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성장/발달
· ISBN : 9788964499603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4-09-12
책 소개
목차
제1장 갓 태어난 내 아기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선물은 사랑과 모유이다 30
- 미국 모유수유 현황 33
- 모유와 모유수유의 좋은 점 33
Q&A. 모유수유, 유방구조, 모유수유 호르몬 프로랙틴에 관한 백문백답 38
- 임신하지 않은 성인 여성의 유방, 임신한 성인 여성의 유방, 모유수유 하는 성인 여성의 유방의 그림 43
제2장 성공적 모유수유 준비와 모유수유 공부하기 50
- 임신 중 이렇게 모유수유 준비를 한다 52
- 내 젖꼭지는 모유수유에 적합할까? 54
- 젖꼭지 핀취검사 56
- 모유수유를 성공적으로 끝내려면 57
- 유방 마사지와 모유수유 57
제3장 일령, 월령별 모유수유 하기 61
- 분만 후 모유 분비 시작 61
- 분만 후 언제부터 모유수유를 시작할까? 62
▣ 초유 먹이기 64
▣ 분만 후 1, 2, 3, 4일 동안 모유수유와 젖꼭지 관리 66
▣ 분만 후 5, 6, 7일 동안의 모유수유 69
▣ 생후 1주 이후부터 1, 2, 3개월까지 모유수유 70
Q&A. 생후 2개월 동안 모유수유 73
▣ 생후 4∼5개월 영아에게 모유, 인공영양, 이유식 먹이기 74
- 생후 4개월 한국 영아들의 성장 74
- 모유수유 75
- 생후 4~5개월 동안 인공영양 먹이기 76
- 생후 4~5개월 동안 물이나 수분을 꼭 더 먹여야 하나 76
- 생후 4~5개월 동안 젖 먹는 아기에게 이유식을 먹어야 하나 77
▣ 생후 6~7개월 영아들에게 모유, 인공영양, 이유식 먹이기 80
- 생후 6~7개월 영아들에게 모유수유 하기 80
- 생후 6~7개월 영아에게 모유 대신 인공영양을 먹일 때 81
- 생후 6~7개월 영아에게 모유, 인공영양, 이유식을 먹이기 81
- 생후 6~7개월 영아의 물과 수분섭취 82
- 생후 6~7개월 영아에게 비타민제와 철분제 먹이기 82
▣ 생후 8∼9개월 영아를 위한 모유수유, 인공영양, 이유식 83
- 생후 8∼9개월 영아를 위한 모유수유 83
- 생후 8∼9개월 영아에게 인공영양을 먹이기 83
- 생후 8∼9개월 영아에게 모유, 인공영양, 이유식을 먹이기 84
- 생후 8∼9개월 영아에게 물과 수분 먹이기 85
- 생후 8∼9개월 영아에게 비타민제와 철분제 먹이기 85
▣ 생후 10∼12개월 영아를 위한 모유수유, 인공영양, 이유식 85
- 생후 10∼12개월 영아를 위한 모유수유 85
- 생후 10∼12개월 영아를 위한 인공영양 86
- 생후 10∼12개월 영아를 위한 이유식 87
제4장 미숙 신생아와 모유수유 88
- 미숙 신생아에게 모유를 수유할까 인공영양을 먹일 것인가 88
- 아주 작은 미숙 신생아(극소 저출생체중아)를 위한 모유나 인공영양 먹이기 89
- 분만 후 유방 관리 91
제5장 꼭 알아야 할 모유수유 상식 94
- 수유모에게 찾아오는 ‘렛 다운 신호’ 94
- 모유수유와 아기 울음 95
- 젖을 먹일 때 수유모와 아기의 자세 97
- 젖을 얼마나 자주 먹여야 할까, 요구수유, 시간제수유, 절충수유 100
Q&A. 젖을 물리면서 아기 재워도 될까요? 103
- 한쪽 젖만 먹일 것인가 양쪽 젖을 다 먹일 것인가 105
Q&A. 한쪽 젖만 먹으려고 하는 아기 107
- 한 번 모유를 수유하는 데 몇 분 동안 해야 하나 108
- 신생아에게 신생아용 식수나 포도당 물, 인공영양을 모유 대신 먹일 때 110
- 공공장소에서 모유수유 하기 111
- 트림시키기 112
제6장 아기에게 적당한 모유의 양 115
- 모유분비량은 자연 수요공급법칙에 따라 좌우된다 115
- 모유가 충분한지, 부족한지 어떻게 아나? 116
- 젖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는다고 의심될 때 119
- 다음과 같은 경우엔 모유가 부족한지 의심해봐야 한다 119
- 젖이 정말로 부족한 것일까? 121
- 젖이 충분히 분비되지 않으면 어떻게 하나 122
- 미국 모유수유 장려와 모유수유 현주소 125
- 온갖 노력을 다해도 젖이 부족할 때 126
- 나이와 체중에 맞는 1일 권장 영양분 섭취량 129
- 한국 신생아들의 체중과 신장의 성장차트와 백분위수 130
- 소아 청소년 예측 평균 체중을 계산하는 공식 133
- 소아 청소년 예측 평균 신장을 계산하는 공식 133
- 소아 청소년 예측 신장의 성장 133
- 소아 청소년 예측 체중 증가 133
제7장 젖을 짜고 짠 젖을 먹이는 방법 134
- 맨손이나 유축기로 젖을 짜야 하는 경우 134
- 어떤 경우에 이런 대안을 써야 할까 134
- 맨손으로 젖을 짜는 방법 136
- 수동 유축기로 젖을 짜는 방법 138
- 배터리 유축기로 젖을 짜는 방법 141
- AC 전기 유축기로 젖을 짜는 방법 141
- AC 전기 유축기와 배터리 유축기 142
- 짠 젖을 먹이거나 보관하는 법 143
Q&A. ‘모유수유’에 관한 인터넷 질의응답 사례 144
제8장 모유 이외 다른 보조 영양분을 더 먹이려면 148
- 모유수유와 보조 영양 148
- 미숙 신생아에게 인공영양과 모유를 먹일 때 150
Q&A. ‘미숙 신생아 영양’에 관한 인터넷 질의응답 150
- 혼합수유와 혼동수유 152
Q&A. 모유와 분유를 함께 먹어요 154
- 모유수유를 하면서 인공영양을 먹일 때 156
제9장 젖 뗄 때와 이유식 먹이기 158
- 젖을 뗄 때(이유할 때) 158
- 젖을 뗄 수 있는 아기의 적령 160
Q&A. 아기의 젖떼기와 우유 먹이기 162
- 젖 떼는 방법 164
Q&A. 젖떼기에 관해, 이유 166
- 이유식의 종류와 추력 반사 168
- 이유식, 생후 언제부터 먹일까 170
- 이유식을 먹이는 방법 171
- 이유식을 줄 때 주의할 점 176
- 집에서 만든 이유식 179
제10장 유방이나 젖꼭지가 아프거나 갈라질 때나 감염될 때 181
▣ 유방이 아플 때 181
- 그러면 어떻게 유방 과잉 충만을 치료할 것인가? 183
Q&A. 젖몸살, 유방염, 혼합수유, 유방농양 187
▣ 젖꼭지가 아프거나 갈라질 때 189
▣ 유방, 젖꼭지에 문제의 예방과 치료한다 194
▣ 수유용 브라와 패드 198
- 수유용 브레스트 소프트 쉘 198
제11장 젖 먹는 아기의 건강관리 199
▣ 젖 먹는 아기가 아플 때 199
- 모유를 먹는 영아가 경미한 설사를 할 때 어떻게 치료하나 200
- 젖 먹는 아기에게 생긴 설사 및, 또는 구토의 치료 201
▣ 모유수유 하는 아기에게 생긴 급성 탈수증 202
- 탈수 정도에 따라 탈수의 분류 206
- 나트륨 이온(Na?)의 혈중 농도에 따른 탈수 분류 207
- 탈수증의 진단 209
- 탈수증의 치료 209
Q&A. 아이가 열이 나고 토하고 설사를 해요 212
▣ 모유수유 황달과 모유 황달 214
Q&A. 모유, 분유수유와 모유 황달에 관한 인터넷 질의응답 216
Q&A. 젖을 물리면서 아기 재워도 될까요 218
▣ 신생아의 성장에 필요한 열량(Kcal/칼로리) 221
- 미숙 신생아의 경우 221
- 만삭 신생아의 경우 221
▣ 모유수유와 알레르기 222
Q&A. 두드러기 224
▣ 엄마의 젖만 먹는 아기의 대변 227
▣ 모유수유 거절 228
▣ 너싱 스트라이크 230
- 너싱 스트라이크를 하는 이유 230
Q&A. 모유를 싫어하는 거 같아요 231
Q&A. 한약을 먹었더니, 모유수유 거부 233
▣ 신생아, 영아도 소아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234
Q&A. 18개월 아기의 안짱걸음, O형 다리와 X형 다리 237
Q&A. 혈액검사, 소아 건강검진 239
Q&A. 소아 건강검진, 신생아 정기검진 240
▣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이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소아 청소년(0~18세) 건강검진 내용 241
- 부모와 의사가 상담 243
- 신체검사, 체중과 신장 측정, 머리둘레 측정 243
- 혈압 측정 243
- 기본 예방접종 244
- 특수 예방접종 245
- 유전성 질환과 유전성 대사 이상을 진단하는 검사 245
- 혈중 납 농도 검사 246
- 헤모글로빈이나 헤마토크릿 검사 246
- 소변검사 246
- 콜레스테롤 측정 247
- 투베르쿨린 반응검사, 또는 PPD 검사 247
- 청력검사와 시력검사 247
- 치아검사와 불소농도 검사 247
- 여성 내진 247
- 성병검사 247
- 여아 자궁경부 이형성 검사 248
- 흡연, 약물 남용 예방 248
- 안전사고 예방 248
-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248
▣ 모유를 먹는 영유아들의 예방접종 248
- 수유모의 예방접종과 젖 먹는 아기 249
- 0~6세 소아 감염병 기본 예방접종 스케줄 249
- 소아 예방접종에 필요한 정보 250
- 이상적인 예방접종 백신 250
- 기본 예방접종과 비기본 예방접종 250
- 무비장이나 기능적 무비장을 가진 아이들의 예방접종 251
- 결핵 예방접종과 일본뇌염 예방접종 252
- 광견병 예방접종 252
- 천연두 예방접종 252
- 0~6세 소아 기본 예방접종표(2012년 1월) 253
- Hepatitis B1 254
- Rotavirus2 254
- Diphtheria Tetanus, Pertussis3 255
- Haemophilus influenza b4 255
- Pneumococcal5 255
- Inactivated Poliovirus6 256
- Influenza7 256
- Measles, Mumps, Rubella8 256
- Varicella9 257
- Hepatitis A10 257
- Meningococcal11 257
- 기타 예방접종에 관한 참고서 및 웹사이트 258
- 종합 예방접종 백신의 종류 258
▣ 2013년 1월 이후 권장 미 0~18세 소아 청소년 기본 예방접종표 259
- 2013년 1월 이후, 1 4개월~18세 소아 청소년이 기본 예방접종을 받을 권장 나이보다 1개월 늦게 접종받기를 시작하거나 권장 스케쥴보다 늦게 접종을 받는 경우 따라잡기 예방접종 스케쥴 262
제12장 수유모의 건강관리 275
- 수유모의 영양 275
▣ 임산부, 태아, 신생아, 수유모에게 필요한 지방산 277
▣ 수유모가 감염병 등으로 아플 때와 모유수유 278
▣ 1형 당뇨병을 앓는 수유모와 모유수유 280
Q&A. 1형 당뇨병을 앓는 엄마와 모유수유 282
Q&A. 당뇨병이 있는 수유모와 모유수유 283
▣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는 수유모와 모유수유 285
▣ 간질이 있는 수유모와 모유수유 285
▣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병을 앓는 수유모와 모유수유 286
▣ 모유를 먹는 아기에게 모유를 통해 감염될 수 있는 병원체와 모유수유 가능성 여부 287
1. 박테리아 감염병 287
- 유선염 287
- 유방농양 287
2. 바이러스 감염병 287
▣ 사람 젖 뱅크 289
▣ 모유수유와 수유모의 약물복용 290
- 수유모가 다음과 같은 약물로 치료를 받을 때는 엄마 젖을 아기에게 먹이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참고로 여기서 모든 약명을 가능한 한 영어로 표시했다 291
- 수유모가 다음과 같은 약물을 남용할 때는 모유수유를 권장하지 않는다 291
- 수유모가 다음과 같은 방사능 약물로 치료받을 때는 모유수유를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한다 291
- 수유모가 다음과 같은 약물로 치료받으면 젖 먹는 아기에게 유해하다 291
- 수유모가 다음 약물로 치료를 받으면 젖 먹는 아기에게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292
-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음식물과 환경물질 292
▣ 모유를 수유해서는 안 될 때 293
▣ 모유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 294
▣ 임산부와 수유모의 흡연 294
▣ 산후 베이비 블루와 산후 우울증 295
제13장 모유수유 전문가가 필요하다 299
▣ 모유수유 전문의, 모유수유 상담가(모유수유 카운슬러) 299
▣ 갈락토스 혈증 301
- 갈락토키나제 결핍으로 생기는 갈락토스 혈증 301
- 갈락토스-1-인산염 우리딜 전이효소 결핍으로 생기는 갈락토스 혈증 302
Q&A. 갈락토스 혈증에 관하여 302
제4권 “모유 모유수유 이유” 출처 및 참고 문헌 304
조건 없는 진정한 자녀사랑 306
제4권 “모유 모유수유 이유” 색인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