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외과 > 정형외과
· ISBN : 978896498086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4-08-30
책 소개
목차
제1부 근골격계 기능장애와 구조 손상의 이해 1
근골격계 통증 치료에 필요한 운동학과 병태 3
1 가동성의 저하는 신장성 및 활주성의 저하를 고려한다 5
2 안정성 저하는 구조 손상과 근력 저하를 고려한다 7
근골격계 통증 치료에 필요한 해부학과 병태 10
1 근골격계 통증 치료의 근거를 알기 위한 조직학 11
2 근골격계 통증 치료와 관련된 지지조직 13
3 근골격계 통증 치료의 치료 대상 및 치료 전략 14
4 소성결합조직이 존재하는 기관의 구조 19
5 근막이라는 결합조직의 정체 21
제2부 관절 기능장애를 ‘치료하는!’ 통증 치료 25
견관절 27
1 견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병태 포인트 27
2 견관절의 기능 개선에 필요한 해부학 34
3 견관절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초음파 유도하 접근 38
(1) 견봉하활액낭(SAB) 주위·오구상완인대(CHL)에의 접근 38
(2) 오구완근 주위 조직에의 접근 39
(3) 극하근 주위에의 접근 40
(4) 외측 액와공간(QLS)에의 접근 41
(5) 부신경·견갑배신경 주위에의 접근 42
(6) 장흉신경·흉배신경 주위에의 접근 43
(7) 쇄골하근·오구쇄골인대 주위에의 접근 44
(8) 회전근개 근육의 안정화 운동 45
(9) 견갑흉곽관절 주위 근육의 안정화 운동 46
주관절 49
1 주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병태 포인트 49
2 주관절의 기능 개선에 필요한 해부학 55
3 주관절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초음파 유도하 접근 59
(1) 상완근 심층 지방층의 유연성을 높이는 접근 59
(2) 상완삼두근 심층 지방층의 유연성을 높이는 접근 60
(3) 정중신경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61
(4) 요골신경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62
(5) 척골신경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64
(6) 전완 회내굴근의 신장성을 높이는 접근 66
(7) 상완이두근·원회내근·회외근 부위의 소성결합조직에의 접근 66
(8) 전완 회내굴근의 근력 트레이닝 67
(9) 전완신근의 근력 트레이닝 68
수관절·수부 70
1 수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병태 포인트 70
2 수관절·수부의 기능 개선에 필요한 해부학 80
3 수관절·수부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초음파 유도하 접근 86
(1) 방형회내근 심층 지방층에의 접근 86
(2) 천지굴근, 심지굴근, 장무지굴근에의 접근 88
(3) 단요측수근신근에의 접근 89
(4) 회외근에의 접근 90
(5) 장무지외전근, 단무지신근, 요골신경 천지에의 접근 90
(6) 척측수근신근에의 접근 91
(7) 외측전완피신경에의 접근 91
(8) 정중신경 장지에의 접근 92
(9) 건초·내재근에의 접근 92
(10) 수관절 관절낭에의 접근 93
(11) 삼각섬유연골복합체에의 접근 94
(12) 장측판에의 접근 95
경추 97
1 경추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병태 포인트 97
2 경추의 기능 개선에 필요한 해부학 105
3 경추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초음파 유도하 접근 110
(1) 항인대에의 접근 110
(2) 후두하근의 과긴장에 대한 접근 112
(3) 두·경반극근의 과긴장에 대한 접근 113
(4) 흉쇄유돌근·사각근 주위 소성결합조직에의 접근 115
(5) 경부 피신경·부신경 주위 소성결합조직에의 접근 117
(6) 자세 관리 119
요추 121
1 요추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병태 포인트 121
2 요추의 기능 개선에 필요한 해부학 127
3 요추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초음파 유도하 접근 131
(1) 흉요근막보다 천층에서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31
(2) 척수신경 후지 내측지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32
(3) 고유배근의 유연성을 높이는 접근 133
(4) LIFT 주위 가동성을 촉진하는 접근 134
(5) 요방형근의 유연성을 높이는 트레이닝 135
(6) 천장관절의 안정성을 높이는 접근 137
고관절 139
1 고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병태 포인트 139
2 고관절의 기능 개선에 필요한 해부학 145
3 고관절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초음파 유도하 접근 154
(1) 둔부에서 대퇴 후면 좌골신경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54
(2) 대퇴직근 주위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56
(3) 고관절낭-장골관절낭근 사이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57
(4) 대퇴 내측부에서 복재신경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58
(5) 대둔근-외측광근 사이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59
(6) 외측대퇴피신경 주위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60
(7) 소둔근의 선택적 트레이닝 161
(8) 하중하에서 소둔근·중둔근의 활동을 촉진하는 트레이닝 162
(9) 심층회전근의 선택적 트레이닝 163
슬관절 166
1 슬관절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병태 포인트 166
2 슬관절의 기능 개선에 필요한 해부학 172
3 슬관절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초음파 유도하 접근 178
(1) 광근 주위에의 접근 178
(2) 슬개하지방체 활막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78
(3) 슬개하지(복재신경)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79
(4) 거위발 구성근의 유연성을 높이는 접근 180
(5) 반막양근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82
(6) 비복근 내측두의 활주성을 촉진하는 접근 184
(7) PLS의 기능을 높이는 접근 185
족관절·족부 186
1 족관절·족부의 가동성과 안정성의 병태 포인트 186
2 족관절·족부의 기능 개선에 필요한 해부학 198
3 족관절·족부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초음파 유도하 접근 203
(1) 거골전지방체와 신근건에의 접근 203
(2) 장무지굴근에의 접근 203
(3) 후경골근건에의 접근 205
(4) 비골근건에의 접근 205
(5) 비복신경에의 접근 207
(6) 족근동에의 접근 207
(7) 족부 외재근의 트레이닝 208
(8) 족부 내재근의 트레이닝 209
색인 213