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그래픽/멀티미디어 > 3ds max
· ISBN : 9788960880863
· 쪽수 : 728쪽
· 출판일 : 2011-07-11
목차
Part01_ SketchUp + V-Ray 시작하기
Chapter 01_ V-Ray for SketchUp 준비하기
section 01_ V-Ray for SketchUp 설치하기
section 02_ V-Ray for SketchUp Toolbar & Template
section 03_ Ruby Script 다운로드, 설치, 실행하기
Chapter 02_ 빛과 재질
section 01_ 색이란 무엇인가?
section 02_ Diffuse, Reflected 재질에 관한 이해
section 03_ 투명한 재질과 굴절에 관한 이해
Chapter 03_ SketchUp & V-Ray
section 01_ SketchUp Rendering + V-Ray Rendering
section 02_ SketchUp Local Illumination vs V-Ray Global Illumination
section 03_ SketchUp Material vs V-Ray Material
Chapter 04_ Viewport 제어하기
section 01_ Camera Tools
section 02_ Views Tools
section 03_ Styles Tools
section 04_ Walkthrough Tools
Chapter 05_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Scene & 단축키 만들기
section 01_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Othogrphic Scene 만들기
section 02_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Face Style 단축키 만들기
section 03_ Rendering을 위한 Camera Scene 만들기
Part 02_ Render Options
Chapter 01_ V-Ray Render Options 둘러보기
section 01_ V-Ray Render Options
section 02_ V-Ray Render Options 저장하기/ 불러오기/ 초기화하기
section 03_ Asgvis에서 제공하는 visopt 파일로 Rendering Option Setting하기
section 04_ Default Render Options Setting의 주요 요소
Chapter 02_ V-Ray Render Options Setting Process
section 01_ 태양광 Test Rendering 하기
section 02_ V-Ray Rectangle Light와 Color Mapping을 이용하여 장면의 밝기 조절하기
section 03_ 장면의 Noise 조절하기
section 04_ 재질 Test Rendering 하기
section 05_ 재질의 반사 & 투명도 최종 점검하기
section 06_ 큰 해상도에 알맞은 GI 설정하기
section 07_ 판넬 제작용 고해상도 이미지 Rendering 하기
Part 03_ V-Ray Material
Chapter 01_ V-Ray Material Editor
section 01_ Material Editor의 구성
01-1_ Material Editor의 구성
01-2_ Material 추가하기
section 02_ Texture Editor의 구성
02-1_ Texture Editor의 구성
02-2_ Texture Mapping 추가하기
section 03_ Material Editor 사용하기
Chapter 02_ V-Ray Default Material
section 01_ Diffuse Layer
01-1_ Diffuse Layer의 구성
01-2_ Diffuse Color 이해하기
section 02_ Reflection Layer
02-1_ Reflection Layer의 구성
02-2_ Reflection Color & Glossiness 이해하기
02-3_ TexFresnel & Filter Color 이해하기
section 03_ Refraction Layer
03-1_ Refraction Layer의 구성
03-2_ Diffuse Layer, Reflection Layer와의 관계 이해하기
03-3_ Refraction Color/ Glossiness/ Fog color 이해하기
03-4_ Translucency 이해하기
section 04_ Emissive Layer
04-1_ Emissive Layer의 구성
04-2_ Emissive Layer 이해하기
section 05_ Other Layers
05-1_ Options Layer의 구성
05-2_ Maps Layer의 구성
section 06_ Texture Mapping
06-1_ Diffuse Map & Coordination 이해하기
06-2_ Diffuse Transparency Map 이해하기
06-3_ Reflection & Refration Map 이해하기
06-4 Emissive Map 이해하기
06-5_ Bump Map 이해하기
06_6_ Displace Map 이해하기
06_7_ Background Map 이해하기
06_8_ GI Map 이해하기
section 07_ Procedual Texture Mapping
07_1_ Dirt Map 이해하기
07_2_ 그 밖의 Procedual Texture map
Chapter 03_ Other V-Ray Materials
section 01_ Skp Two Sided Material
01-1_ Skp Two Sided Material의 구성
01-2 Skp Two Sided Material 이해하기
section 02_ Toon Material
02-1_ Toon Material의 구성
02-2_ Toon Material 이해하기
section 03_ Angle Blended Material
03-1_ Angle Blended Material의 구성
03-2_ Angle Blended Material 이해하기
section 04_ Two Sided Material
04-1_ Two Sided Material의 구성
04-2_ Two Sided Material 이해하기
Part 04_ Light
Chapter 01_ Environment Light
section 01_ TexSky Map(VRaySun & VRaySky) & Default Light
section 02_ 시간의 변화에 따른 TexSky Map(VRaySun & VRaySky)의 변화 이해하기
section 03_ HDR Environment
Chapter 02_ V-Ray Light
section 01_ Omni Light
section 02_ Rectangle light
section 03_ Spot light
section 04_ IES light
Chapter 03_ Lighting Process
section 01_ 조명기구 및 IES Data 준비하기
01-1_ ERCO 조명 모델링 소스와 IES 데이터 가져오기
01-2_ ERCO 조명 사용하기
section 02_ 주간 장면 연출하기
02-1_ VRaySun & VRaySky Test Rendering
02-2_ Rectangle Light로 공간의 밝기와 품질 개선하기
02-3_ 장면의 밝기 보정과 재질 확인하기
02-4_ GI 연산 Data를 이용하여 큰 해상도의 Rendering 하기
section 03_ 야간 장면 연출하기
03-1_ 야간장면 연출을 위한 환경 만들기
03-2_ Main Light 설치하기
03-3_ 천장 간접 조명 설치하기
03-4_ 천장 매입 다운라이트 설치하기
03-5_ Wall washing 간접조명 설치하기
03-6_ Wall Point Spot Light 설치하기
03-7_ Wall Mounted Spot Light 설치하기
03-8_ Stand Light에 Omni Light 설치하기
03-9_ 장면의 밝기 보정과 Emissive 재질 확인하기
03-10_ GI 연산 Data를 이용하여 큰 해상도의 Rendering 하기
Part05_ Rendering & Retouching
Chapter 01_ Rendering 장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요소들
section 01_ Physical Camera
01-1_ SettingsCamera
01-2_ CameraPhysical
01-3_ SettingsCameraDof
01-4_ SettingsMotionBlur
section02_ Color, Brightness & Contrast 보정
02-1_ Color Mapping
02-2_ V-Ray Frame Buffer
Chapter 02_ Output 영역과 크기 조정하기
section 01_ Output Option
section 02_ [V-Ray Tools] Ruby Script 사용하여 Rendering 영역 조정하기
Chapter 03_ [Zorro] Ruby Script를 이용한 section Rendering
section 01_ 종-횡단면 만들기 & 렌더링하기
section 02_ 아이소메트릭 만들기 & 렌더링하기
section 03_ 층별 공간 구조 표현하기
Chapter 04_ Retouching
section 01_ PNG 형식과 Ambient Occlusion 이용한 리터칭 + 사진 효과 표현하기
section 02_ Dennis Technique + V-Ray Rendering
section 03_ Z-Depth channel을 이용한 Depth of Field & Out-Focusing 표현하기
section 04_ Alpha Channel을 이용한 배경 합성하기
Part06_ Project_Sunsetbreeze House
Chapter 01_ Architecture & Landscape/ 건축물과 조경 표현
section 01_ Ready for Work/ 작업준비하기
section 02_ Approach/ 진입로
section 03_ Base & Floor/ 기초와 바닥
03-1_ Base/ 기초
03-2_ Floor/ 바닥
section 04_ Outside Wall/ 외벽
04-1_ Modeling/ 형태 만들기
04-2_ Material & Mapping/ 재질 입히기
section 05_ Inside Wall & Base Mold/ 내벽과 걸레받이
section 06_ Roof/ 지붕
section 07_ Door/ 문
07-1_ Entrance Door/ 현관문
07-2_ Inside Single Door/ 실내 목재문
07-3_ Outside Double Door/ 실외 철재문
07-4_ Folding Door/ 접이문
section 08_ Window/ 창문
08-1_ Awning Window & Fixed Window/ 어닝창 & 고정창
08-2_ Skylight/ 천창
section 09_ Awning/ 차양
section 10_ Landscape/ 조경
10-1_ Reflecting Pond/ 연못
10-2_ Outdoor Lighting/ 외부 조명기구
10-3_ Ground / 대지
10-4_ Grass/ 잔디
Chapter 02_ Interior/ 실내 환경 표현
section 01_ Lighting/ 태양광 & 조명 표현
section 02_ Material & Mapping/ 재질 입히기
02-1_ Material/ 재질 만들기
02-2_ Mapping/ 재질 적용하기
section 03_ Rendering & Retouching/ 렌더링과 리터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