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스포츠의학
· ISBN : 9788961311205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3-09-04
책 소개
목차
책머리
1 운동과 건강론 Exercise and Health
1.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
2. 운동과 인체 생리기전
가. 에너지 생성
나. 에너지원
3. 운동훈련과 에너지 시스템
가. 인원질 과정
나. 해당 과정
다. 유산소성 과정
라. 각종 운동종목 수행시 에너지 시스템의 기여도와 열량소비
4. 운동훈련 후 체내 생리학적 변화
2 운동과 영양론 Exercise and Nutrition
1. 운동과 에너지 소모량
2. 운동과 영양소
가. 탄수화물
나. 단백질
다. 지 방
라. 수 분
마. 비타민
바. 미네랄
사. 보조 식품
3. 운동과 체중조절
가. 체중감량 프로그램
나. 체중증량 프로그램
4. 운동 종목과 영양처방
가. 구기 종목과 영양소
나. 대인 종목과 영양소
다. 개인 종목과 영양소
3 임상 운동처방론 Clinical Exercise Prescription
1. 운동처방의 유래와 정의
2. 운동처방의 원리
가. 특이성의 원리
나. 신경교차의 원리
다. 과부하의 원리
라. 점진성의 원리
마. 개별성의 원리
바. 다양성의 원리
사. 가역성의 원리
3. 운동처방의 요건
가. 운동형태
나. 운동강도
다. 운동시간
라. 운동빈도
마. 운동기간
4. 단계별 운동 계획
가. 일일 계획
나. 주간 계획
다. 연간 계획
5. 운동처방 절차와 사전 검사
가. 설문지 작성
나. 운동 전 상담
다. 의학 검사
라. 신체구성 검사
마. 운동부하 검사
바. 심장의 신경전도 체계
사. 심전도 리드
아. 심장의 축
자. 심전도 기록지
차. 심전도 파형과 간격의 생성
카. 심전도 판독
타. 비정상 심전도의 해석
바. 근관절기능 검사
사. 체력 검사
4 임상 운동론 Clinical Exercise Training
1. 유연성 운동
가. 고유감각신경근촉진법
나. 정적 스트레칭
2. 심폐지구력 운동
가. 심폐지구력의 변화 요인
나.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한 운동의 종류
다. 심폐지구력의 운동량
3. 근력 운동
가. 근력의 변화 요인
나. 근력 향상을 위한 운동의 종류
4. 근지구력 운동
가. 근지구력의 변화 요인
나. 근지구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시 고려사항
다.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
5 병태생리학 Pathophysiology
1. 비만
가. 비만의 정의와 원인
나. 비만과 심리적 질환
다. 비만과 노인
라. 비만의 관리
2. 당뇨병
가. 당뇨병의 정의와 원인
나. 성인 당뇨병의 특징
다. 당뇨 합병증
라. 당뇨병의 관리
3. 고지혈증
가. 고지혈증의 정의와 원인
나. 지단백질의 종류와 역할
다. 고지혈증 관련 질환
라. 고지혈증의 관리
마. 고지혈증 관련 질환의 관리
4. 심장질환
가. 고혈압
나. 관상동맥질환
다. 심부전증
라. 판막질환
마. 부정맥
5. 폐질환
가. 만성폐쇄성폐질환
나. 천식
6. 관절염
가. 퇴행성관절염
나. 류머티스성 관절염
7. 골다공증
가. 증상과 특징
나. 관리 방법
8. 요 통
가. 증상과 특징
나. 척주의 구조와 기능
다. 척주의 안정성
라. 요통예방을 위한 자세교정
마. 요통환자를 위한 관리방법
9. 암 환자의 관리
가. 암, 신체활동 및 과체중과의 관련성
나. 암 유발을 줄이기 위한 권장사항
다. 암환자를 위한 운동과 주의사항
10. 뇌졸중과 뇌손상
가. 뇌졸중과 뇌손상의 병태생리
나. 뇌졸중 환자의 운동에 대한 반응
다. 뇌졸중 환자의 운동훈련의 효과
라. 뇌졸중 환자의 관리와 약물
마. 운동검사를 위한 권장사항
바. 뇌손상 환자를 위한 운동프로그램
부록 Appendix
부록 A. 운동처방 공식
부록 B. 운동부하 검사
부록 C 운동과 상해
부록 D. 임상운동처방 및 재활운동의 흐름도
권장문헌 Suggested Readings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