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 석유화학공업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 석유화학공업

박영구 (지은이)
해남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0,000원 -0% 0원
1,500원
4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4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 석유화학공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 석유화학공업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62381740
· 쪽수 : 940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를 연구대상으로 하되 주 연구대상 기간을 1970년대로 하고 구체적 대상은 이미 발표한 5개 주 업종 연구에 이어 마지막 연구과제로 남아 있는 석유화학공업을 내용으로 한 것이다.

목차

제1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생산·투자계획, 1945~1972

제1장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모색
Ⅰ. 석유화학공업의 성격과 선택
Ⅱ.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시작
Ⅲ. 한국 석유화학공업정책의 형성과 배경
Ⅳ. 석유화학공업 육성 방향의 모색
부록: 석유화학공업개발계획(1966)
제2장 석유화학공업정책의 시작
Ⅰ. 석유화학공업정책의 시작
Ⅱ. 공장건설 실수요자 선정과 건설계획 및 정부기구
Ⅲ. 차관과 합작투자
Ⅳ. 석유화학공장 건설
부록: 1. 제2정유공장
2. 석유화학공업추진위원회 규정(대통령령 제3402호)
제3장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석유화학공업의 정책과 계획
Ⅰ. 석유화학공업 지원제도의 정비
Ⅱ. 빠른 추격을 위한 정책 도입과 국산화의 시작
Ⅲ. 대내외 충돌과 조정
Ⅳ. 장기계획과 장기정책의 준비


제2부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석유화학공업의 수급계획과 정책

제4장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 수급계획 및 정책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계획
Ⅱ. 석유화학공업 육성정책과 방안
Ⅲ. 구체화되는 육성계획
Ⅳ. 정책논쟁과 수정계획
부록: 에틸렌 기준 30만 톤 설비의 의의와 일본의 석유화학공업
제5장 진전하는 석유화학공업의 수급계획과 정책
Ⅰ. 석유파동과 석유화학공업정책의 변화
Ⅱ. 협력추구와 내재적 자립의 모순과 해결
Ⅲ. 1970년대 중반의 변화, 위기와 계획
Ⅳ. 정책시차와 공급능력의 정체
제6장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1970년대 말기의 수급계획과 정책
Ⅰ.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과 석유화학공업정책
Ⅱ. 석유화학공업 계획과 정책의 전환
Ⅲ. 개방, 호황과 생산·투자계획의 확대
Ⅳ. 1970년대 말 석유화학공업 계획과 정책의 재수정
부록: 「호남에틸렌」 및 「여수석유화학」 민영화
제7장 1980년대 이후의 석유화학공업 중점 계획과 정책
Ⅰ. 전환기 1980년대의 기본계획과 정책
Ⅱ. 단절과 연속의 정책
Ⅲ. 경기회복과 경쟁력 강화
Ⅳ. 1980년대 후반 이후의 산업체계 정비
부록: 1. 1980년대 위기 극복을 위한 일본 석유화학공업의 대응과 정책
2. 공업발전법(1986)·산업발전법(1999)

제3부 석유화학공업의 주요 정책들

제8장 외국인투자, 차관
Ⅰ. 초기 외자의 내용과 성격
Ⅱ. 외자 내용과 정책의 전환
Ⅲ.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외국인투자·차관
Ⅳ. 차관과 외국인투자의 전개 양상과 대응
Ⅴ. 차관과 외국인투자의 구조 변화
제9장 인력
Ⅰ. 초기 인력정책 내용과 성격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인력정책의 구조 정형화
Ⅲ. 인력정책의 발전과 질적 전환
Ⅳ. 성과와 인력정책의 약화
부록: 1970년대 인력개발투자액과 직업훈련원 직업훈련 실적
제10장 수입대체와 수출
Ⅰ. 수입대체와 수출정책의 성격과 초기 정책/ 435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수출정책/ 438
Ⅲ. 경쟁력과 구조 변화/ 447
Ⅳ. 1980년대 이후 수입대체와 수출정책의 전환/ 453

제4부 석유화학공업의 전략: 공업기지와 기술

제11장 여천공업기지 계획과 정책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총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Ⅲ. 투자·생산·수출·고용 계획 및 정책과 분양·입주정책
Ⅳ. 대내외 환경 변화와 계획, 정책의 변경과 조정
제12장 여천공업기지 조성과 입주, 가동
Ⅰ. 매수·보상과 주민이주, 배후도시 건설
Ⅱ. 공업지역 건설
Ⅲ. 지원시설 건설
Ⅳ. 기업과 공장: 분양, 입주, 가동, 효과
부록: 여천 제2석유화학단지 초기 주요 공장 추진과정
제13장 울산석유화학단지 계획과 정책, 발전
Ⅰ.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전 울산석유화학단지 형성과 출발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 이후 계획, 정책 및 조직과 기구
Ⅲ. 1970년대까지의 울산석유화학단지 건설과 분양, 가동
Ⅳ. 1980년대 이후 울산석유화학단지 건설과 분양, 가동
제14장 석유화학공업과 기술
Ⅰ. 기술도입
Ⅱ. 기술도입제도의 체계화
Ⅲ. 연구개발과 연구소
Ⅳ. 도전과 대응
부록: 1980년대, 1990년대 기업의 기술도입과 연구개발

제5부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특징

제15장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기업, 기업가단체
Ⅰ. 초기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Ⅱ. 1970년대 후반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Ⅲ. 1980년대 이후 석유화학공업의 발전
Ⅳ. 기업과 기업가단체
부록: 1. 한국 주요 석유화학공업 기업
2. 부표: 1970~1980년대 세계 에틸렌 생산시설능력
제16장 석유화학공업과 한국경제
Ⅰ. 총괄과 수급
Ⅱ. 투자
Ⅲ. 수출과 수입
Ⅳ. 한국중화학공업화정책 시기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특징과 역사적 문제

제6부 석유화학공업의 총괄과 자료

제17장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전개, 1945~2000
Ⅰ.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태동, 1945~1972
1. 1945~1960
2. 1961~1969
3. 1970~1972
Ⅱ. 중화학공업화정책선언과 석유화학공업 발전, 1973~1975
1. 1973
2. 1974
3. 1975
Ⅲ. 구조 변화와 발전비용의 대두, 1976~1978
1. 1976
2. 1977
3. 1978
Ⅳ. 한국 석유화학공업의 재편과 성격, 1979~1985
1. 논쟁, 1979
2. 중화학공업화 비판, 축소와 중단, 1980~1982
3. 중화학공업 조정 이후의 전개, 1983~1985
Ⅴ. 위기와 기회, 1986~2000
1. 3저 호황과 또 하나의 시작, 1986~1990
2. 반복되는 위기와 기회, 1991~2000
제18장 석유화학공업 자료
Ⅰ. 한국어 자료
Ⅱ. 외국어 자료

저자소개

박영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경제사학회 이사 및 부회장, 한국국민경제학회(한국경제통상학회) 편집위원장, 한국경제발전학회 회장단, 한국지역사회학회 이사, 한국경제연구학회 이사 • 한국경제학회 『경제학연구』, Korean Economic Review, 한국경상학회, 한국응용경제학회 등 편집위원 • 한국은행, 국가기록원, 통계청 통계개발원, 한국연구재단, 부산상공회의소, CBS 등 자문교수 및 전문위원 • Who’s Who in the World, Who’s Who in the 21th Century, Asian/American Who’s Who 등 세계 3대 인명사전 등재 • 부산외국어대학교, 게이오(慶應)대학교, 동경경제대학교, Emory University, University of Hull 교수 및 객원교수 • BUFS 우수수업사례 최우수상, 대학연구상, 문화체육관광부 사회과학분야 최우수학술도서 선정, 우수연구 교육부장관상, 대통령 근정포장 수상 주요 논저 “Depression and Capital Formation: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1873-96,” The Journal of European Economic History, Vol. 12, No. 2, 1997. “Market Division and Industrial Structure: Strategies for the Competitive Edge of the German Steel Industr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 15, No. 2, 1999. 『시장의 지배자들: 열강들의 성장과 퇴보, 세계경제 200년사』(정창영, 이종욱 공저), 매일경제신문사, 2001. 『현대부산의 제조업, 1945-2000: 통계와 발전』, 부산발전연구원, 2005. 『농촌지역 노동시장과 고용기회』(이승렬, 최규성 공저), 한국노동연구원, 2007.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과정과 내용』(Ⅰ-Ⅲ권), 해남, 2012(문화체육관광부 사회과학분야 최우수학술도서).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기계공업』, 해남, 2015(우수연구 교육부장관상). 『주요 정책기록 해설집, 산업편』(김남일 공저), 국가기록원, 2015.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전자공업』, 해남, 2021(우수연구 교육부장관상).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공업별 연구: 석유화학공업』, 해남, 2023(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