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밥상의 역사

밥상의 역사

금현진 (지은이), 이새미 (그림)
다림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700원 -10% 2,500원
650원
13,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밥상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밥상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 한국사
· ISBN : 9788961773454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24-12-09

책 소개

밥상에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깃들어 있다. 달고, 짜고, 뜨겁고, 시원했던 삶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오늘 저녁으로 무엇을 먹을지 모르겠다고요? 매일 먹는 밥과 반찬이 따분하다고요? 〈밥상의 역사〉를 읽고 나면 우리의 밥상이 새롭게 보일 것이다. 맛깔나게 차려진 밥상 이야기, 함께 살펴보자.

목차

1장 줍고 따고 잡아서 차린 태초의 밥상
나무에선 도토리가 떨어지고 물에선 조개가 난다네 10
곡식을 기르자 먹고 남는 식량이! 12
쑥과 마늘을 먹어야 사람이 된다고? 15
비둘기가 가져다준 보리 씨앗 18
메주콩 길러 장 담그고, 콩 국물 내려 두부 만들고 20
부록: 세상을 얻을 자, 떡이 일러 주리라 24

2장 한식의 기틀을 잡다
쇠와 소, 농사에 새바람을 일으키다 28
밥 따로 국 따로 반찬 따로 31
특별한 한 쌍, 숟가락과 젓가락 33
새콤한 김치에 짭조름한 젓갈 36
산, 들, 바다에서 골고루 모은 먹거리 38
부록: 왕이 된 소금 장수, 을불 44

3장 푸릇푸릇 채소와 나물의 전성시대
새 시대의 밥상, 무엇으로 채울까? 48
소박하고도 풍성한 채식 밥상 50
국제도시 개경의 만두 맛집, 쌍화점 53
설렁탕과 불고기, 순대의 뿌리 57
향긋한 차 한잔에 달콤한 유밀과 한입 60
부록: 전라도 제사상에는 홍어, 경상도 제사상에는 돔배기 64

4장 오늘로 이어진 다채로운 조선 밥상
농사는 나라의 근본이니 임금이 모범을 보이리라 68
철 따라 차려 먹는 세시 밥상 70
임금님은 그 많은 음식을 어떻게 다 먹었을까? 74
배고픔을 덜어 준 고구마와 감자 77
고추, 한국인의 입맛을 사로잡다 79
부록: 바쁜 장터 국밥, 개성 넘치는 팔도 국밥 82

5장 수난의 시대, 가난한 밥상
외국 음식이 쏟아져 들어오다 86
조선인은 먹을 수 없던 조선 쌀 88
간장 공장 공장장, 된장 공장 공장장 90
카레라이스와 돈가스의 고향은 여러 나라 92
소고기 대신 멸치로 육수를 내라고? 96
부록: 명란젓, 일본에 가다 98

6장 풍족해진 밥상, 산업화와 세계화를 거치다
잡곡밥과 밀가루 음식 많이 먹기 운동 102
마침내 쌀이 모자라지 않은 시대가! 104
라면과 소시지, 공장에서 밥상으로 106
삼겹살과 소갈비, 치킨의 시대 109
패스트푸드의 새로운 유혹 112
양보다 질, 요즘 밥상 114
부록: 작아지는 밥그릇, 밥상의 미래는? 118

저자소개

이새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근한 일상 이야기를 담은 요리 만화를 그립니다. 맛있게 담아 낸 요리 이야기로 누군가의 입가에 미소가 번지길 바라면서요. 쓰고 그린 책으로 도시락 에세이 『오늘을 담다』, 혼자 있는 시간과 그런 스스로를 먹이고 보살피는 일상의 그린 『나 홀로 짠!』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주몽은 어머니와 헤어짐을 슬퍼하며 정신이 없던 와중에 그만 오곡 중에서 보리 씨를 잃어버리고 말았어. 만약에 거기서 끝이라면 주몽이 세운 고구려에는 보리가 없었을지도 몰라. 다행히 주몽은 보리 씨를 되찾게 돼. 길 떠난 주몽이 나무 밑에서 쉬는데 갑자기 비둘기 한 쌍이 날아들더래. ‘아, 어머니가 보리 씨를 보내 주신 거로구나!’ 싶었던 주몽은 활을 쏘아 비둘기 한 쌍을 한꺼번에 맞췄대. 역시나 비둘기는 보리 씨를 갖고 있었어. 주몽은 비둘기 목에서 보리 씨를 꺼낸 뒤 몸에 물을 뿌려 주었고, 비둘기들은 다시 살아나 부여 쪽으로 날아갔다고 해.


1600년대에 김여익이라는 사람이 나뭇가지를 이용해 김을 양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 그렇게 길러 낸 김을 인조 임금에게 바치자, 인조는 맛이 좋다며 김여익의 성을 따서 ‘김’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나? 김 양식 기술은 점차 발전해 1960년대부터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고, 오늘날에는 전세계 사람들이 먹는 모든 김의 70퍼센트가 한국에서 생산되고 있어. 물론 그중에는 한국인의 밥상 위에 오르는 김의 양도 적지 않겠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