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별 > 암
· ISBN : 9788964980378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4-04-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암 영역 한방치료에 필요한 기초지식
1. 암 치료의 역사를 통해 풀어 본 서양의학과 한방의학의 유용성
1 암 의료의 변천 2
2 한방 의료를 중요시하게 된 배경 5
3 암 완화치료에 한방치료를 병용하는 임상적 의의 8
4 완화의료에서의 본치(本治)와 표치(標治)를 통한 중서의 융합요법 10
5 완화케어 시 한방 처방 사용법 11
2. 암 치료를 지원하는 한방약에 대한 evidence
1 늘어가는 한방약 evidence 17
2 육군자탕 19
3 우차신기환 21
4 반하사심탕 22
3. 한방의학적 시점에서 본 암 환자의 기본적 병태
1 일본 암 현황과 한방의 역할 27
2 암 치료에 한방의학이 필요한 이유 27
3 「암증(癌症)」의 개념과 그 치료법 28
4 「보제(補劑)」란 무엇인가? 29
5 서양의학적 암 치료와 한방 「보제(補劑)」의 작용점 차이 30
6 「암증(癌證)」에 대한 보제 적용법 31
7 암 환자에 대한 한방약 투여법 32
8 암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음 한 수」! 한방약 ! 33
9 증례 33
4. 암 영역에서의 한방 처방 조합방법
-진찰의 기본부터 처방 코치까지-
1 왜, 한방의학 이론이 필요한가? 38
2 한방 진찰 39
3 한방 진단 44
4 한방 처방 46
5. 서양약×한방약. 암 약물요법의 약리적 관리
1 한방약 엑기스제의 응용 51
2 한방약과 서양약의 병용 51
3 복약지도와 adherence 53
4 효과적인 한방약 사용 54
5 암 치료 및 암에 의한 통증 대책 55
6 배변·설사대책 56
제2장 암 치료를 서포트하는 한방약과 그 사용방법
1. 수술 전 투여를 통한 수술 침습의 완화
1 침습과 염증 62
2 SIRS라는 개념 62
3 수술 침습에 의한 SIRS 64
4 SIRS제어와 스테로이드 64
5 CARS라는 개념과 SIRS/CARS의 밸런스 64
6 수술 후 경과와 SIRS/CARS 65
7 SIRS/CARS의 억제와 한방약 66
8 수술과 한방약 66
9 암 환자의 수술 전 처치로서 보중익기탕의 투여 68
10 보중익기탕의 약리작용과 SIRS/CARS 제어 70
2. 수술 후 장폐색 예방
1 소화기 외과 수술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 74
2 대건중탕의 효과와 작용 메커니즘 74
3 대건중탕 사용방법 76
4 증례 77
3. 수술 후 유해사고 경감
1 보제(補劑)의 소화기 암 수술 후 유해사고 경감과 면역계에 대한 효과 79
2 한방약 사용 저효례 81
4. Fluorouacil 계약의 부작용 대책
1 암 약물치료 시 한방치료의 기본적 사고방식 85
2 Fluorouacil계 약제 85
3 암 약물치료 부작용 경감을 목표로 사용하는 대표적 처방 86
5. 시스플라틴(cisplatin)·카보플라틴(carboplatin) 부작용에 대한 대책
1 시스플라틴(cisplatin)과 카보플라틴(carboplatin) 부작용 90
2 시스플라틴(cisplatin) 신장애에 대한 시령탕의 효과 90
3 카보플라틴(carboplatin) 골수억제에 대한 십전대보탕의 효과 91
4 시스플라틴(cisplatin)으로 인한 오심·구토, 식욕부진 등 소화기 증상에 대한 한방약의 효과 92
5 항암제 부작용 경감을 목적으로 한 한방약의 복용시기 93
6 항암제 부작용 경감을 목적으로 한 한방약 선택의 포인트 93
7 증례 94
6.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부작용에 대한 대책
1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과 말초신경장애 96
2 말초신경장애란 96
3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에 의한 말초신경장애에 대한 대책 97
4 왜 우차신기환? 그 기전은? 97
5 증례 98
7. 이리노테칸(irinotecan) 부작용에 대한 대책
1 이리노테칸(irinotecan)에 대하여 101
2 이리노테칸(irinotecan) 치료에 동반되는 설사에 대하여 101
3 이리노테칸(irinotecan) 치료에 동반되는 전신권태감 104
4 한방약 투여 타이밍과 환자 지도 포인트 104
5 증례 106
8. 탁신(taxine) 계약 부작용에 대한 대책
1 탁신(taxine) 계약의 자리매김 109
2 파클리탁셀(paclitaxel)에 의한 말초신경장애 메커니즘 110
3 파클리탁셀(paclitaxel)에 의한 신경병증성 동통의 임상경과와 작약감초탕의 임상효과 110
4 작약감초탕 작용 메커니즘 112
5 작약감초탕 복용 시 유의점 113
6 증례 114
9. 암 전이억제효과
1 천연약물에 대한 기대와 기초연구 116
2 한방의학에서의 證과 證 진단 117
3 한방약(補劑) 및 관련 처방 118
4 십전대보탕 경구 투여에 의한 암 악성화 진전(progression)억제 119
5 십전대보탕에 의한 암 전이억제효과와 그 작용기전 121
6 십전대보탕 관련 처방의 경구 투여에 의한 암 전이억제효과와 구성 생약의 조합 122
7 한방 처방의 harmonization 효과 123
8 한방 처방의 효과발현은 장기선택성(반응 장소) 또는 체질(계통차)이 관계되어 있는가? 123
9 현행 치료와 한방 처방과의 병용을 통한 전이억제효과 증강 124
제3장 한방 보완대체의료를 이용한 진료과 횡단적 암 환자 매니지먼트
1. 영양관리에 유효한 한방약
1 영양 평가 130
2 암 환자 영양 평가 131
3 암 환자에 대한 영양요법 132
4 영양관리 시 한방요법 132
5 증례 136
2. 완화케어에 유효한 한방약
1 완화케어란? 138
2 암 치료와 완화케어 138
3 완화케어와 완화의료 139
4 완화의료와 한방 140
5 완화의료에서 사용하는 한방약 140
6 증례 143
7 한방약 복용 대책 146
8 한방약을 보다 잘 복용하게 하기 위해서 147
9 한방약을 처방할 때 147
3. 암 경과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증상에 유효한 한방약
1 완화케어팀의 한방제제 사용상황 149
2 투여방법과 특수제제 153
3 증례 156
4. Mental care에 유효한 한방약
1 역학 160
2 진단 161
3 정신증상에 대한 한방약 163
4 한방약 선택의 포인트 170
5 증례 170
5. 완화케어 측면에서 기대할 수 있는 보완대체의료의 과학적 검증
1 보완대체의료란 173
2 보완대체의료의 과학적 근거(evidence) 176
3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178
6. 한방요법의 risk management
1 한방약 및 생약제제의 안전성과 부작용 183
2 한방약 및 생약제제 복약 지도 시 주의점 185
3 한방약끼리의 병용에 대하여 186
4 병용금기, 신중 투여, 병용주의 187
5 서양약과의 상호작용 188
6 보험진료의 룰 189
7. 재택 암 환자의 self medication과 한방약
1 「약 상자」를 암 환자에게 알리다 192
2 암 환자 가족과의 연계에 대하여 193
3 「약 상자」에는 무엇이 들어가는가? 194
저자 후기 199
찾아보기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