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91169955140
· 쪽수 : 502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목차
제1부 : 고전시가는 무엇이며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고전시가의 의미범주와 통시적 양상 / 11
◾고전시가사의 전환적 계기와 장르 변이의 양상 / 35
제2부 : 고전시가와 소재․주제․이념의 구현양상
◾고전시가의 자연소재 활용양상 / 71
◾고전시가 콘텍스트로서의 제의 및 놀이문화 / 99
◾성리학적 주제의식을 바탕으로 한 고전시가 / 117
◾기독교를 바탕으로 한 고전시가 / 145
◾이방문화의 체험을 사실적으로 그려낸 사행가사 / 183
제3부 : 고전시가의 존재양태
◾고려속악가사의 존재와 확장 / 217
◾경기체가의 장르적 본질과 통시적 흐름 / 257
◾조선조 악장의 장르적 양상과 성격 / 279
◾가곡창사[시조]의 출현과 전개 / 305
◾장가[혹은 가사]의 형성과 전개 바탕으로서의 가맥(歌脈) / 325
제4부 : 고전시가 작품들과 담론 정립의 가능성
◾정읍-해석의 이중성, 그 동아시아적 보편성- / 347
◾‘동동’/<동동>-텍스트와 콘텍스트의 정체- / 375
◾용비어천가-생태적 바탕과 풍수적 사유(思惟)- / 409
◾「만횡청류」-에코 페미니즘과 성적 자유의 구가- / 427
◾거창가(居昌歌)-조선조 저항가사의 백미(白眉)- / 449
참고문헌 / 477
찾아보기 /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