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인직 소설의 텍스트와 작품 세계

이인직 소설의 텍스트와 작품 세계

강현조 (지은이)
박이정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인직 소설의 텍스트와 작품 세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인직 소설의 텍스트와 작품 세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62926255
· 쪽수 : 237쪽
· 출판일 : 2014-02-28

책 소개

이인직의 소설이 신문 연재 및 단행본 출판의 과정에서 개작 혹은 오기(誤記) 등의 요인으로, 복잡다기한 변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다중적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음을 논증하고 있다.

목차

I. 서 론
1. 왜 텍스트인가? / 13
2. 기존 연구의 검토 / 17
3. 연구 대상 및 방법 / 26

II. 작품 서지 및 텍스트의 계보
1. 초기작 및 [만세보] 연재 작품 / 31
1) <과부의 꿈(寡婦の夢)>.<백로주강상촌(白鷺洲江上村)> / 31
2) <단편(短篇)>.<혈의루(血의淚)>.<귀의성(鬼의聲)> / 40

2. [대한신문] 및 [매일신보] 연재 작품 / 62
1) <강상선(江上船)>.<치악산(雉嶽山)>.<은세계(銀世界)> / 62
2) <빈선랑의 일미인>.<모란봉>.<달 속의 토끼(月中兎)> / 74

III. 대한 제국 시기의 텍스트 분화와 변형
1. 매체의 전환과 텍스트 분화 / 79
1) 신문 연재 텍스트의 혁신성 / 79
2) 단행본 출판과 다중적 텍스트의 형성 / 98


2. 텍스트의 변형 양상 분석 / 131
1) 작품별 오기 사례의 보정(補正) / 131
2) 개작 시도의 양면적 성격 / 158

IV. 한일강제병합 이후의 개작과 작품 세계의 변화
1. 검열 압력과 작가 의식의 길항 / 173
1) 정치적 상상력의 억압과 배제 / 173
2) 심미적 욕망의 제한적 구현 / 191

2. 시대 변화의 수용과 작가적 퇴행 / 196
1) 복고적 서사 문법으로의 회귀와 통속화 / 196
2) 창안자에서 모방자로의 전락 / 200

V. 결 론 / 207

부 록
1. <혈의루> 연재 일지 / 215
2. <귀의성> 연재 일지 / 218

참고문헌 / 227
찾아보기 / 234

저자소개

강현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글로벌인재대학 전임직원. 연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0년 연세대 교육개발지원센터의 글쓰기교실 교육전문연구원으로 임용된 후 동 대학 학부대학 및 글로벌인재대학으로 소속 변경되어 같은 직무를 담당하던 중 2018년 동 대학 전임직원으로 전환되었다. 신소설과 번역·번안소설, 활자본 고소설 등 근대 초기에 등장했던 서사문학 작품과 신문, 잡지 등의 매체를 주로 연구해 왔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이인직 소설의 텍스트와 작품 세계』, 『제국신문 미공개 논설 자료집』(공저), 「김교제 번역·번안소설의 원작 및 대본 연구」, 「한국근대소설 형성 동인으로서의 번역·번안」, 「근대초기신문의 전래 서사 수용 및 변전 양상 연구」, 「근대 초기 매체의 문체 선택 및 분화 양상 연구」, 「이해조 소설의 텍스트 변화 양상 연구」, 「『제국신문』 잡보란 연구」, 「『대한일보』 소재 단형서사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