shui Represented in Songs of Joseon Dynasty」 등 다수의 국내ㆍ외 학술발표 실적이 있음. 홈페이지 http://kicho.pe.kr, http://www.ikla.kr 블로그 http://kicho.tistory.comhttps://blog.naver.com/kicho_57
펼치기
정연정 (엮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문학평론가, 문학박사 숭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주) 월간한민족 한국법인 대표 문학과환경학회 편집이사, 계간 「창조문학」 편집장. 동국대 생태환경연구센터 연구위원. 주요논문ㆍ 평론ㆍ 저서 「이규보와 최승호의 시세계 비교 연구-불교생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신흠의 시세계에 미친 주역생태관의 영향」 「김시습 한시에 구현된 불교생태학적 세계관」 「한국 현대생태시 연구-생태막스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조지훈 시의 불교생태학적 세계관 연구」 「김지하의 ‘애린’과 ‘모심’의 시학-불교생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물의 순환성을 통한 공의 시학-최승호론」 「메를로-퐁티의 ‘살’ 개념으로 본 한국현대시」 「공선옥 소설의 에코페미니즘 특성 연구- '수수밭으로 오세요'를 중심으로 -」 미주 한국일보 ‘여성의 창’ 칼럼 연재(2002) 계간『문학나무』‘명화와 시와 사랑’ 연재(2008) 계간『창조문학』‘정연정의 생태와 문학’ 연재(2008) 『한국생태문학 연구총서 1』(공저) 등의 저서와 다수의 논문ㆍ평론ㆍ칼럼 발표. 이메일 : adelajyj@hanmail.net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