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체육학 연구방법

체육학 연구방법

(제4판)

오수학, 김병준 (지은이)
레인보우북스(무지개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체육학 연구방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체육학 연구방법 (제4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88962064520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19-03-12

책 소개

제4판은 3판에서 사용했던 장 구성은 대부분 그대로 두고 비교적 간단한 개념과 방법을 포함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제3판에서 단일사례 설계, 통합방법 연구, 질적연구에 관한 장이 이미 기술되어 있어 장 구성에서 커다란 변화는 주지 않았다.

목차

제1부 연구 시작하기

제1장 주제선정과 문헌분석 15
01. 연구의 과정 16
1) 연구주제 선정 17
2) 문헌 검토 17
3) 연구목적 설정 17
4) 자료 수집 18
5) 자료 분석과 해석 18
6) 보고와 평가 18
02. 연구 설계의 유형 18
03. 연구주제 찾기 22
1) 연구자의 관심 22
2) 선행연구의 분석 23
3) 프로젝트 참여 23
4) 새로운 이론 24
5) 학술대회 참가 24
6) 현장 지도경험 24
7) 전문가나 지도교수 조언 25
04. 좋은 연구 제목의 조건 25
1) 구체성과 간결성 26
2) 핵심 용어 사용 26
3) 지나친 전문용어 금지 26
4) 가치 중립적 용어 사용 26
5) 부제 사용 피하기 27
6) ‘-에 관한 연구’ 사용 금지 27
05. 선행 연구 읽기 28
1) 전공 학술지의 내용을 따라 잡는다. 28
2) 관심 있는 논문만을 골라 읽는다. 28
3) 의미를 찾으려고 애쓴다. 28
4) 초록을 먼저 읽는다. 28
5) 통계결과에 지나치게 신경 쓰지 않는다. 29
6) 비판적이지만 객관적 관점을 갖는다. 29
06. 컴퓨터를 이용한 문헌 검색 30
1)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 30
2) 한국학술정보 페이퍼서치 31
3) 상호대차 원문복사 서비스 32
4)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도서관 33
실습과제 37

제2장 연구 계획서 작성 39
01. 일반 원칙 40
02. 체제 42
03. 서론의 작성 44
1) 첫 문장 44
2) 연구의 목적 45
3) 연구 문제와 가설 47
04. 이론적 배경의 작성 48
05. 연구방법의 작성 51
1) 연구대상 51
2) 측정도구 52
3) 연구절차 53
4) 분석방법 54
06. 연구 계획서의 평가 54
1) 전반적 인상 55
2) 서론 55
3) 이론적 배경 55
4) 연구방법 55
5) 참고문헌 56
6) 부록 56
07. 연구 계획서 발표를 위한 준비 56
실습과제 60

제3장 논문작성과 투고 61
01. 논문작성 규정 62
1) 시제 62
2) 인칭 62
3) 간결한 표현 62
4) 간접인용 63
5) 직접인용 64
6) 약어 64
7) 제목 번호체계 65
8) 표와 그림 작성 66
9) 참고문헌 정리 66
02. 논문작성 규정의 예 68
1) 논문체제 68
2) 원고분량 69
3) 표지 69
4) 초록 69
5) 외국어 표기 69
6) 표, 그림 작성 69
7) 수학 및 통계기호 70
8) 서체 및 숫자 70
9) 인용 70
10) 참고문헌 71
11) 용지여백 72
12) 편집양식 72
03. 논문의 투고와 심사 72
1) 논문 투고 72
2) 논문심사 73
실습과제 77

제4장 연구윤리 79
01. 연구에서 윤리의 문제 80
1) 저자 자격과 저자 순서 80
2) 교신저자의 역할 82
3) 표절 82
4) 복수출판과 부분출판 83
5) 논문 데이터의 관리 84
6) 실험연구에서 피험자 보호 84
7) 현장연구에서 연구대상자 보호 85
8) 연구 조원의 윤리 86
9) 연구 조작 87
02. 연구윤리 정착을 위한 대책 87
1) 연구대상자의 권익보호 87
2) 윤리규정의 제정 89
3) 기관연구윤리위원회 IRB 94
03. 연구 계획서의 윤리성 검토 95
04. 연구윤리 사례 검토 95
1) 석사논문의 학술지 게재 95
2) 고추장 섭취와 체력 97
실습과제 98

제2부 연구 설계

제5장 조사연구 101
01. 조사연구란? 102
02. 연구의 절차 103
1) 안내문 작성 103
2) 사전연구 105
03. 질문지 작성의 원칙 106
1)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106
2) 구어체 문장을 사용한다 106
3) 질문은 간결한 단문으로 작성한다 107
4) 질문은 명시적이고 직접적으로 한다 107
5) 소요시간은 15분 정도가 되게 한다 107
6) 논리적 연계성에 따라 질문을 배열한다 107
7) 앞부분에 중요한 질문을 배치한다 107
8) 쉬운 문항, 일반적 문항을 앞에, 어려운 문항을 뒤에 배치한다 108
9) 질문마다 번호를 부여하고 쪽마다 쪽 번호를 부여한다 108
10) 중간의 선택 항목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108
04. 질문지 번역 사용 109
05. 질문지 번역과 검토 절차 110
1) 1단계: 번역본 준비 110
2) 2단계: 번역본 검토 112
3) 3단계: 예비조사 112
4) 4단계: 타당도 점검 112
5) 5단계: 신뢰도 점검 113
6) 6단계: 규준의 작성 113
06. 다섯 가지 자료수집 방법 115
07. 연구 대상자의 선정 119
1) 단순무선표집 120
2) 체계적표집 121
3) 층화표집 122
4) 집락표집 122
08. 표본의 크기 124
09. 델파이 조사 125
10. 질문지의 검색과 인용 127
실습과제 129

제6장 실험연구 131
01. 실험연구란? 132
1) 주요 용어 133
2) 내적타당도 134
3) 외적타당도 135
02. 실험설계의 유형 135
1) 사전실험설계 136
2) 실험설계 137
3) 준실험설계 139
03. 실험연구의 절차 142
1) 연구문제를 설정한다 143
2) 가설을 설정한다 143
3) 변인을 개념화하고 조작화한다 143
4) 연구대상을 선정한다. 143
5) 종속변인을 측정할 도구를 개발한다 143
6) 사전연구를 실시한다 144
7) 사전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한다 144
8) 실험을 실시한다 144
9) 결과를 분석한다 144
실습과제 145

제7장 단일사례 설계 147
01. 단일사례 설계의 특징 148
02. 단일사례 설계의 그래프 149
03. 단일사례 설계의 유형 150
1) A-B 설계 150
2) A-B-A 설계 152
3) A-B-A-B 설계 153
4) B-A-B 설계 154
5) A-B-C-B 설계 154
6) 중다기초선 설계 155
04. 단일사례 설계 연구 사례 158
1) 목적과 방법 159
2) 설계 159
3) 결과 159
05. 단일사례 설계에서 주의점 162
실습과제 163

제8장 질적연구의 이해 165
01. 질적연구란? 166
1) 질적연구의 특성 166
2)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168
02. 질적연구의 유형 169
1) 사례연구 170
2) 문화기술연구 170
3) 생애사연구 171
4) 근거이론연구 172
5) 현상학적 연구 172
6) 내러티브연구 173
03. 질적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174
04. 질적연구에 관한 편견과 오해 175
1) 편견/오해1: 질적연구는 수나 셈이 없다 176
2) 편견/오해2: 질적연구는 문화기술지라고 볼 수 있다 176
3) 편견/오해3: 질적연구에서는 통계적 표집 절차가 없다 176
4) 편견/오해4: 면접과 관찰로 자료를 수집하면 질적연구이다 177
5) 편견/오해5: 질적연구의 자료분석법은 체계적이지 못하다 177
6) 편견/오해6: 질적연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강조하지 않는다 178
7) 편견/오해7: 질적연구는 일반화할 수 없다 178
05. 질적연구 쓰기 지침 178
1) 일반 규정 178
2) 서론 쓰기 180
3) 이론적 배경쓰기 180
4) 연구방법 쓰기 181
5) 연구결과 쓰기 181
6) 논의 쓰기 183
실습과제 184

제9장 통합방법 연구 185
01. 통합방법 연구의 특징 186
02. 통합방법 연구의 유형 188
1) 양적방법 선행형 189
2) 양적방법중심 순차형 190
3) 질적방법 선행형 190
4) 질적방법중심 순차형 191
5) 병행형 191
6) 양적방법중심 병행형 191
7) 질적방법중심 병행형 191
03. 통합방법 설계의 구분 192
1) 삼각검증 설계 193
2) 설명형 설계 193
3) 탐색형 설계 193
04. 통합방법 연구에서 고려사항 194
05. 통합방법 연구의 작성 지침 195
1) 필요성 쓰기 195
2) 연구목적 쓰기 196
3) 연구문제 쓰기 196
06. 통합방법 연구 사례 197
1) 목적과 방법 197
2) 설계 198
3) 결과 198
4) 결론 199
실습과제 201

제3부 측정과 분석

제10장 신뢰도와 타당도 205
01. 무선적오차와 체계적오차 206
02. 신뢰도란? 207
1) 검사-재검사 신뢰도 208
2) 내적일관성 신뢰도 208
3) 평가자간 신뢰도 210
03. 신뢰도가 얼마면 좋은가? 212
04. 타당도란? 212
05. 타당도의 유형과 추정기법 213
1) 내용타당도 213
2) 준거타당도 216
3) 구인타당도 217
06. 요약 219
실습과제 221

제11장 새로운 타당도 개념 223
01. 들어가는 글 224
02. 타당도의 전통적 개념 225
03. 타당도의 새로운 개념 227
1) 고유 속성에서 자료의 해석으로 227
2) 형태중심에서 통합적 관점으로 228
3) 고정화된 틀에서 다양한 검증방법의 활용으로 230
4) 형식화된 타당화에서 보다 강력한 타당화프로그램의 개발로 230
04. 타당도의 새로운 개념을 적용한 타당화 231
1) 삼단계에 의한 타당화프로그램 231
2) 심리측정도구의 개발형태와 타당화 검증방법 236
05. 논의 및 결론 238
실습과제 241

제12장 자료분석의 기초 243
01. 주요 용어 244
1) 변수 244
2) 피험자와 집단 244
3) 데이터 246
4) 척도 246
5) 가설 246
02. SPSS 기초 247
1) SPSS의 메뉴 247
2) 데이터편집기-데이터보기 248
3) 데이터편집기-변수보기 248
4) SPSS 뷰어 248
5) SPSS에서 사용되는 파일형태 248
6) 데이터 분석의 단계 249
03. 평균차이 분석 249
1) 평균차이 분석의 분류 249
2) 통계적 가설검정 5단계 251
3) 독립 t-검정 251
4) 종속 t-검정 252
5)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252
실습과제 253

제4부 연구 사례

제13장 타당화 연구 사례 257
01. 연구소개 258
1) 이론적 배경을 포함한 서론 258
2) 연구목적 260
3) 연구문제 261
02. 연구방법 262
1) 대상 263
2) 도구 263
3) 절차 265
4) 자료분석 265
03. 결과 266
04. 논의 272
실습과제 275

참고문헌 276

찾아보기 288

저자소개

오수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부교수 (이메일) suhakoh@inha.ac.kr <학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학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대학원 석사 미국 The University of Georgia, 체육측정평가전공 Ph.D. <경력> (前)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후연수, 용인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수상> 교육인적자원부 부총리상(2007) <저서> 체육학개론(2012) 공저 체육학 연구방법(2009) 공저 체육통계(2008) 공저 체육 활동으로 배우는 가치(2009) 공저
펼치기
김병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내 최초로 프로팀의 심리교육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팀 응집력과 정신력을 끌어올려 강팀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대한민국 대표 스포츠심리학자. 재능과 기량은 뛰어난데 마음이 약해 매번 좌절을 경험하는 스포츠 선수들의 마음을 치료하는 멘탈 코치로, FC서울(프로축구), NC다이노스(프로야구), LIG(프로배구), 미래에셋대우탁구단의 심리교육을 담당했다. 따뜻하고 자상하지만 선수 개개인의 장단점을 날카롭게 파악하고 보완해 주는 그의 가르침은 선수들에게 희망을 부여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다.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체육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스포츠심리학의 이해』를 비롯해 『운동심리학: 이해와 활용』, 『체육학 연구방법』, 『태권도 인성교육』, 『강심장 트레이닝』, 『스포츠심리학』, 『자존감을 키우는 태권도 코칭언어』, 『나는 더 강해질 필요가 있다』 등이, 역서로 『강심장을 만드는 심리훈련』이 있다. 웹사이트 www.qe.or.kr(QE스포츠심리)로 대중과 소통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