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제학 천재들의 일본경제 비판

경제학 천재들의 일본경제 비판

(미국은 일본경제의 부활을 알고 있다)

하마다 고이치 (지은이), 김명수 (옮긴이)
어문학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800원 -10% 540원 9,180원 >

책 이미지

경제학 천재들의 일본경제 비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제학 천재들의 일본경제 비판 (미국은 일본경제의 부활을 알고 있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6184976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1-06-30

책 소개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학술총서 3권. 국제금융론과 게임이론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인 하마다 고이치가 일본경제의 부활 가능성을 알리는 책이다. 그는 ‘일은류이론’을 표방하는 일본은행이 경제학 200년에 기반하는 보편적인 법칙으로 운영하면 일본경제가 곧바로 부활할 것이라 확신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006
머리말 50년 연구생활의 ‘고별강연’으로 008
서장 제자, 일은 총재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013
제1장 경제학 200년의 상식을 무시하는 나라 039
제2장 일은과 재무성을 위한 경제정책 067
제3장 천재 경제학자들이 말하는 일본경제 103
제4장 그래도 경제학은 일본을 구한다 141
제5장 2012년 2월 14일의 충격 167
제6장 증세 전에 절대 필요한 정책 205
제7장 ‘관보복합체’의 함정 237
종장 일본은 이제 곧 부활한다 271
후기 ‘아름다운 나라’를 되찾기 위해서 287
옮긴이의 말 298

저자소개

하마다 고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도쿄대학 법학부와 경제학부를 졸업한 뒤 1965년 예일대학에서 경제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9년에 도쿄대학 경제학부 조교수, 1981년에 교수가 되었으며, 1986년부터는 예일대학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현재는 명예교수)이다. 2001년 일본 내각부경제사회총합연구소 소장에 취임하였고, 법경제학회의 창립 멤버로 초대 회장을 지냈다. 국제금융론, 게임이론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한때 노벨경제학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저서로『 經濟成長と國際資本移動―資本自由化の經濟學』(東洋經濟新報社), 「『モダン·エコノミックス(15) 國際金融』(岩波書店), 『エ?ル大?の書齋から―經濟學者の日美體驗比較』(NTT出版) 등이 있다.
펼치기
김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제사 전공, 계명대학교 국제지역학부 부교수. 『近代朝鮮の境界を越えた人々』(공저, 2019), 『日本帝國の崩壊』(공저, 2017), 『일제강점기 군산의 미곡시장과 공설시장』(편역, 2020)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은류이론’과, 세계에 통용되는 일반적인 (그래서 역사가 오래된) 금융론, 거시경제정책과의 사이에는 커다란 갭이 있다. 그 결과로 나타난 것은 국민생활의 곤궁함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고교·대학 신규 졸업자의 취직률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경제문제는 서민의 생활, 그 원점에서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새로운 내각의 가장 중요한 포지션에, 전혀 맞지 않는, 경제의 상식에서 보자면 정반대의 정책을 실시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취임해 있었다. 그 주위도, 관방장관을 비롯해, 모두 디플레이션파이다. 정말 놀랄 만한 포진이었다. 옛날, 나도 근무한 적이 있는 내각부의 경제사회종합연구소장 자리에는 금융정책이 전혀 효과가 없다는 가정으로 거시모델을 만든 인물이 취임해 있었다.


정치가들, 그리고 금융정책무효설을 제창하는 학자들에게 지금까지도 마르크스경제학의 영향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닐까? 적어도 고정환율제하의 기성관념에 붙잡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젊은 시절에 배운, 즉 수십 년 전의 지식으로, 현재의 정치나 경제를 관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