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과학 일반
· ISBN : 9788963720753
· 쪽수 : 167쪽
· 출판일 : 2012-11-19
책 소개
목차
1권> 잡아먹을 수 없는 것을 잡아먹기
머리말_ 자연에서 찾은 과제를 풀어 봅시다!
01 문어는 굴 껍데기를 어떻게 열까? - 열려라 참깨!
02 갑오징어는 예민한 물고기에게 어떻게 다가갈까? - 갑오징어는 뒷걸음치지 않아!
03 거미는 어떻게 나비를 사냥할까? - 거미줄은 죽음의 그물
04 잔인한 사냥꾼 왕잠자리의 사냥법은? - 왕잠자리 애벌레의 비밀 무기
05 잠자리가 먹잇감을 두고 구경만 하는 이유는? - 조심스런 잠자리들
06 등에과 파리는 어떻게 메뚜기 날개에 알을 낳을까? - 등에과 파리의 공중부양
07 꽃등에 파리는 어떻게 개미의 감시를 피할까? - 부지런한 보초를 이기려면?
08 개미는 어떻게 민달팽이를 쫓을까? - 덩치 큰 먹이를 사냥하는 법
09 백상아리는 어떻게 바다표범을 공격할까? - 진짜 조스가 나타났다!
10 왜 물고기는 빛으로 모이는 것일까? - 빛나는 물고기들
11 개구리는 왜 뱀의 입으로 들어갔을까? - 최면에 빠진 개구리?
12 카멜레온은 어떻게 거리를 계산할까? - 실력 좋은 저격병
13 뱀이 자기 꼬리를 물면 어떻게 될까? - 독사에게 독이란?
14 기는 뱀이 어떻게 나는 박쥐를 잡을까? - 비단뱀의 박쥐 사냥
15 악어는 왜 발끝으로 강바닥을 기어 다닐까? - 살금살금 걸어!
16 새들은 왜 유랑개미 떼를 쫓아다닐까? - 개미가 나가신다, 길을 비켜라!
17 해오라기는 물고기를 어떻게 꾀어냈을까? - 해오라기는 낚시꾼
18 황새는 왜 논바닥을 휘젓는 것일까? - 황새가 물고기를 괴롭히는 이유
19 이집트 민독수리는 어떻게 타조의 알을 깰까? - 도구를 사용하는 이집트 민독수리
20 부엉이는 어떻게 쥐를 사냥할까? - 냄새보다는 소리를 조심하라!
21 작은 되새는 큰 바닷새의 알을 어떻게 훔쳤을까? - 되새는 뱀파이어
22 박쥐는 물고기를 잡기 위해 어떤 방법을 쓸까? - 박쥐의 음파탐지기
23 왜 탐지견은 냄새를 쫓기 전에 왔다 갔다 할까? - 탐지견의 이상한 습관
24 여우는 어떻게 너구리에게 집을 포기하게 했을까? - 꾀 많은 여우
25 북극곰은 조심스러운 고리무늬물범을 어떻게 잡았을까? - 북극 동물들의 생존법
26 사자는 사냥할 때 왜 사냥감을 놀라게 할까? - 내가 동물의 왕이다!
27 표범에게 왜 물이 필요할까? - 표범이 물가에서 사는 이
28 범고래는 요리조리 피하는 강치를 어떻게 잡을까? - 범고래의 사냥법
29 고래는 왜 제트기 엔진처럼 큰 소리를 낼까? - 혹등고래를 피하기는 어려워
30 먹을 것이 충분한 침팬지가 사냥을 하는 이유는? - 침팬지의 우정 확인법
부록_ 미래의 과학자들에게
2권> 탈출할 수 없는 곳을 탈출하기
머리말_잡아먹힐 것인가, 도망칠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01 문어는 공기 중에서 어떻게 숨을 쉴까? - 지붕 위로 올라간 문어
02 바닥에 붙은 홍합이 어떻게 피뿔고둥을 피할까? - 홍합, 피뿔고둥에게 맞서다
03 짝짓기가 끝난 수컷 해방거미가 잡아먹히지 않으려면? - 내 결혼 선물은 파리!
04 박각시나방은 어떻게 초록색 알을 낳을까? - 박각시나방의 선견지명
05 밤에 활동하는 나방은 박쥐에게 어떻게 경고를 보낼까? - 색깔과 냄새로 안 된다면?
06 자벌레는 어떻게 오랫동안 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을까? - 자벌레의 공중그네
07 벌들은 어떻게 포식자의 습격을 피할까? - 경고한다, 다가오지 마!
08 호리병땅벌은 기생땅벌로부터 어떻게 새끼들을 지킬까? - 방을 만들 때부터 시작된 계획!
09 흰개미들은 어떻게 여왕개미를 보호할까? - 지하에서 일어난 개미들의 전쟁
10 위험에 빠진 성게는 어떤 행동을 할까? - 성게가 무성 생식을 한다고?
11 방어 수단이 없는 장갱이가 어떻게 적의 공격을 막을까? - 무기 없이 무장하기
12 복어가 동그랗게 변하는 이유는? - 앗! 바다에 가시 풍선이?
13 도롱뇽은 적이 나타나면 어떻게 금방 사라질 수 있을까? - 나는야 동그란 도롱뇽
14 깊은 모래 속의 거북이가 밤낮을 어떻게 구별할까? - 모래는 거북이의 온도계!
15 펭귄의 보호색이 검고 하얀 연미복이라고? - 물도 하늘도 모두 위험해!
16 쏙독새가 천적 앞에서 눈을 감은 이유는? - 무서우면 눈을 숨겨!
17 큰코뿔새는 나무 둥지 입구를 왜 막을까? - 잡히느니 차라리 갇히겠어!
18 코뿔새는 왜 매번 다르게 행동할까? - 코뿔새는 엿듣기 대장
19 제비는 둥지 안의 새끼들을 어떻게 보호할까? - 떨어지면 안 돼!
20 까마귀는 어떻게 스스로를 보호할까? - 웬만하면 피하는 게 좋을걸?
21 큰개미핥기는 왜 일어날 때마다 놀라는 것일까? - 날 기다리지마!
22 토끼는 냄새 맡고 쫓아오는 적을 어떻게 따돌릴까? - 흔적 없애기
23 살기 위해 토끼가 내놓은 것은 무엇일까? - 이걸 줄 테니 목숨만 살려 줘
24 땅다람쥐들은 어떻게 방울뱀으로부터 새끼를 지킬까? - 땅다람쥐의 역발상
25 어미 쥐는 새끼 쥐를 데리고 어떻게 탈출할까? - 내게는 긴 꼬리가 있지!
26 여우는 어떻게 사냥개로부터 도망칠까? - 흔적을 지워라!
27 해달은 왜 해초를 몸에 감고 자는 것일까? - 평화를 사랑하는 해달!
28 얼룩말이 새치기를 해도 다른 동물들이 참는 이유가 무엇일까? - 예의 없지만 쓸모는 있지
29 코뿔소는 사냥꾼이 다가오는 것을 어떻게 알아차릴까? - 문제는 인간이야!
30 다윈의 진화론은 정말 옳은 걸까? - 다윈의 진화론을 반대하는 사람들
부록_ 미래의 과학자들에게
3권> 설명할 수 없는 것을 설명하기
머리말_설명할 수 없는 것을 설명할 수 있을까?
01 날아가던 비행기는 왜 멈췄을까? - 하늘에 있는 비행기 정류장
02 비행기는 왜 흰 자국을 남길까? - 비행기 꼬리의 흔적
03 뭉게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하늘의 천사, 뭉게구름
04 귀먹은 베토벤은 어떻게 소리를 들었을까? - 베토벤의 귀가 된 막대기
05 무중력 상태에서 양초에 불을 켤 수 있을까? - 우주 비행선 안 양초의 비밀!
06 사라진 항구도시 포트로열은 어디로 갔을까? - 모래 위에 세운 도시
07 겨울에는 흰색 옷이 좋을까, 검은색 옷이 좋을까? - 흰색과 검은색에 대한 선입견
08 에트루리아 인들의 금 세공 기술의 비밀은? - 금으로 못 만들 것은 없지!
09 이집트 조각상은 왜 소리를 내는 걸까? - 말하는 조각상
10 잠수부의 목소리는 깊은 바다에서 왜 변할까? - 잠수부들의 특별한 대화법
11 시끄러운 계곡에서 개구리들은 어떻게 대화를 할까? - 개굴개굴 개구리 노래를 한다
12 호박은 화강암보다 강할까? -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
13 꽉 막은 유리병 속에 어떻게 물이 들어갔을까? - 유리병을 바닷속으로!
14 200년 전 모스크바의 수도관들은 왜 자주 터진 것일까? - 밤이면 밤마다 터지는 수도관
15 장거리포는 왜 목표물을 정확히 맞추지 못했을까? - 빗나간 포탄
16 도자기에서 소리를 뽑아낼 수 있을까? - 도자기 위에 새긴 노래
17 유리컵은 어떻게 소리를 내는 것일까? - 유리컵으로 만든 악기
18 청동 대야에서는 왜 물방울이 튈까? - 물방울이 튀는 신기한 대야
19 청동 거울은 어떻게 벽에 상을 만드는 걸까? - 요술 거울의 비밀
20 밀가루는 왜 폭발한 걸까? - 파리를 잡기 위한 밀가루
21 아귀가 사냥감을 삼킬 때 시간은 얼마나 걸릴까? - 아귀가 입이 큰 이유는?
22 전선 내부에 왜 구멍이 났을까? - 합선의 이유
23 오로라와 구름은 어떤 관계일까? - 오로라가 나타나면 구름도 뒤따른다
24 쓰나미는 왜 해안으로 올수록 높아질까? - 갑자기 닥친 위기, 쓰나미!
25 왜 에어컨은 건강에 안 좋을까? - 에어컨을 켜면 두통이 시작되다
부록_ 미래의 과학자들에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황새는 민물이나 습지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산다. 목과 다리가 길고 몸집이 큰 편인 황새는 물고기를 잡기 전에 긴 다리로 얕은 곳을 휘휘 저으며 천천히 걸어 다니는 버긋이 있다. 황새가 이런 행동을 하면 놀란 물고기들이 빠르게 헤엄쳐 도망가니 잡기가 더욱 어려워 보인다. 황새가 어리석은 짓을 한 것일까? 그러나 이게 다 계산된 행동이다. 다리 긴 황새가 이 소란을 떤 것은 황새 나름의 계획이 있기 때문이다. 황새가 일부러 물고기들을 놀라게 한 까닭은 무엇일까? (1권)
바다수달이라고도 부르는 해달은 가끔 육지에 올라와 쉬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바다에서 지낸다. 해안에서 약 25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헤엄쳐 가기도 하고, 물위에 둥둥 누운 채 잠을 자기도 한다. 해달이 바다에 계속 떠 있을 수 있는 것은, 크고 가벼우며 공기를 많이 저장할 수 있는 폐 덕분이다. 해달은 밤이 되면 바다 위에서 잠을 자기 위해 해초를 몸에 감는 버릇이 있다. 해달은 왜 해초를 몸에 감는 것일까? (2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