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88963602899
· 쪽수 : 536쪽
· 출판일 : 2019-04-26
책 소개
목차
제3판 서문
옮긴이의 글
약어표
1부. 루터의 시대와 세계
1장. 정치적 상황
2장. 정신적, 문화적 상황
3장. 시대 구분에 대한 질문: 중세, 종교개혁, 근대
2부. 루터의 생애에 대한 관점 및 질문의 개관
1장. 서론
2장. 루터의 유년기와 학업
3장. 수도사 루터
4장. 종교개혁으로의 전환
5장. 종교개혁의 발전과 투쟁
3부. 당대의 논쟁에서 루터의 역할
1장. 서론
2장. 면죄부 논쟁과 종교개혁으로의 발전
3장. 신학적 개혁
4장. 정부와 무질서
5장. 루터와 인문주의
6장. 성만찬 논쟁
7장. 루터의 후기 논쟁
8장. 헤센의 필리프 백작의 중혼
9장. 국가교회의 성립과 루터의 역할
10장. 루터의 논쟁 어조
11장. 루터의 사명 의식
4부. 루터의 저작
1장. 서론
2장. 성경 번역
3장. 연구 방법을 위한 제안
4장. 연대순으로 보는 루터의 저작
5부. 루터 신학 연구 입문
1장. 루터 신학 서술 방법론
2장. 초기 루터의 신학적 발전의 주요 국면들
3장. 루터의 종교개혁 신학의 “돌파”
4장. 16세기 논쟁의 신학적, 역사적 분류
6부. 루터 신학의 관점과 문제
1장. 성경의 권위
2장. 이성과 믿음
3장. 교회 전통에 대한 루터의 입장
4장. 교회론, 목사직, 그리고 교회 제도
5장. 교회와 국가: 루터의 두 왕국론
6장. 루터의 역사관
7부. 루터 해석의 역사
1장. 과제, 관점, 문제
2장. 17세기 정통주의의 루터 이미지
3장. 경건주의의 루터 이미지
4장. 계몽주의의 루터 이미지
5장. 독일 고전주의의 루터 이미지
6장. 낭만주의의 루터 이미지
7장. 학문적 루터 연구의 시작
8장. 루터 연구에서 카를 홀의 중요성
9장. 루터 해석의 최근 경향
10장. 로마 가톨릭의 새로운 터 이미지
11장. 루터 연구의 문제와 관점
8부. 전집·선집, 루터 연구 국제 대회 및 전문 학술지
1. 바이마르판
2. 에를랑겐판
3. 발흐판
4. 브라운슈바이크판
5. 클레멘판
6. 뮌헨판
7. 루터 도이취
8. 칼베르판
9. 마르틴 루터 연구판
10. 마르틴 루터 저작 선집
11. 미국판 루터 전집
12. 바이마르판 색인서
13. 유용한 도구, 루터 연구 국제 대회 및 전문 학술지
9부. 참고 문헌
주
마르틴 루터 연보
책속에서
루터는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이 다양한 변천의 과정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과정 가운데서 우리가 루터를 어떠한 이미지로 그리느냐에 따라 그를 보수적인 인물로 볼 수도 있고, 진보적인 인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각자의 의견이 어떠하든 간에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한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가 단지 역사의 흐름 속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것만으로 내려질 수 없다는 사실이다. 루터에 관한 한, 그의 인격 전체는 그가 선포한 “핵심 내용”(Sache)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루터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이 “핵심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_1부. “루터의 시대와 세계”
유대인에 관한 루터의 저술을 평가할 때 우리는 그 구체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그 당시 유대인과 그리스도인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배경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유대인에 대한 루터의 태도는 “인종적인” 문제가 아니라, 신앙적인 차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터가 초기에 농민전쟁에서 그러했던 것처럼, 유대인에 대해서 지나치게 과격한 말을 많이 하였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렇게 함으로써 비록 의도한 것이 아니었다 할지라도, 루터 자신의 말이 자기들의 목적을 정당화하고자 그를 활용하려는 세력들에 대한 승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았다.
_3부. “당대의 논쟁에서 루터의 역할”
루터가 거의 항상 특정한 상황에서 매우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글을 썼다는 사실은 그의 전체 사상을 이해하는 데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한편으로 루터의 사상은 특정한 논쟁의 상황 속에서 전개되는 그의 주장의 노선을 조심스럽게 추적할 때에만 올바로 파악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루터는 깊이 있는 하나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저술 작업을 하였다. 때때로 루터는 조직적인 신학자가 아니라는 평을 듣지만, 그러한 평가는 옳지 않다. 비록 루터는 “신학대전”을 쓰지 않았지만, 대단히 높은 차원의 조직적인 사상가였다.
_4부. “루터의 저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