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62184174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17-09-01
책 소개
목차
1부 상담과 심리치료의 기초 1
1장 목적이 있는 면접, 상담, 심리치료를 향하여 3
도입: 내담자에게 하는 ‘올바른’ 반응이란 무엇인가? 4
면접, 상담, 심리치료 5
과학과 예술로서의 상담과 심리치료 7
유연한 상담자와 내담자: 의도성과 문화적 의도성 8
의도성, 회복탄력성, 자아실현 9
도움 과정의 핵심 기술: 상담대화기술 위계 10
잘 구성된 상담과 심리치료 회기에서 내담자 이야기 끌어내기 14
공감적 관계-이야기와 강점-목표-이야기 재구성-행동 15
다문화적 세상 17
RESPECTFUL 상담과 심리치료 18
뇌과학: 미래 상담과 심리치료를 위한 최신 과학의 의미 20
자신만의 고유한 도움 스타일: 오디오 녹음 및 비디오 녹화 활동의 중요성 23
요약: 내담자와 성공적으로 관계 맺는 기술과 전략 숙달하기 25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27
2장 윤리, 다문화적 역량, 긍정심리학과 건강증진적 접근 29
상담과 심리치료의 윤리적 근거 30
도움 과정의 윤리 31
다양성과 다문화주의 38
다문화적 역량 42
긍정심리학을 강점과 건강증진적 접근으로 실행하기 46
긍정심리학: 강점을 찾아서 47
낙관주의, 회복탄력성, 뇌 48
뇌, 스트레스, 건강증진적 접근 50
내담자의 건강함 평가하기 53
요약: 강점, 정신건강, 윤리, 다문화적 수행 통합하기 60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64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비판적 자기 성찰과 일지 평가에 대한 제안 67
3장 주의 기울이기와 공감 68
주의 기울이기: 경청의 기본 69
주의 기울이기: 경청 기술 70
주의 기울이기 실행: 경청과 스타일에 있어서
개인적·문화적 차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구하기 72
시각화/눈 맞춤 72
음성의 질: 톤과 속도 74
음성 언어의 단서 쫓아가기: 내담자를 따라가거나 화제 바꾸기 75
몸짓언어: 주의를 기울이고 진정성 담기 78
공감 79
상담 예시: 승진하지 못했어요. 차별이 아닐까요? 83
치료로서의 훈련: 사회적 기술, 심리교육, 주의 기울이기 87
어려운 상황에서 주의 기울이기 88
요약 : 사무라이 효과, 뇌과학, 숙련을 위한 연습의 중요성 90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93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주의 기울이기와
공감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과 일지 평가에 대한 제안 100
4장 관찰 기술 101
당신은 좋은 관찰자인가? 102
지속적으로 상담 회기 지켜보기 103
내담자의 주의 기울이기 방식 관찰하기 104
상담 예시: 학습의 어려움인가, 아니면 인종차별의 문제인가? 106
개념을 행동으로: 조직하는 세 가지 원칙 110
요약: 관찰 기술 120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121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관찰 기술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128
2부 기본 경청 기술: 회기 구성 방법 129
5장 질문: 의사소통 시작하기 131
도입: 질문에 대한 정의와 질문 132
공감과 구체성 135
상담 예시: 직장에서의 갈등 135
개념을 행동으로: 적절한 질문 만들기 139
강점을 확인하기 위한 질문 사용하기 143
말수가 적은 내담자에게 개방형 질문 및 폐쇄형 질문 사용하기 145
요약: 질문에 대해 결정하기 146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148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질문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153
벤저민에 대한 논의 154
6장 격려, 재진술, 요약: 적극적 경청의 핵심 기술 156
도입: 적극적 경청 158
공감,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적극적 경청 기술 159
상담 예시: 제 신발을 보고 놀려요 161
아동 상담하기 164
개념을 행동으로: 적극적 경청 기술로서의 격려, 재진술, 요약 165
다양성과 경청 기술 169
요약: 연습하고, 연습하고, 또 연습하라 170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172
스타일과 이론을 정하기: 적극적 경청 기술에 대한 비판적인 자기 성찰 178
제니퍼에 대한 논의 178
7장 감정 반영: 내담자 경험의 근간 180
도입: 감정 반영 181
재진술과 감정 반영 182
감정 반영 기법 183
공감과 온정 185
상담 예시: 엄마가 암에 걸렸는데 형제들은 돕지 않아요 185
정서적 경험을 지각하고 잘 다루기 189
정서 언어 190
내담자가 감정 표현을 더 혹은 덜 하도록 돕기 192
감정 반영에서 긍정적 정서의 위치 194
긍정적 반영 전략 196
요약: 감정 반영은 중요한 기술이지만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197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199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감정 반영에 대t한 비판적 자기 성찰 205
감정 단어 목록 206
8장 경청 기술만 사용한 5단계 상담 회기 208
인생의 여러 영역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기초로서의 기본 경청 기술 209
개념을 행동으로: 5단계 회기 모델을 여러 상담 이론에 적용 211
의사결정을 위한 5단계 상담 회기의 예: 사장님과 잘 지내기가 너무 어려워요 220
회기 내 기록하기 227
요약: 기본 경청 기술을 활용한 잘 구성된 회기 228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230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경청 기술을 통합하는 차원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235
3부 초점 맞추기와 공감적 직면: 뇌과학, 기억, 변화 촉진 기술 237
상담 회기에서 기억의 변화가 어떻게 실현되는가? 238
9장 상담 회기에 초점 맞추기: 다양한 시각에서 이야기 탐색하기 241
도입: 초점 맞추기 243
지역사회 가계도 246
가계도 250
지역사회 가계도 분석 251
초점 맞추기를 사용해서 자신의 신념과 접근 검토 256
어려운 문제에 초점 맞추기 적용 257
문화적·환경적 맥락, 권리 옹호, 사회정의 260
요약: 관계 속의 존재, 지역사회 속의 개인이 되기 262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264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초점 맞추기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269
10장 공감적 직면과 창조적 새로움:
내담자의 갈등을 확인하고 도전하기 270
공감적 직면 정의하기 271
직면에서의 다문화적·개인적 주제 272
공감과 비판단적 직면 273
공감적 직면의 기술: 통합적 3단계 과정 274
내담자 변화 척도 280
문화 정체성 발달과 직면 과정 288
문화 정체성 발달 그리고 넬리다와 앨런의 상담 회기 290
여러 회기에 걸친 변화를 측정하는 체계로서의 내담자 변화 척도 292
갈등 해결과 중재: ‘새로움’을 창조하기 위한 심리교육적 전략 293
요약: ‘새로움’을 창조하기 위한 지지적 도전 294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296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직면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304
4부 창조적 변화를 위한 대인관계 변화 촉진 기술 305
11장 의미 반영과 해석·재구조화: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다시 쓰도록 돕기 307
도입: 의미 반영과 해석·재구조화 기술 정의하기 308
의미 반영 310
의미 반영과 해석·재구조화 비교하기 311
상담 예시: 트래비스가 최근에 이혼한 것에 대한 의미 탐색 314
개념을 행동으로: 의미를 찾아내고 성찰하는 구체적인 기술 317
Frankl의 의미치료: 극도의 스트레스에서 의미 만들기 322
해석·재구조화의 기술 325
해석·재구조화와 그 외 상담대화기술 327
상담 이론과 해석·재구조화 328
해석·재구조화에서 유의할 점 331
요약: 내담자가 핵심 의미를 발견하고 새로운 관점을 개발하도록 돕기 331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334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의미 반영과 해석·재구조화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342
찰리스에 대한 우리의 생각 343
12장 자기 개방과 피드백: 상담에서 즉시성과 진솔성 345
자기 개방의 정의 346
공감적 자기 개방 348
피드백의 정의 351
상담 회기 예시: 직장에서 어려운 상황을 어떻게 다루는가? 354
피드백과 뇌과학 356
요약: 자기 개방과 피드백의 보상 및 위험성 357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359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자기 개방과 피드백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362
13장 내담자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 전략: 필연적 결과, 지도·심리교육, 스트레스 관리,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 363
필연적 결과 정의하기 364
지도와 심리교육 전략 정의하기 367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원 370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 372
개념을 행동으로: 심리교육적 스트레스 관리 전략 375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변화 380
요약: 내담자 변화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 전략 이용하기 392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394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변화 촉진 기술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399
5부 기술 통합, 이론을 실제로, 그리고 개인적 스타일 정하기 401
14장 기술 통합,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 치료 계획, 재발 예방 403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 실제적 이론의 개관 404
실용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의 역사: 특성요인 이론 405
현대 상담에서의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의 위치 406
의사결정을 위한 상담과 감정 이해 407
사례개념화와 작업 가설의 중요성 410
첫 연습 회기 계획하기와 체크리스트 사용하기 410
상담 회기 전체 축어록: 새로운 진로를 찾고 싶어요 412
축어록 분석 436
상담 기술 그리고 상담 기술이 내담자에게 미치는 영향 436
추가적 고려 사항: 의뢰, 치료 계획, 사례 관리 439
변화 유지하기: 재발 예방 444
요약: 내담자가 있는 그 자리에서 내담자 만나기 446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447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자신의 상담 실제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449
15장 상담대화기술과 5단계 모델을 여러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에 적용하기 450
1부분: 상담대화기술, 5단계, 상담 이론 451
2부분: 앞에서 논의된 이론의 요약 453
3부분: 위기 상담과 인지행동치료 460
위기 상담 첫 회기 축어록 465
인지행동치료 회기 축어록 471
세 가지 추가적 이론 480
요약: 상담 실제와 통합적 개인 이론 개발 481
실습과 역량 포트폴리오 482
스타일과 이론 정하기: 이론적 배경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 484
16장 개인적 스타일 정하기와 미래 이론과 실제의 통합 485
도입: 내담자와 관계를 맺는 자신만의 스타일 확인하기 486
상담대화기술 위계: 자신의 역량 평가하기 487
스타일 정하기와 미래 이론과 실제 통합 490
요약: 마무리 하면서……감사, 작별 인사, 그리고 미래 성장과 전문가 여정의 성공 491
상담대화기술과 다문화적 주제에 대한 후속 조치를 위한 보충 문헌 제안 492
참고문헌*
찾아보기 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