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운동 > 기타운동
· ISBN : 9788964477762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2-04-2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 전세일, 조준호
머리말 / 윤봉근
1부 _ 장애, 재활 그리고 시냅스
1장 ╻서고, 걸으려면 시냅스를 깨워야 한다
1. 마비 장애와 재활
1) 마비 장애란
2) 카이스트 생명과학 김은준 교수가 말하는 시냅스의 기능
3) 시냅스 역할과 뇌 오작동과 재활
4) 재활은 오감을 활용한 종합 예술과 같다
5) 발의 중요성
2. 인체 회복을 위한 뇌와 재활 메커니즘
1) 시냅스 자극의 재활 메커니즘
2) 뇌 ‧ 신경 손상의 기능 회복 메커니즘
3. 눈과 언어 재활 메커니즘
1) 눈 재활
2) 언어 재활
4. 뇌와 인체 감각과 운동기능의 실행 메커니즘
2장 ╻뇌를 알면 인체 회복으로 행복할 수 있다
1. 뇌는 무엇이고 마음은 무엇인가?
2. 뇌와 마음을 생각해 본다
3. 뇌 손상은 뇌만 고치면 되는 것인가?
4. 뇌 교육과 훈련법은 무엇인가?
5. 뇌와 갈증 문제도 무관치 않다
1) 갈증
2) 중환자의 갈증
3) 중환자실 풍경
4) 갈증 해소와 호흡 재활
5) 갈증 문제 의견
6) 갈증으로 인한 물 먹이기 전 요령
3장 ╻장애 발생에서 재활까지
1. 발병에서 재활의 4단계
2. 뇌와 척수신경의 재활
3. 뇌의 반복적 교육과 훈련
뇌와 팔 ‧ 다리의 관계
4. 척수장애의 재활
5. 사람이 서고 걷는 작동 원리
1) 실행 방법
2) 발목 밀기와 뻗기 동작의 효과
3) 척수장애의 소 ‧ 대변 처리
4) 뇌척수 손상자의 생활재활
5) 욕창
6. 뇌졸중 장애
7. 뇌성마비 장애
재활 방법
8. 당뇨 재활
1) 경험으로 본 재활
2) 실행 방법
3) 다이어트와 비만 그리고 당뇨
9. 재활 회복은 뇌를 깨우는 일이다
1) 뇌신경 장애
2) 시냅스 자극의 발목 밀기와 뻗기 유의 사항
3) 시냅스 자극은 인체 회복이다
4) 팔과 눈과 언어 재활
2부 _ 서고, 걷는 것이 복지다
4장 ╻바로 서고, 바로 걷는 것이 복지다
1. 노인 복지의 환경과 변화
2. 돌봄 문화의 복지 이해
3. 서고 걷게 하는 것이 복지다
4. 돌봄 복지 향상을 위해 서고 걸을 수 있게 하면 된다
1) 국가 지원 의미
2) 간병 의미
3) 수술보다 간병인 구하기가 더 어렵다
4) 방안
5) 순차적 대안
6) 기저귀 문제
5. 노인 돌봄 예방과 의료복지 방안
5장 ╻21세기 복지의 시작도 서고 걷는 데 있다
1. 서고 걸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복지의 시작이다
2. 장애란 무엇인가?
3. 서고 걷지 못하면 모두에게 문제다
4, 장애 인권이 복지 척도다
5. 장애 예방과 안전한 삶이 국민보험이다
6. 장애 인식 부족은 민주와 공정 사회 아니다
7. 장애인도 일할 수 있다
8. 모든 장애는 국가가 일원화해야 한다
9. 복지의 첫걸음은 주거 복지다
10. 노후 복지, 가정 문화에 답이 있다
11. 사회 약자 방문과 왕진 의료가 필요하다
12. 전 국민적 발목 밀기와 뻗기 운동 의미
1) 전 국민 운동 요령
2) 국민 ‧ 노인 건강과 의료비 절감 및 환경 보호 효과
13. 장기 기증은 진정한 사랑이다
3부 _ 예방과 재활
6장 ╻장애 예방과 재활 정보 가이드
1. 응급 처치
1) 협조 사항
2) 사고 발생 후 조치 사항
3) 응급 처치 세부 내용
2. 인공호흡
1) 기도 확보
2) 이물 제거
3) 불어넣기 인공호흡법
4) 심폐소생법
5) 지혈법
6) 척추(척수) 손상이 의심스러운 상황일 때
7) 골절이 의심스러운 상황일 때
3. 뇌졸중(C. V. A. 또는 STROKE)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발병 후 조치와 알아야 할 사항
5) 예방
6) 식사 요법
7) 응급 처치 요령
8) 구급차와 의사에게 연락
9) 생활재활에 필요한 사항
10) 근 강직과 재활
4. 척수장애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응급 처치
5) 기본 의학 상식
6) 생활 의학 상식
7) 재활 생활 상식
8) 환자의 심리와 고통 그리고 간병인의 자세
9) 합병증
10) 관련 단체
5. 뇌성마비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조기 발견법
5) 치료와 상담
6) 예방
7) 근 강직과 재활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