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63010106
· 쪽수 : 399쪽
· 출판일 : 2009-03-20
책 소개
목차
1부 몸에 좋은 음식, 약이 되는 음식
봄철에 좋은 음료, 식혜|양면성을 지닌 은행|옻, 바로 알고 먹기|뜸 중에 으뜸, 쑥뜸|신비로운 마늘|기운을 소통시키는 귤껍질|뜨거운 음식을 싫어하는 위장|효과 많은 칡뿌리|여름 과일의 꽃, 참외|돼지고기 수육과 새우젓의 조화|굴, 먹기 좋은 계절|한국인의 전통, 보신탕|밥이 보약이다|졸음을 부르는 상추|날달걀에 대한 잘못된 상식|대장 건강 책임지는 야채|반주는 약주가 아니다|술과 멀리해야 할 감|무와 벌꿀|약방의 감초, 해독도 한다|쌀과 누룩의 조화로운 걸작품, 술|수분 가득 호박
2부 올바른 한약 복용법
어린이의 녹용 복용|사람을 닮은 인삼|보약과 녹두의 상관관계|식이요법이 중요한 지방간|건강한 모발을 만드는 하수오|민간약은 한약이 아니다|한약도 부작용이 있다|명현 반응|한약과 양약, 따로 또 같이|한약 복용시 주의점|한약 달이는 시간|보약은 계절을 가리지 않는다 |한약 복용시 피해야 할 음식들|간질환에도 좋은 한약|한약의 유통기한|머리가 좋아지는 한약, 있다? 없다?|신토불이형 구급약, 우황청심원|눈에 좋은 결명자|흙도 약이 된다 |쌍화탕의 진실|노화와 보약|상극관계인 숙지황과 무
3부 한방에서 사용하는 치료법
침의 원리|침에 대한 바른 상식|우리 몸에 있는 경혈(침점)|침을 맞으면 안 되는 경우|침을 맞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침을 맞는 적절한 주기|손을 딴다, 사관을 딴다|침을 맞으면 관절에 해롭다고?|소아의 진맥방법|올바른 한냉요법과 온열요법|요통 치료방법|부항요법이란? |차가워서 얼어붙은 어깨, 오십견|체내 진액이 부족하다는 신호, 통풍
4부 여성과 한방
적정 임신연령 |입덧|임신중독증 |임신 중 한약 복용하면 안되나? |임신 중 침 치료|산후 몸조리와 산후풍|임신 중 체중관리|적절한 산후 조리기간과 산후조리법|출산 후 뱃살 빼기|부종|주부 습진|남성의 빈혈|남성의 골다공증
5부 현대인들의 최대의 적, 비만
다이어트에 대한 모든 것|선천적인 소아비만|비만은 유전|한약을 먹으면 살찐다?|물을 많이 마시면 살찐다?|비만을 부르는 남성의 스트레스|수영과 다이어트|커피와 다이어트|남성 복부비만과 성생활|살이 찌지 않아 고민이라면|정상 체중의 다이어트|생리 중에 살이 더 찐다?|다이어트에는 쌀밥보다 현미밥|비만이란?|비만과 빈혈|담배와 다이어트|벌꿀 다이어트
6부 중풍의 모든 것
중풍의 편마비|중풍의 예방|중풍과 비만|중풍과 계절|어린이 중풍|손발이 저리거나 마비가 오면 중풍?|중풍 후유증|중풍 응급처치|안면 균형의 균열, 구안와사|저혈압의 예방과 치료|치매도 회복될 수 있다|소변이 달면 무조건 당뇨병?
7부 알아두면 좋은 건강상식
트림도 병?|여름철 건강관리|여름철, 일사병과 냉방병|땀을 많이 흘리는 것은 병?|청소년기 여드름 치료|갓난아기가 열이 나거나 놀랄 때|유난히 침을 흘리는 아이|소아 틱(Tic) 장애|수험생의 잦은 설사|천식과 체질|치료해야 할 각질, 비듬|대장건강 적신호, 변비|눈에 좋은 건포도|어긋난 생체리듬, 불면증|잠을 많이 자는 것도 병?|수면시무호흡증후군, 코골이|멍이 잘 드는 체질|감기와 고춧가루|입냄새의 다양한 원인|신경쇠약|식사 때 물을 자주 마시는 것|질병으로 식욕이 없을 때|고혈압 환자에게 사우나?|감기걸렸을 때 목욕법|고령자를 위한 목욕Tip
8부 선생님, 질문있어요!
졸음에 좋은 차가 있나요?|봄철 춘곤증(春困症) 이겨내려면?|온천욕은 누구에게나 좋은가요?|건조한 피부에 좋은 목욕법?|건조한 가을철 유행 질병|얼굴 피부 건강은 어떻게?|차멀미가 심해요|갓난아기의 울음|부주의로 화상을 입게 된다면?|동상을 치료하려면?|끈으로 동여매는 것이 두통에 도움이 되나요?|입 안에 고인 침은 약?|건강의 기본이 하루 세 끼?|여성은 대머리가 없나요?|담배를 피우면 스트레스가 풀린다는데?|말을 많이 하면 기운이 빠지나요? |코끝이 빨간 것은 술 때문?|잠잘 때 올바른 자세는?|잠잘 때의 베개 높이는?|열병에 얼음찜질?|목욕하면 술이 빨리 깨나요?|사우나의 온도는 어느 정도?|간이 나빠지는 원인은?|노화도 병인가요?|운동은 많이 할수록 건강에 좋은가요?|기미의 원인과 예방 및 치료법은?|류머티즘 상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멀미가 날 때는 차의 진행 방향인 세로 방향으로 누워서 가급적 편한 자세를 취하고 눈을 감고 조용히 심호흡을 하면 나아집니다. 누워 있기 어려운 상황일 때는 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노력해야하며 바람이 잘 통하는 창가에 앉는 것이 좋습니다.
p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