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환경학
· ISBN : 9788962490480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11-03-09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면서
추천사(우리 모두의 환경문제 지침서)
1장 지구의 탄생과 자연환경은 어떻게 변천해 왔는가
1절 지구의 탄생 및 광합성 식물에 의한 대기의 변천
2절 지구대기의 진화와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천
3절 물질순환 평형, 에너지 평형 및 생태계 평형
4절 인간권과 생물권과 자연
2장 지구대기환경은 복사에너지에 의해 어떻게 좌우되는가
1절 지구의 대기구조
2절 태양복사와 지구복사
3절 지구-대기의 복사에너지 수지
4절 대기와 해양의 순환
5절 대기의 온실효과
3장 지구사로 본 온난화현상은 어떤가
1절 자연환경변천을 보는 세 가지 역사 스케일
2절 고기후에서 본 지구의 온난기
3절 빙상코어의 해석으로 100만년 전의 기후를 안다
4장 오늘날의 온난화는 어디까지 왔는가
1절 지구 온난화의 메커니즘
2절 숫자로 보는 지구 온난화
3절 이산화탄소 농도의 경년 변화
4절 각종 온실기체의 농도와 복사강제력의 경년 변화
5절 미래의 기온(기후) 변화 예측과 온실기체 농도 변화의 예측
5장 화석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의 배출은 어느 정도인가
1절 인류문명의 발달과 에너지 소비
2절 화석연료의 소비와 세계에너지 소비추이
3절 인간활동과 이산화탄소의 방출량
4절 인간활동과 기타 온실기체의 방출
6장 기후변동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1절 기후와 기후 시스템
2절 기후변화의 원인
3절 복사강제력과 그에 대한 기후 응답
4절 온실기체 규제에 대한 국제적 대응조치
7장 온난화/기후변화가 끼치는 영향들은 무엇인가
1절 육상 생태계에의 영향
2절 농작물 수확에의 영향
3절 인간사회(건강, 질병)에의 영향
4절 수자원?수환경에의 영향
5절 인간주거와 에너지, 산업에의 영향
8장 21세기의 지구환경보전을 위하여
1절 에너지자원 소비와 기후온난화
2절 삼림자원과 그 파괴현상
3절 지속가능 발전사회를 위하여
4절 생활방식과 사회시스템의 혁신
5절 기후온난화의 대책과 전망
참고문헌
? 국문문헌 / ? 영문문헌(단행본) / ? 영문문헌(Journals) / ? 일문문헌
? 색인
? 부록 A / ? 부록 B / ? 부록 C
표 리스트
1. 행성대기의 조성
2. 탄소의 존재량 분포(CO2로 환산)
3. 인체, 바닷물, 대륙지각의 구성 원소
4. 지구 표면의 복사 성질
5. 지구상의 물의 분포
6. 인간활동의 영향을 받는 온실기체의 예
7. 자연 환경을 보는 세 가지 역사 스케일
8. CO2 이외의 온실기체 및 할로카본류와 그 대체물질의 농도추이와 특성
9. 화석연료의 이산화탄소배출특성과 자원량의 비교
10.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전체 수지
11. 대기 중 메탄의 전체 수지
12. 배출원에 따른 대기중아산화질소의 전체 수지
13. 1961~1995년간의 평균 복사강제력의 변동값
14. 교토의정서의 개요
15. 21세기의 SRES 시나리오에 의한 주요 인자 변화 추정
16. 극심한 기후사건의 예측변동에 의해 나타나는 영향
17. 기후변화의 보건영향에 알려진 효과와 불확실성의 요약
18. 지구상의 물순환
19.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의 방출량 추정(1992년)
20. 생태계의 탄소량과 순생산의 비교
21. 세계 각지역, 국가별 자연림 잔존면적, 80년대 후반
22. 이산화탄소의 인위적 및 자연적 방출원
그림 리스트
1. 지구 탄생 이래의 대기의 변천
2. 5억7천만년간 대기 중 CO2 농도 변화와 평균기온의 개략적 추이
3. 지구시스템 변화 과정에서의 인간권 변천
4. 대기권의 온도 연직분포와 대기구조
5. 대류권 내의 대기층 연직구조모델
6. 태양복사파의 종류와 파장 범위
7. 태양복사와 지구복사의 복사 세기 분포
8. 인공위성 님버스4호에서 관측한 지표복사의 스펙트럼
9. 태양복사와 지구복사에 의한 복사에너지 수지
10. 위도에 따른 복사에너지 분포
11. 대기순환 특징을 나타내는 세 가지 세포 모델
12. 대양의 열염분순환 수송벨트 시스템
13. 온실기체의 온난화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
14. a)100만년 전 이래의 지구평균기온의 변동 추이
b)16만년 전 이래의 지구평균기온의 변동 추이
c)최종빙하기 이래의 지구평균기온의 변동 추이
d)최근 1천년간의 지구평균기온의 변동 추이
15.중생대 이래의 지구평균기온의 변동 추이
16.태양복사에너지의 경과시간에 따른 세 가지 주기운동에 의한 가상적 기록
17. 온실효과 기체에 의한 지구온난화 메커니즘의 개략도
18-1.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외부인자들의 복사강제력 효과
18-2.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농도의 변화 등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외부 요인들의 변화로 인한 복사강제력(RF) 효과
19. 온실기체의 1000년간 농도변화추이와 그 복사강제력
20. 그린랜드의 얼음에 침적된 황산염 에어로졸의 농도
21. a)최근 140년간의 지구평균기온의 변동 추이 1961~1990년간의 평균값 기준에
대한 편차를 나타냄
b)지구 표면의 평균온도 변동 추이
22. 지구 년평균온도의 기후모델에 의한 변동모사값과 관측값과의 비교
23. 보스톡 얼음봉으로부터의 분석추정치와 마우나로아 관측소에서 측정된 북반구
의 이산화탄소농도의 경년 변화
24.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연간증가율
25. 과거 42만년간의 대기 중 CO2 농도와 기온의 변화
26. 하와이 마우나로아에서 관측된 이산화탄소 농도의 경년 변화
27. a)대기 중 메탄 농도의 경년 변화(1000년간)와 그 복사강제력
b)메탄의 월별변화가 포함된 농도와 평균농도(매끈한 곡선)의 경년 변화
28. 대기 중 메탄 농도의 연간증가율
29. 대기 중 아산화질소 농도의 경년 변화
30. 대류권에서 CFC-11 평균농도의 경년 변화
31. CFC 대체물농도의 경년 변화
32. 6불화황농도의 경년 변화
33. 여섯 가지 SRES 방출 시나리오에 의한 CO2, CH4, N2O와 SO2의 인위적 방출량 예측치
34. 여섯 가지 SRES 방출 시나리오에 의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예측치
35. 여섯 가지 SRES 방출 시나리오에 의한 대기 중 메탄 농도 예측치
36. 여섯 가지 SRES 방출 시나리오에 의한 대기 중 아산화질소 농도 예측치
37. 여섯 가지 SRES 방출 시나리오에 의한 대류권오존 농도의 예측치
38. 여섯 가지 SRES 방출 시나리오에 의한 지구 평균지표온도 예측치
39. 인류가 사용해 온 에너지원별 비율
40. 세계 1차에너지 소비량 추이
41. 세계 총에너지 소비량 추이
42. 연료원별 세계 에너지소비량 추이
43. 2000년과 2050년(추정치)의 세계 1차 에너지 소비량 비교
44. 세계지역별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추이
45. 연료원별 세계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추이
46. 국가 순위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47. 세계 1인당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치
48. 국가별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
49. 지구 기후 시스템을 이루는 권역 간의 상호작용 개념도
50. 1991~1994 기간 중 세계 평균기온의 변화
51. 산업화 이전시대에서 지금까지의 지구 평균 복사강제력의 경년 변화
52. 온실기체 각각에 의한 복사강제력 변화율의 경년 변화
53. 잎면구조의 단면적과 기공과 세포
54. CO2 농도에 따른 작물의 광합성 속도와 증산속도의 변화
55. 인간활동에 따른 대기 변화와 기후온난화가 생물권과 식량생산에 미치는 영향
56. 해양-대기-육지에서의 물의 순환
57. 온도에 따른 공기의 포화수증기량의 변화
58. 21세기말의 해수위상승 예측
59. 인류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지속가능성 개념
60. 인간사회시스템에 적용한 인류시스템 모델
61. 대량소비 대량폐기시스템과 자원 재이용 시스템
칼럼리스트
1. 광합성은 생물생존의 원천
2. 유해 자외선의 증가와 피부암 공포
3. 공룡 대멸종과 기후 대이변
4. 최근 16만년의 기온 추정 : 타임캡슐인 얼음봉을 이용
5. 산호의 감소와 해수온 상승
6. 기초대사량과 100W전구의 열량비교
7. 녹는 빙하들이 고대 유물들을 노출시키고 있다
8. 상이한 기후환경에 따른 세 가지 식물광합성 경로
9. 식물과 초식곤층의 성장을 교란시키는 지구온난화
10. 열대야와 이상고온
11. 전염병의 세계화
12. 적조현상
13. 피지군도의 생태계 변화
14. 멕시코시티에서 가스 매연 속의 시민 일상생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