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88962065800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5-09-15
책 소개
전 세계 성인의 약 72%가 WHO(2022)가 권장한 신체활동 수준을 실천하며, 건강을 위한 움직임이 이제 일상 속 깊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성인의 운동실천율이 70%를 넘어섰다는 사실은, 불과 수십 년 전 20~30% 수준에 머물렀던 시기와 비교할 때 실로 경이로운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운동은 단순한 건강 증진을 넘어, 개인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운동을 통해 공동체에 소속되려는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하며, SNS 인증 문화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한때 명품이나 여행이 사회적 과시의 상징이었다면, 이제 그 자리는 운동이 대체하고 있습니다.
러닝의 대중화와 크루 문화의 확산, 그리고 ‘패션 러너(fashion runner)’라는 신조어의 등장은 운동이 단순한 생활 습관을 넘어 하나의 문화적 트렌드이자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 열풍의 이면에는 한 가지 의문이 남아 있습니다. '왜 우리는 운동에 그토록 매혹되는가?' 그 해답은 바로 운동이 인간에게 가져다주는 심리적, 사회적 가치에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스포츠심리학은 경쟁과 승리에 초점을 맞추어 왔기에 건강과 웰빙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온전히 담아내기 어려웠습니다. 《운동심리학의 정석》은 이 간극을 채우고자 합니다. 이 책은 '왜 운동을 하지 않는가'에 대한 깊은 통찰과 함께, '어떻게 하면 운동을 시작하고 지속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질적인 해답을 제시합니다.
운동심리학은 운동실천에 대한 인식, 운동의 심리적 효과, 운동실천과 관련된 이론적 설명, 운동실천 촉진을 위한 전략 등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이 책은 크게 소개, 이론, 중재, 그리고 효과편으로 구분되어, 총 13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 소개] 편에서는 운동심리학의 개념과 필요성을 설명하고(1장), 신체활동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를 다룹니다(2장).
[제2부이론] 편은 운동 실천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행동이론을 다룹니다.
이 책에서는 건강신념모형, 자극반응이론, 계획행동이론, 자기효능감 이론, 자기결정성 이론,
변화단계 이론, 그리고 사회생태학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3-5장).
[제3부 중재] 편에서는 개인과 환경 요인이 운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6장), 이를 기반으로 한 중재전략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7장). 마지막으로
[제4부 효과] 편에서는 운동이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적 효과들을 다룹니다. 이 책에서는 운동과 관련된 성격 및 인지기능, 자기존중감, 스트레스, 불안, 우울, 그리고 정서를 주제별로 정리하였고,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운동의 심리적 가치를 조명하였습니다 (8-13장).
《운동심리학의 정석》은 학문적 깊이와 실용성을 모두 담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체육학, 심리학 전공자뿐 아니라,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와 운동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싶은 모든 이들을 위해 쓰였습니다.
아울러 강의 현장에서 이 책을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각 장마다 핵심 개념과 복습 문제, 토론 질문 그리고 프로젝트를 포함하였습니다. 무엇보다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최신 연구와 실증적 증거를 바탕으로 가독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습니다.
운동은 단순히 몸을 움직이는 행위를 넘어, 인간의 내면과 외부 환경이 상호작용한 결과입니다. 이 책이 운동의 심리적 가치를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운동 습관을 만드는 여정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 주기를 바랍니다.
이 책이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많은 분들의 관심과 노력이 있었습니다. 특히 출판을
맡아주시고 끝까지 격려와 신뢰로 함께해 주신 레인보우북스 민선홍 대표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연구와 집필 과정에서 힘을 보태 준 인하대학교의 송재경, 이보연, 이지연,
방준혁, 최유정, 이정무 선생님과, 국립경국대학교 백승민, 양원준 선생님, 박강주 학생에게도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 과정이 앞으로의 연구 여정에 큰 힘이 되리라 믿습니다.
2025년 9월
저자 일동
목차
1부 소개편
01장 운동심리학의 소개
01 운동심리학의 정의 5
02 운동심리학의 발전 8
03 운동의 효과 11
04 운동실천율 14
05 학술단체 및 학술지 17
06 운동 가이드라인 20
07 주요 개념 27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29
02장 신체활동의 측정
01 주요 개념 41
02 신체활동 강도 분류 42
03 신체활동 측정방법 44
04 측정방법 활용지침 62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67
2부 이론편
03장 운동실천 이론 I
01 건강신념 모형 81
02 자극-반응 이론 88
03 합리적행동 이론과 계획행동 이론 92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98
04장 운동실천 이론 II
01 자기효능감 이론 109
02 자기결정성 이론 118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130
05장 통합이론
01 변화단계 이론 143
02 사회생태학 이론 153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165
3부 중재편
06장 운동실천 요인
01 개인요인 179
02 환경요인 183
03 심리적 요인 193
04 운동특성 요인 195
05 운동 방해요인 196
06 시사점 199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평가문항 / 모범답안 200
07장 운동실천 중재전략
01 중재전략 설계 단계 211
02 이론에 근거한 중재전략 219
03 행동수정 전략 222
04 인지전략 226
05 내적동기 전략 229
06 시사점 232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233
4부 효과편
08장 운동과 성격, 인지기능
01 성격의 이해 245
02 성격요인과 운동 249
03 성격특성과 운동 253
04 운동과 인지기능 261
05 메커니즘 266
06 요약 268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270
09장 운동과 자기존중감
01 개념 구분 285
02 이론의 발전 287
03 측정도구 289
04 운동과 자기존중감 295
05 메커니즘 300
06 요약 303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304
10장 운동과 스트레스
01 스트레스의 이해 319
02 스트레스와 심리 및 생리적 반응의 관계 322
03 스트레스 측정과 평가 327
04 운동과 스트레스의 메커니즘 331
05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운동실천 335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338
11장 운동과 불안
01 불안의 이해 351
02 불안의 증상, 측정, 그리고 치료 356
03 운동과 불안 362
04 불안 개선을 위한 운동 메커니즘 367
05 불안 민감성 369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372
12장 운동과 우울
01 우울증의 이해 385
02 우울증의 원인 390
03 우울증의 측정과 평가 393
04 우울증 개선을 위한 운동 메커니즘 396
05 우울증에 대한 처치 398
06 운동과 우울증의 관계 399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406
13장 운동과 정서
01 개념 구분 419
02 정서의 측정 423
03 운동과 정서의 관계 427
04 운동과 정서변화 메커니즘 433
05 운동중독 438
▪ 참고문헌 / 복습문항 / 실습과제 / 평가문항 / 모범답안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