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이비인후과
· ISBN : 9788962783476
· 쪽수 : 195쪽
· 출판일 : 2015-01-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연하장애의 기초 / 1
1. 당신도 연하장애 환자?_3
2. 연하장애는 완치되지 않는다_7
3. 섭식을 가능하게 하는 재활치료_10
4. 연하장애 환자도 안전하게 먹도록 도와줍시다!_12
5. 연하장애 치료팀에 참여해 주세요_14
6. 연하의 해부학 -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_16
7. 연하의 생리학 -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_20
8. 섭식, 연하 단계의 새로운 분류_29
9. 섭식연하에 장애가 있으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_31
10. 흡인만이 연하장애는 아니다_35
11. 사레드는 증상이 없는 흡인일수록 더 위험하다_37
12. 남이 먹여 주는 것과 자기 스스로 먹는 것_39
13. 어떤 병이 연하장애를 일으키는가?_40
14. 고령자는 누구나 위험하다!_43
제2장 연하장애의 진단과 평가 / 45
15.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진찰 요령_47
16.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_51
17. 비디오투시 연하검사에 직접 참여해 보자_54
18. 연하내시경으로 후두를 관찰한다_59
제3장 연하장애의 치료법 / 65
19. 구강 위생을 경시하는 사람은 연하장애 치료진으로서 자격이 없다_67
20. 장기간 코에 튜브를 가지고 있어선 안된다_69
21. 전신 지구력 향상은 연하장애 치료의 기본이다_71
22. 영양상태가 나쁜 환자에게 섣불리 입으로 음식을 먹여서는 안된다_73
23. 음식물 섭취를 하지 않고 시행하는 간접 연하 훈련_75
24. 발성과 연하는 깊은 관계가 있다_82
25. 직접적 연하훈련은 음식물 형태의 선택부터_84
26. 연하장애식(食) 레시피 가르쳐 드릴까요?_87
27. 다진 음식과 갈은 음식, 혼동하지 맙시다_93
28. 증점제와 젤리는 어떻게 다른가?_95
29. 시판되는 제품의 특징을 알아 두자_97
30. 왜 뒤로 기댄 자세가 더 안전한가?_99
31. 턱 당기기와 고개 돌리기의 효과를 알아두자_101
32. 섭식 훈련시 사용하는 다양한 수기(maneuver)_103
33. 기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_106
34. 틀니는 끼는 것이 좋을까?_108
35. 저작(씹는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경우_110
36. 치과의사에게 제작을 의뢰하는 기능 보조 장치란?_112
37. 연하반사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_115
38. 윤상인두근 이완부전을 알아 둡시다_117
39. 위조루술은 어떤 사람에게 시행하는가?_120
40. 위장의 기능에 관해서도 공부하시기 바랍니다_123
41. 간헐적 경관 영양법_126
제4장 질환별 연하장애 치료법 / 129
42. 뇌혈관 장애 급성기의 연하장애_131
43. 뇌혈관질환 회복기의 연하장애 재활_135
44. 구마비와 가성구마비_138
45. 외상성 뇌손상 환자는 입으로 먹을 수 있다_140
46. 치료가 어려운 신경계 질환들_142
47. 젖을 삼키지 못하는 신생아와 유아를 돕는 방법_146
48. 뇌성마비 아동의 섭식_149
49. 중증의 치매 환자, 입으로 먹어도 괜찮을까?_153
50. 흡인성 폐렴의 원인은 식사의 흡인만이 아니다_155
제5장 연하장애의 재활 전략 / 157
51. 급성기부터 개입하는 연하장애 치료팀_159
52. 연하장애 치료에서 각 치료사의 역할_161
53. 간호사는 연하장애 재활치료의 주역이다_165
54. 연하장애 재활치료의 목적은 장애의 완치만은 아니다_169
55. 퇴원 후에도 이어지는 섭식지도_172
56. 연하장애의 중증도 분류_175
57. 재활치료는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_178
58. 최후의 수단, 외과적 치료_181
59. 응급상황의 조치와 안전 관리_183
60. 목숨을 소중하게 여기자_185
※ 맺는 말_187
※ 찾아보기_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