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중.일 악장의 비교 연구

한.중.일 악장의 비교 연구

조규익 (지은이)
역락
6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7,000원 -5% 0원
3,000원
54,000원 >
54,000원 -10% 0원
0원
5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60,000원 -10% 3000원 51,000원 >

책 이미지

한.중.일 악장의 비교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중.일 악장의 비교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음악
· ISBN : 9791167424037
· 쪽수 : 776쪽
· 출판일 : 2022-10-21

책 소개

우리가 ‘고려속요’로 배워온 노래들은 고려와 조선의 궁중 무대에서 음악 및 춤과 융합형태로 공연되어 온 악장이었다. 악장의 개념과 한.중.일 사이의 같고 다른 점, 한.중.일 악장에 미친 주나라 악장집 <시경>의 영향 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서다.

목차

제1부 서론
Ⅰ. ‘악장・동아시아・비교’의 한계와 의미
Ⅱ. 동아시아 악장과 그 토양으로서의 중세적 보편주의
제2부 한・중・일 악장의 존재양상과 존립기반
Ⅰ. 용어의 의미범주 및 역사・문화적 의미
Ⅱ. 중국악장의 수용과 고려악장의 확립
1. 악장 수용의 바탕과 중국-고려 음악의 교섭양상
2. 고려악장에 미친 중국 악장의 영향
Ⅲ. 중국 및 고려왕조들의 呈才와 정재악장들
1. 당악・당악악장과 속악・속악악장의 관계
2. 고려 속악악장의 관습과 표현의 溯源: <동동>과 당악의 散詞들
3. <보허사>와 고려 당악악장에 등장하는 관습적 표현의 소원
Ⅳ. 중국 악장의 수용과 조선조 악장의 확립
1. 고려 악장체계의 계승을 통한 중국 연향악의 수용
2. <용비어천가>의 출현과 중국왕조 창업정신의 수용
3. 조선조 제례악장의 중국 왕조 제례악장 수용
Ⅴ. 일본 악장의 존재여부와 콘텍스트로서의 아악
1. 일본 아악의 특수성과 중국음악의 영향
2. 일본 속악 및 가요의 동아시아적 보편성
Ⅵ. 한・중・일 아악의 같고 다름과 釋奠樂章
1. 한・중・일 석전・석전악・석전악장 논의의 당위성
2. 석전악장 콘텍스트로서의 석전의례: 중국과 한국의 경우
3. 한-중 석전악장의 연동양상
4. 일본 석전・석전악・석전악장의 독자성
제3부 『시경』과 중・한・일 악장 및 예악문화
Ⅰ. 『시경』 수용의 패러다임, 그 보편성과 특수성
1. 논의의 전제
2. 『시경』 텍스트 수용의 두 양상
Ⅱ. 중세 예악문화와 『시경』의 텍스트적 본질
Ⅲ. 『시경』 수용을 통한 문화・정치적 보편성의 확보 1: 중국 역대 악장의 경우
1. 『시경』 수용에 관한 모범적 선례의 확립: 한나라 악장
2. 『시경』 수용 관습의 지속과 주변 음악문화의 폭 넓은 흡수: 수・당의 악장
3. 이데올로기 근원으로서의 『시경』 수용과 아악 중시의 새로운 기풍: 송나라 악장
4. 정통성 확보의 다급함, 『시경』 수용 전통의 墨守: 원나라 악장
Ⅳ. 『시경』 수용을 통한 문화・정치적 보편성의 확보 2: 고려・조선의 악장
1. 중세 왕조들의 『시경』 수용 및 정착
2. 『시경』 텍스트의 조립으로 만든 「휘의공주혼전대향악장」, 그 중세 보편주의 구현의 양상
3. 『시경』 텍스트의 조합으로 만든 「신찬태묘악장」, 그 중세 보편주의 구현의 새 양상
4. 중세 보편주의 지향 및 실천으로서의 예악정치: 조선 악장과 『시경』
5. 악장으로 승화된 창업의 역사: <용비어천가>와 『시경』 수용의 새 양상
Ⅴ. 『시경』 수용과 예악문화의 독자적 성향 확보: 일본의 경우
1. 『시경』 수용과 『가이후소(懷風藻)』 한시의 성격
2. 『시경』 수용과 『고킨와카슈(古今和歌集)』의 노래
3. 『시경』과 일본 에이교쿠(郢曲)類의 관련 가능성
제4부 결론

저자소개

조규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태안 출생. 공주사범대학 국어교육과(문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석사ㆍ박사) 졸업. 해군사관학교(1981-1984)ㆍ경남대학교(1984-1986)ㆍ숭실대학교(1987-2022)의 교수 역임. 숭실 재직 시 인문대학장과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소장을 겸했고, 베스트 펠로우 교수(Best SFP/2010-2012) 및 아너 펠로우 교수(Honor SFP/2012-2022)로 선정되어 연구 지원을 받았으며, 한국시조학술상ㆍ성산학술상ㆍ도남국문학상ㆍ황조근정훈장 등을 받았음. 현재 숭실대 명예교수로서 에코팜(공주 정안 높은덕골)에 거주하며 (사)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를 이끌고 있음. 1998년 LG 연암재단 해외연구교수로 미국 UCLA에서 1년, 2013년 풀브라이트 학자(Fulbright Scholar)로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학에서 반년 동안 색다른 연구 분위기를 경험했고, 2005년 후반~2006년 초반 6개월간 자동차로 유럽 여러 나라의 문화와 역사 자취들을 답사하며 값진 깨달음을 얻었음. 1990년대 초부터 우연히 만난 중국 조선족 문학, 재미 한인문학, 구소련 고려인 문학 등을 통하여 한국문학 전반에 대한 통찰적 시각을 얻었음. ��해외 한인문학의 한 독법��(2023), ��한ㆍ중ㆍ일 악장의 비교 연구��(2022) 등 저ㆍ편ㆍ역서 다수, 「‘동동’ 텍스트의 본질」ㆍ「현실과 이상, 그 미학적 화해의 도정-고려인 극작가 한진의 문학세계」 등 논문 다수, 「조선조 사행록 텍스트의 본질」ㆍ「Ecological Meaning of the Capital-Feng Shui Represented in Songs of Joseon Dynasty」 등 다수의 국내ㆍ외 학술발표 실적이 있음. 홈페이지 http://kicho.pe.kr, http://www.ikla.kr 블로그 http://kicho.tistory.comhttps://blog.naver.com/kicho_57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427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