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노인 간호학
· ISBN : 9788962789911
· 쪽수 : 213쪽
· 출판일 : 2015-07-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치매(인지장애)란 어떤 병인가
노화에 의한 건망증과 인지장애에 의한 기억장애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내 환자가 치매(인지장애)인가
치매(인지장애)는 원인질환에 따라서 몇 가지 종류로 나뉘어집니다.
알츠하이머형 인지장애란?
루이소체형 인지장애란?
전두측두엽변성증이란?
혈관성 인지장애와 그 밖의 인지장애
제2장 인지장애에는 어떤 증상이 있는가
인지장애 증상은 인지 기능 증상과 행동 심리 증상으로 나뉘어집니다.
인지장애의 행동 심리 증상과 인지 기능 증상
인지 기능 증상이란 인지 기능 그 자체의 장애를 가리킵니다.
인지 기능 증상(1)기억장애
인지 기능 증상(2)지남력장애
인지 기능 증상(3)실행·수행 장애
인지 기능 증상(4)언어장애(실어증; aphasia)
인지 기능 증상(5)행위·인식의 장애(apraxia·agnosia)
행동 심리 증상은 지각이나 사고, 기분 등에 나타나는 장애입니다.
심리증상(1)망상
심리증상(2)환각
심리증상(3)우울
심리증상(4)불안
심리증상(5)오인(誤認)
행동증상(6)배회(徘徊)
행동증상(7)공격성 (폭언·폭력)
행동증상(8)불온·초조
행동증상(9)무기력증
증상이 비슷해도 섬망과 인지장애는 다른 병리입니다.
섬망과 인지장애의 차이
제3장 인지장애 간호의 기본
인지장애 치료는 환자의 존엄을 지지하는 치료여야 합니다.
인지장애 환자는 어떻게 대해야 하나
인간중심·돌봄의 시각에서 치료란
인지장애 환자의 사정에는 충분한 정보수집이 필요합니다.
인지장애 환자를 이해하기 위한 포인트는
병동에서 할 수 있는 비약물적 접근에는 9가지 포인트가 있습니다.
비약물적 접근(1)의사소통법의 연구
비약물적 접근(2)삼가할 마(魔)의 3 lock
비약물적 접근(3)링거의 자기발거를 방지하는 연구
비약물적 접근(4)낙상(轉倒)을 방지하는 연구
비약물적 접근(5)생활리듬을 관리한다
비약물적 접근(6)불안을 경감시키는 연구
비약물적 접근(7)신체적 측면의 치료
비약물적 접근(8)환자의 능력을 최대한 살린다
비약물적 접근(9)팀으로 치료에 임한다
제4장 왜? 어떻게 한다
인지장애 환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치료하자!
case 1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움직이려는 이유’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case 2 배설간호에는 사전설명과 수치심에 대한 배려를 충분히 합니다.
case 3 링거줄 등은 환자가 신경쓰지 않도록 처리하고, 자기발거를 방지합니다.
case 4 큰소리에는 원인에 따른 비약물적 대응을 우선합니다.
case 5 섬망은 발생의 유무를 확인하고 조기종식과 중증화 예방을 위한 치료를 합니다.
case 6 식사·약의 복용을 무리하게 강요하지 말고 ‘잘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case 7 귀가욕구에 대해서는 환자의 기분에 맞추는 치료를 우선합니다.
case 8 반복하여 묻는 것은 환자가 ‘걱정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case 9 불면치료는 하루주기 리듬(Circadian·Rhythm)의 조정을 중시합니다.
case 10 잦은 요의 등의 호소는 불안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case 11 성적 행동장애는 자존심을 배려한 치료를 명심합니다.
case 12 이식증(異食症)에 대한 대응은 주변의 정리정돈과 불안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대책이 기본입니다.
case 13 환각이나 망상은 부정하지 말고, 환자의 기분에 공감을 나타냅니다.
제5장 인지장애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해서
~인지장애의 진단과 치료~
1 인지장애의 진단방법
2 인지장애의 치료
3 여러 직종과 협조
4 가족에 대한 돌봄
부록
1. 입원 시 인지장애 간이스크리닝
2. 간단한 인지장애 스크리닝 검사
3. 하세가와(長谷川)식 인지장애 스케일(HDS-R)의 해설
4.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해설
5. 간이정신기능검사 (HDS-R, MMSE)
6. 링거발거를 예방하는 방법
7. 신체를 구속하지 않고 낙상을 예방하는 방법
8. 섬망을 예방하는 방법
9. 불면의 평가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