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조직학
· ISBN : 9791159435188
· 쪽수 : 868쪽
· 출판일 : 2025-09-01
책 소개
우리나라에서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은 물리치료뿐만 아니라 체육 및 스포츠 관련 재활 분야에서 독보적인 교재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인체 각 영역의 구조, 기능, 병리적 기전, 임상사례 등 인체의 움직임과 관계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책에서 제공하는 이러한 정보는 단순히 이해하는 수준으로만 대해서는 안 된다. 이 책에서 주는 정보를 통해 자신의 활동 영역에서 만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열린 가능성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한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도수치료를 공부하는 사람들이라면 각 관절에서 제공하는 근육, 인대, 관절주머니 등이 어떤 운동을 정상적으로 제한하는지 이해하고, 이러한 구조의 제한이나 느슨함이 환자의 어떤 움직임에 문제를 초래하며, 이를 위해 관절가동기법을 어떤 구조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 적용할지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느슨한 구조에 대해서는 근력강화의 개념을 넘어 피드포워드와 같은 신경근육의 관점에서 어떤 접근을 해야 하는지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1판부터 4판까지 번역한 역자로서 느낀 점은 7년 주기로 개정판이 나올 때마다 그 시대의 연구 업적을 계속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4판에서는 대표적으로 근막에 대한 개념, 사이토카인의 역할, 후성유전학의 소개, 새로운 저항훈련의 방법인 혈류제한훈련, 각 관절별 질환의 기전 및 치료접근법의 최신 경향 등 많은 부분에서 업데이트가 제공되었다. 이 중 흥미로운 것은 운동이 후성유전학을 통해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좀 더 정밀한 운동처방을 통해 개인별 표적화된 중재로 최적의 반응을 제공할 수 있는 정밀물리치료라는 새로운 개념의 제시였다.
이번 4판에서는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집 제6판을 기준으로 번역을 하였다. 이번 의학용어 개정은 한글과 한자어의 혼용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이 있다. 따라서 이전 판에 비해 수정된 의학용어가 있으며, 예전에 비해 순수 한글만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의학용어집에 나오더라도 물리치료용어나 운동용어는 의미가 맞지 않다면 최대한 합리적 의미를 부여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2판부터 이어져 왔고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inversion/eversion이란 용어는 의학용어집 5판까지는 안쪽번짐/가쪽번짐이라 제시하였지만 이 책에서는 2판부터 지금까지 줄곧 안쪽들림/가쪽들림으로 번역했고 의학용어집 6집에서도 이 용어로 개정되었다. 이런 용어들에 대해 의견을 주시면 언제든지 열린 마음으로 수용할 생각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번역을 위해 고마운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1판을 번역할 때 III부의 번역을 맡아 주셨고, 이를 토대로 4판까지 번역할 때마다 늘 마음속으로 고맙게 생각하는 경성대학교 구현모 교수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그리고 이번 4판의 번역을 위해 내 마음속 안식처를 제공해준 아내 김미정님, 두 아들 상욱과 승민, 그리고 반려견 토르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끝으로 이 책의 출간을 위해 노력해 준 (주)범문에듀케이션의 유성권 사장님과 임직원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5년 7월
빛고을 신창동에서
이학박사 채윤원
목차
저자에 관하여 iii
역자 서문 vi
저자 서문 vii
Section I 운동학의 중요 주제 1
Chapter 1 소개 o 3
Chapter 2 관절학: 인체 관절의 기본 구조와 기능의 연구 o 31
Chapter 3 근육: 뼈대계통의 일차적인 안정자와 운동자 o 57
Chapter 4 움직임의 이해를 위한 생체역학적 원리 o 91
부록 I 삼각법 복습과 인체측정학 자료 o 134
Section II 팔 137
Chapter 5 어깨복합체 o 139
Chapter 6 팔꿈치와 아래팔 o 202
Chapter 7 손목 o 248
Chapter 8 손 o 287
부록 II 팔의 근육 부착부위와 신경지배, 근육의 단면적, 그리고 피부분절을 위한 참고 자료 o 347
Section III 몸통뼈대 361
Chapter 9 몸통뼈대: 골학 및 관절학 o 363
Chapter 10 몸통뼈대: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o 441
Chapter 11 씹기와 환기의 운동학 o 492
부록 III 말총 및 몸통뼈대 근육의 부착부위, 신경지배, 그리고 모멘트팔을 위한 참고 자료 o 529
Section IV 다리 537
Chapter 12 엉덩관절 o 539
Chapter 13 무릎 o 608
Chapter 14 발목과 발 o 673
Chapter 15 걷기의 운동학 o 737
Chapter 16 달리기의 운동학 o 797
부록 IV 다리의 근육 부착부위와 신경지배, 근육의 단면적, 그리고 피부분절을 위한 참고 자료 o 824
찾아보기 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