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도시재생

한국의 도시재생

(도시를 살리는 다섯 가지 해법)

한국도시설계학회, 구자훈, 김영석, 김형일, 김호정, 김환용, 오 다니엘, 우신구, 이재민, 임동원, 장항준, 최순섭, 최혜영, 한광야 (지은이)
대가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5,000원 -10% 1750원 29,750원 >

책 이미지

한국의 도시재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도시재생 (도시를 살리는 다섯 가지 해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62853568
· 쪽수 : 582쪽
· 출판일 : 2022-08-29

책 소개

도시설계 분야 13명 전문가들이 2000년대 전후부터 현재까지 도시환경을 개선하며 일상생활의 질적 향상에 기여했다고 평가하는 전국 각지 프로젝트를 발굴하였다. 각 프로젝트 기획 목적, 도시설계적 특성과 사후 평가 등 내용을 고찰하며 그 의미와 가치를 담아냈다.

목차

Chapter1 동네의 변화와 로컬 헤리티지
충주 원도심 청년의 D.I.Y. 실험
경기 연천 백의리마을호텔
부산 아미동 비석문화마을
부산 태극도마을에서 감천문화마을로

Chapter2 공공주도의 재생과 재개발
서울 청계천, 미래도시를 위한 복원과 재생
서울 용산공원, 대형공원의 조성과정과 시민참여
서울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서울 G밸리

Chapter3 공장지의 산업재생과 수변의 변화
울산 태화강, 공해도시의 변신
서울 성수동, 준공업 지역의 부활
인천 코스모 40, 산업자원을 통한 공간재생
서울 마포 문화비축기지, 산업 유휴시설의 재탄생

Chapter4 도시교통체계와 환승거점개발
서울 남산예장공원
서울 경의선숲길, 우연한 도시교통환승체계
대구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경주의 철도기반 교외지 개발과 역사보존의 충돌

Chapter5 일상의 문화공간
인천 아트플랫폼
광주 아시아 문화의 전당
세종시 어반 아트리움
서울 창동·상계 문화산업단지

저자소개

한광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하버드대학에서 도시설계 석사(MAUD), 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 도시계획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보스턴 세실앤리즈비(Cecil and Rizvi) 설계사무소와 필라델피아 WRT(Wallace McHarg Roberts and Todd) 설계사무소를 거치며 도시 중심부 블록 설계부터 지역 환경 계획까지 포괄하는 일련의 프로젝트들을 수행했다. ‘한반도 물리적 국토 플랜’, ‘동국대학교 캠퍼스커뮤니티 플랜’, ‘서강대학교 남양주캠퍼스 구상’ 등을 수립했으며, 2015년에는 ‘서울잠실도시재생국제현상설계’에 입상(컨소시움)했다. 현재 도시설계와 도시계획 두 분야를 아울러 연구와 실무에 매진하고 있다. ‘서울시 해방촌 도시재생’과 ‘신당동 도시재생’의 총괄기획가로 활동하면서 ‘한국 도시의 성장과 쇠퇴’, ‘도시마을의 진화’, ‘대학 기반의 원ㆍ구도심 활성화’, ‘지속 가능한 도시철도와 역세권 활성화’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통령실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와 지방시대위원회 로컬콘텐츠생태계 전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동국대학교 건축공학부 도시설계전공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는 데도 힘을 쏟고 있다. 『미국 인터넷 산업의 지도』, 『Global Universities and Urban Development』, 『도시의 진화체계』, 『도시설계』, 『대학과 도시』, 『Morphological Analysis of Cultural DNA』, 『동남아시아 도시들의 진화』, 『한국의 도시재생』 등의 책을 쓰고 번역했다.
펼치기
구자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 교동초등학교, 청량중학교, 경희고등학교를 졸업. 서울대 건축학과, 서울대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 박사학위 취득. 서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미래개발컨설팅그룹, 서울연구원 등에서 실무를 하다가, 1997년부터 한동대학교, 2003년부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를 지냄.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국무총리실 도시재생특별 위원회, 기획재정부 중장기전략위원회,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특례심의위원회,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도시개발위원회, 문화관광부 관광거점도시위원회, 문화도시위원회 등 위원 역임.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도시건축공동위원회, 도시재생위원회, 물류단지위원회(부위원장), 도시계획 정책자문단, 역세권활성화사업 자문위원회(공동위원장) 등 위원 역임, 용산국제업무지구, 잠실국제교류복합지구, 서울역 미래 비전, 여의도 시범아파트 신속통합 등 많은 프로젝트의 총괄계획가(MP)로 활동.
펼치기
임동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네덜란드 델프트 공대에서 도시계획 석사학위를 받았다. 원도시건축, 삼성물산 등을 거쳐 현재 도화엔지니어링 상무로 재직 중이다. 신도림역 테크노마트 (2002), 중국 서안 Xian스마트시티(2014), 케냐 나이로비 중앙역 마스터플랜(2020) 등을 수행하였다.
펼치기
김영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건국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및 하버드대학교에서 도시설계 및 도시계획을 전공하였다. 뉴욕의 컨설팅회사인 Sam Schwartz PLLC에서 뉴욕 월드트레이드센터의 보행환경, 미국 44대 오바마 대통령 취임식 보행자 계획 등을 책임졌었고 건축 및 도시설계 컨설팅을 주로 하는 다양한 실무를 경험하였다. 2011년부터 건국대학교에 재직하면서 건축학부와 건축전문대학원에서 졸업 설계를 담당하고 있으며, 도시와 건축의 접점에서 이론과 실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교육, 연구 및 실무분야에서 노력하고 있다. 현재 대한건축학회 교육원에서 초/중학생 건축교육을, 한국도시설계학회 국제교류위원회 위원장을 담당하고 있다.
펼치기
김형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 취득 후 미국 일리노이 공대(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건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5년부터 일리노이 공대 건축학부에서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싱가포르 국립대 건축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서양의 건축문화를 체험하고 건축도시를 연구하였다. CTBUH(Council on Tall Building and Urban Habitat) Singapore Chapter 창립멤버였으며 Singapore BIM 혁신연구소 센터장을 역임했다. 2018년 귀국하여 삼육대 건축학과에서 외래교수를 역임하고 있으며, MA 건축사 사무소에서 건축설계 및 건축설계공모 관리 전문인력으로 LH공사, SH공사, 서울시 등 공공기관들과 협력하며 공공주거를 비롯한 문화시설과 도시공간을 대상으로 이론과 실무를 병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호정은 현재 단국대학교 건축학부에 재직 중이며 건축 설계 스튜디오 및 인간행태론, 건축실무 관련 교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한양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치고 정림건축에서 3년간의 실무경험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M.I.T에서 건축학 석사학위(M. Arch)를 마쳤다. 이후 Gwathmey Siegel Architects (New York), Goody, Clancy & Associates (Boston)에서 건축가로 일하면서 종교시설, 교육시설 및 도서관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2004년 귀국 후 강원대학교에 재직하면서 홍천 광덕마을 공동체 팬션, 홍천 허브밸리, 웰니스 타운 계획과 같은 건축 설계 작업을 병행하였고, 2009년 단국대학교로 전직하였다. 건축과 도시를 만드는 중간영역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더불어 친환경 설계방법론, 성능 기반 디지털 디자인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오고 있다.
펼치기
김환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 후 한양대학교 건축학 석사, 미국 텍사스주 소재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 석사, Texas A&M 대학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학위를 마친 후 Texas A&M 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과 전임강사로 2년간 재직하였으며, 2015년 한국으로 귀국하여 인천대학교 도시건축학부를 거쳐 현재 한양대학교 ERICA 건축학부에서 건축학 전공 주임교수를 맡고 있다. 2020년 1월부턴 태국 방콕은행에서 후원하는 Thammasat 대학교 도시설계국제프로그램 리서치 펠로우도 겸직 중에 있다. 지리정보분석, 빅데이터 분석,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등 실증분석에 기반한 도시계획과 도시설계를 연구하고 있으며, GTX-B노선 환승센터 총괄계획단 건축MP, 군포/안산/의왕 3기 신도시 Urban Concept Planner로도 활동 중에 있다. 한국도시설계학회 이사, 한국 BIM학회 이사로 참여하며 한국연구재단,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지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다양한 기관과 함께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 중에 있다.
펼치기
오 다니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버클리대에서 조경설계를 공부하고, 하버드대에서 조경설계 석사(MLA), 도시계획 석사(MUP) 학위 취득 후 Skidmore, Owings and Merrill(SOM) Hong Kong, London, Bahrain, 그리고 AECOM New York에서 도시설계 실무를 수행하면서 중국, 동남아, 유럽, 북미까지 다양한 지역의 도시설계 특히 중심업무지구, 산업단지, 관광단지, 국가전략개발계획까지 다양한 규모의 도시설계 프로젝트를 전담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도시계획과 도시설계 관련 수업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스마트도시학과 주임교수와 고려대학교 도시재생 교육센터장을 겸직하고 있다. 도시재생, 스마트도시, 탄소중립도시 등 다양한 미래도시 패라다임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공공공간의 역할과 스마트화, 포용성과 타분야와의 융합방안에 대해 중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우신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밟았다. 현재 부산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도시건축, 건축과 사회, 설계 과목을 가르치면서 도시건축연구실을 지도하고 있다. 청소년기를 보낸 도시이자, 2003년부터 근무 중인 대학이 위치한 부산에 깊은 애정과 호기심을 가지고 교육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도하고 있는 도시건축연구실을 중심으로 부산 구석구석 다양한 건축과 도시공간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마을만들기, 공공공간, 도시경관 그리고 도시재생과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부산의 광복동과 서면 등의 공공 공간, 서동과 반송동을 비롯한 정책이주지, 원도심의 초량동, 수정동, 영주동 등 산복도로 지역, 사하구 감천문화마을과 서구의 아미동 비석문화마을 등 도시마을에 대한 지역 리서치를 진행하여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논문이나 단행본으로 출판하고 있다. 학문적 연구뿐만 아니라 부산의 쇠퇴한 지역을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해 민·관·학이 함께 추진하는 프로젝트에도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광복로일원 시범가로사업>, <‘행복한 도시어촌 청사포만들기’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 부산 서구 <아미·초장 도시재생사업>을 비롯하여 부산진구, 금정구, 영도구 등의 다양한 공공 프로젝트에서 총괄계획가와 총괄코디네이터로 참여하였고, 현재 영도구 신선동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펼치기
우신구의 다른 책 >
이재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재민 교수는 울산대학교 건축학과에 재직중이며 도시의 형태와 공공공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주요 연구 주제로 도시설계, 도시재생, 생태도시설계, 도시설계 정량분석 등이며 새로운 도시설계 수법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재민 교수는 중앙대학교 건축학사, 미시간대학교 도시설계 석사, 도시계획 석사, 유펜대학교 도시계획학 박사를 취득했고 Skidmore, Owings and Merrill LLP 시카고, 뉴욕사무소에서 도시설계 실무를 수행했다.
펼치기
장항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 건축학과에서 학사. 고려대 건축공학과에서 석사를 수학했다. 특히 인간의 감성과 자연, 기술의 융복합 디자인 분야에 관심을 갖고, 친환경부문의 작품수상과 다양하고 창의적인 작품을 수행하고 있으며. 시아플랜건축에서 디자인총괄로서 디자인 경쟁력을 이끌어왔으며, 현재는 MDA건축사사무소의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주요작품으로는 테스코 아시아 리더십 아카데미(2013 녹색건축대전 최우수상), 창동·상계 문화복합단지 국제공모(2018) 당선작 등이 있다.
펼치기
최순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건축 통합적 도시설계’라는 박사논문 주제를 통해 건축과 도시설계의 지속가능한 연계방식을 연구하였고, 2013년에는 캐나다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UBC)의 방문연구원으로 초빙되어 참여형 커뮤니티 계획방식인 ‘디자인샤렛’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2014년부터 한국교통대학교 건축학부 교수로 근무하고 있으며 충주시 도시재생사업 총괄 코디네이터 및 현장지원센터장(2015-2017)과 경기도 정주환경 개선사업의 총괄 코디네이터(2018-2019)를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로는 ‘사회실험 적용형 도시재생사업 체계’, ‘Heritage Density Transfer를 통한 건축자산 보존 방식’, ‘지역재생을 위한 D.I.Y Spirit 개념과 실행 방식’, ‘도시재생사업에서 유휴 국공유지 활용의 현장적 한계’ 등이 있으며 저서로 ‘도시재생 후진지 되지 않기’가 있다. 현재는 지방중소도시의 스마트 축소를 위한 철도역과 역세권 적정 및 복합화계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최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조경학과를 졸업하고 (미)펜실베니아대학교에서 조경학 석사학위, 다시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 공공미술위원회 위원, 서울시 교육청 공공건축심의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공저서로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 출품작 비평(2013), 공간닥터 프로젝트 vol.1(2020), 도시설계의 이해: 실무편(2020)이 있다. 최혜영은 뉴욕AECOM(전 EDAW), West8 뉴욕 사무실에서 전 세계 다양한 문화권의 유수 프로젝트를 담당했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되고 있는 용산공원 프로젝트의 국제공모전에서 팀의 당선을 이끌었다. 2012년부터 용산공원 기본설계 및 공원조성계획 수립 프로젝트를 포함해 용산공원 관련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해왔다. 설계 과정의 경험을 토대로 용산 공원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거나 수행 중에 있으며 공원 접근성, 공원 아카이브 등으로 연구 주제를 확장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2853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